편입 문법 3000 Plus2021. 1. 4. 05:47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IsSlsriempY

[ET13-2-1]0519. ⋆⋆ [홍익대학교 2007-1]

(A)[Since I arrived] in America, I (B)[have come to understand] that (C)[what was instilled] in me (D)[as child] was a myth.

[ET13-2-1]0519. [무동사 절]

정답 - D : [as child] → [as a child] : 'as I was a child'에서 'I was'가 삭제된 후에 'as a child'를 사용한다. 접속사는 있는데 동사가 없는(여기서는 'being') 경우 이를 무동사 절이라 칭한다.

as a child = when a child = while a child

as young = when young = while young : 'young'은 형용사

'child'는 가산 명사이므로 최소한 'a'가 붙든지 복수형인 'children'이 사용되어야 한다. '아이'는 유일 직책이 아니므로 무관사로 사용할 수 없다. (cf. He was chairman of the board.) 그리고 물론 'as a child'는 항상 '아이였을 때'의 뜻으로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As a child, she supported the laws against internet bullying; as a citizen, she regretted the possible infringement on free speech. ['As a child'는 'in her role as a child'의 뜻이고 'as a citizen'은 'in her role as a citizen'의 뜻이다.]

"아이로서 그녀는 인터넷상의 괴롭힘을 막는 법들을 지지했고, 시민으로서는 언론 자유의 침해 가능성을 개탄했다."

As a child do I follow the precepts of my Master. ['As a child'는 아마 'in the manner of a child'의 뜻.]

"아이처럼 저는 마스터의 가르침들을 따른다." [시제는 일반 현재]

instill ~ in 사람 : (주의·감정 등을) 서서히 불어넣다; 주입시키다, 가르치다

[해석] 미국에 도착한 이래로 아이였을 때 내게 주입된 것은 그릇된 통념임을 이해하게 되었다.

 

 

[ET13-2-2]0520. ⋆ [경원대학교 2011]

Such house chores, _________ important for home management, may be not favorite job for anyone.

(A) they are                (B) as                 (C) though                (D) despite

[ET13-2-2]0520. [무동사 절]

정답 - C : = , though they are important ~, : 'they are'가 생략되면서 만들어진 무동사 절이다.

A : 앞에 접속사가 없어서 곤란하다.

D : 전치사 다음에 형용사가 따를 수 없다.

[해석] 그런 집안의 잡일들은 집안 관리를 위해서 중요하긴 하지만 누구도 좋아하지 않는 일일 것이다.

 

 

[ET13-2-3]0521. ⋆ [홍익대학교 2012]

Chicken pox and measles, (A)[despite] common and rarely fatal among Europeans, often (B)[proved] lethal (C)[to] Native Americans, and more dangerous diseases such as small pox (D)[were] especially deadly.

[ET13-2-3]0521. [양보 전치사와 무동사 절의 양보 접속사]

정답 - A : [despite] → [though] : 뒤에 형용사가 따르므로 전치사인 'despite'는 곤란하고 'though'를 사용해서 무동사 절로 써야 한다.

[어휘] chicken pox : [의학] 수두(水痘); [수의학] 계두(鷄痘)(fowl pox)

수두(水痘) : 피부에 붉고 둥근 발진(發疹)이 생겼다가 얼마 뒤에 수포(水疱)로 변하는 전염병. 주로 어린이에게 생긴다. [水痘 : 물 수, 마마 두]

measles [míːzlz] : 홍역(紅疫) : 홍역 바이러스에 비말 감염(飛沫感染) 되어 일어나는 급성 전염병 [紅疫 : 붉을 홍, 염병 역]

small pox : 천연두, 마마 천연두(天然痘) : 천연두 바이러스에 의하여 일어난다. 열이나 두통이 나며 홍역처럼 온몸에 발진(發疹)이 생겨 딱지가 저절로 떨어지기 전에 긁으면 얽게 된다. 전염력이 매우 강하며 사망률도 높다.

pox [paks] : 천연두, 두창; 매독    lethal [líːθəl] : 치명적인, 치사의, 죽음을 초래하는

[해석] 수두와 홍역은 유럽인들 사이에선 흔하고 치명적인 경우가 드물지만 미국 원주민들에겐 치명적인 것으로 판명되었고 천연두 같은 더 위험한 질병들은 특히 치명적이었다.

 

 

[ET13-3-1]0522. ⋆ [세종대학교 2009]

Educational theory in the nineteenth century was based on the notion that students were empty vessels ________________.

(A) and the teacher poured knowledge

(B) which the teacher poured knowledge

(C) into which the teacher poured knowledge

(D) which the teacher poured knowledge for

[ET13-3-1]0522. [관계사의 동반 이동]

정답 - C : 'the teacher poured knowledge into which(= empty vessels)'에서 'into which'가 앞으로 동반 이동한 형태이다.

B : 'knowledge' 다음에 'into'가 보류되어 있어야 한다.

D : 전치사는 'into'를 써야 한다.   pour A into B : A를 B에 쏟아붓다

[해석] 19세기의 교육 이론은 학생들은 선생님이 지식을 부어 넣는 빈 그릇들이라는 개념에 바탕을 두었다.

 

[핵심 문법] 관계사의 동반 이동 ★★★

This is the house ∥that  in which ∥ he lived θ.

여기서는 관계절에서 전치사 구인 'in which' 전체가 이동을 했는데 이처럼 관계사가 이동을 할 때 전치사를 데리고 이동하는 것을 Robin Lakoff는 Hamlin 마을에서 Pied-Piper(피리 부는 사나이 : 마을 안의 쥐를 퇴치한 사례금을 받지 못한 앙갚음으로 마을 아이들을 피리로 꾀어내어 산속에 숨겨버렸다는 독일의 전설 중의 인물)가 쥐와 아이들을 데리고 이동한 것에 비유하여 'Pied-piping'이라고 칭했는데 전치사 구는 'Prepositional Phrase'이므로 훌륭한 명칭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말로는 잘 이해되지 않는 면이 있고 소유격 관계사의 경우는 전치사 구가 이동하는 것은 아니므로(whose book) ‘남편’인 ‘wh 관계사’가 접속사의 기능을 하기 위하여 자기 절의 맨 앞으로 이동할 때 ‘아내’를 동반하고 간다는 의미로 ‘동반 이동(또는 수반 이동)’이라 칭하기로 한다.

① This is the house in which he lived θ. (부부의 승리)

② This is the house *that he lived θ. ('that'은 이길 수 없음)

③ This is the house *( ) he lived θ. (같이 사망하는 경우 없음)

④ This is the house *in that he lived θ.

'in which'가 동반 이동을 했을 경우에 'that'는 일 대 이로 싸우는 입장이 되어 결코 이기지 못한다. 항상 'in which'가 이기고 따라서 같이 사망하는 경우도 없으므로 'zero 관계사'도 쓰일 수가 없다.

④의 경우 흔히 관계대명사 'that'는 전치사 다음에는 쓸 수 없다고 말하는데 대명사라면 못 쓸 이유가 없고 'that'는 본시 접속사 출신으로 그 앞에 전치사가 올 수가 없는 것이고 이런 점에서 앞으로는 'that'는 관계 대명사라는 명칭을 피하고 단순히 ‘관계사 that’라고 부르는 것이 합당하다.

The higher income tax is harmful in that it may discourage people from trying to earn more.

“더 높은 소득세는 사람들로 하여금 더 벌려는 의욕을 꺾을 수도 있다는 점에서 해롭다.”

다른 전치사는 안 되지만 '전치사 in'과 함께 'that'는 복합 접속사로서 ‘~라는 점에서’의 뜻으로 쓰일 수는 있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