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mMR0K2EkJpw
4401. [동덕여자대학교 2014]
(A)[Most of] his pictures (B)[have found their way] into museums, and (C)[the rest is] the treasures of wealthy (D)[amateurs].
4401. ['of 명사'에 따르는 주어 동사의 일치]
정답 - C [the rest is] → [the rest are] : 'the rest' 뒤에는 'of the pictures'가 숨어 있으므로 동사는 'are'를 사용해야 한다.
[해석] 그의 그림들의 대부분은 박물관들로 흘러 들어갔고 나머지는 부유한 아마추어들의 귀중품들이 되어 있다.
4402. [상명대학교 2014]
Our teacher (A)[expects us] to be on time, (B)[to do] (C)[all our homework], and (D)[sitting] quietly (E)[in class].
4402. [대등 병치]
정답 - D [sitting] → [to sit] : 'and sitting'과 병치된 대등한 표현이 없다. 부정사로 바꿔야 한다.
[해석] 우리 선생님은 우리가 시간을 지키고, 모든 숙제를 하고, 수업 시간에는 조용히 앉기를 기대하신다.
4403. **[숙명여자대학교 2014]
It was (A)[not until] the railway accident and his hospital (B)[confinement] ten years ago (C)[when] he (D)[made up] his mind to (E)[make] a medical doctor.
4403. [특수한 의미의 전치사 'It ~ that' 강조 구문 사용]
정답 - C [when] → [that] : '특수한 의미를 갖는 until'은 '관계 부사 when'으로 전환할 수 없으므로 'It ~ when 강조 구문'을 쓰지 않고 'It ~ that 강조 구문을 사용한다.
E : '노력이나 자질에 의해서 되는 것'은 'make'를 사용한다.
[해석] 10 년 전에 철도 사고와 병원 입원 후에 비로소 그는 의사가 되겠다고 결심했다.
[PT24-8]0851. ⋆ [서울여자대학교 2004-1]
It was (A)[not until] 1895 (B)[when] the (C)[southernmost] source of the river (D)[was] discovered.
[PT24-8]0851. ['it ~ that 강조 구문']
정답 - B : [when] → [that] : 'until'같은 특수한 의미를 갖는 전치사는 관계 부사 'when'으로 전환할 수 없으므로 강조 구문의 'focus'에 'not until ~'이 온 경우에는 'It ~ when 강조 구문'을 쓰지 않고 'It ~ that 강조 구문'을 사용한다.
[해석] 1895년에 비로소 이 강의 가장 남쪽의 발원지가 발견되었다.
4404. **[한양대학교 2014]
The modern origins of ethno-nationalist terrorism can be found in Ireland, (A)[whose] residents have been locked in a struggle with the English for most of the island's recorded history. The pope granted the English overlordship of the Irish in the twelfth century, but it was not until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that England's rulers settled large numbers of colonists on the best land in northeast Ireland, (B)[what] became known as the Plantation of Ulter. To make matters worse, the new colonists were protestants, while the native Irish (C)[who] were driven from their land or forced into penurious tenant farming remained loyal Catholics. The result was a tangled web of national, religious, and economic hatreds. Actual ethnic differences receded by the nineteenth century, however, since English and Scottish colonists had come to regard themselves as native-born Irish. Political divisions hardened when the United Kingdom of England and Scotland directly incorporated Ireland, thus dividing the Irish into two political blocs. Unionists were northerners (D)[who] regarded union with Britain as the best guarantor of their Protestantism and economic superiority, while republicans were Southerners and Northern Catholics who hoped for Irish independence. This created two overlapping conflicts: one between Irish republicans and the British, and one between Irish unionists and Irish republicans.
4404. ['지역의 what'이 아닌 경우]
정답 - B [what] → [which] : 다음 설명되는 '지역의 what'이 아닌 경우이므로 선행사가 있는 경우로 관계사는 'which'를 사용해야 한다.
[해석] 종족-민족주의 테러의 현대적 기원은 아일랜드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아일랜드 주민들은 기록된 이 섬의 대부분의 역사 동안 영국과의 투쟁에 얽혀있어 왔다. 교황은 12 세기에 아일랜드의 대영주 권을 영국에 넘겼지만 16 세기와 17 세기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영국의 통치자들은 많은 수의 식민지 사람들을 동북부 아일랜드의 최고의 땅에 정착시켰는데 이곳은 얼스터 농장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더욱 상황을 악화시킨 것은 새 식민지 사람들은 신교도인 반면에 자기 땅에서 쫓겨나거나 힘이 드는 소작농의 처지가 되었던 아일랜드 원주민들은 여전히 충성스러운 가톨릭이었다. 결과는 국가적, 종교적, 경제적인 증오가 얽히고 설키게 된 것이었다. 하지만 영국과 스코틀랜드 식민지 사람들이 자신들을 아일랜드 원주민으로 간주하게 되어서 실제적인 민족 간의 차별은 19 세기에는 줄어들었다. 영국과 스코틀랜드의 통합 왕국이 직접 아일랜드를 병합하고 아일랜드는 두 개의 정치적인 블록으로 분할하면서 정치적인 분할은 심화되었다. 통합주의자들은 영국과의 통합이 신교와 경제적인 우월성을 가장 잘 보장하는 것이라고 여기는 북부 사람들이고 반면에 공화주의자들은 아일랜드의 독립을 희망하는 남부 사람들과 북부의 가톨릭이었다. 이것이 두 개의 상충되는 투쟁을 야기했다. 하나는 아일랜드 공화주의자들과 영국 간의 투쟁이고 또 하나는 아일랜드 통합주의자들과 아일랜드 공화주의자들 간의 투쟁이다.
[지역의 'what'] ⋆⋆
By the end of the Ice Age, the area that is now New England had been literally reformed by glacial activity. "빙하 시대 말에는 지금으로 치자면 뉴잉글랜드인 지역은 글자 그대로 빙하 활동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아무 생각 없이 그냥 'New England had been ~'을 써도 될 것 같은데 그냥 쓰게 되면 빙하시대에 'New England'라는 명칭이 없었다는 논리적 모순이 생긴다. 이를 피하기 위해 ‘지금으로 치면 'New England'에 해당되는’이라는 관계절을 동원해서 논리적인 모순을 피한다.
The first European people to live in what is now Alaska were Russians who had journeyed over to the west coast of North America in search of gold.
"지금으로 치자면 알래스카에 해당하는 곳에 살았던 최초의 유럽인들은 금을 찾아서 북아메리카의 서부 해안을 따라 건너온 러시아인들이었다."
'the area which is now Alaska'에서 선행사인 'the area'와 'which'를 융합시켜 'what'으로 바꿀 수 있는데 이 경우의 'what'을 '지역의 what'이라 칭한다.
During the 1600's skilled shoemakers were scarce in what is now the United States. "1600 년대에 솜씨 좋은 구두 제조인들이 지금으로 치면 미국에 해당되는 지역에는 드물었다."
해석할 때는 그냥 빨리 'in the United States'로 이해하면 된다.
Rachel Thompson was born in Georgia on December 24, 1786 and died near what is today Stilwell, Oklahoma, on April 22, 1876.
"레이첼 톰슨은 1786 년 12 월 24 일에 조지아에서 태어났으며 지금으로 치면 오클라호마 주의 스틸웰 인근에서 1876 년 4 월 22 일에 사망했다."
They were Arabs from what is now Libya, then called Tripoli.
"그들은 당시에는 트리폴리라 불렸던 지금으로 치면 리비아 출신이었다."
The Beaufort station was located not far from what is today Beaufort Avenue in Livingston, NJ. "보퍼트 역은 오늘날로 치자면 뉴저지 주 보퍼트 가에 해당되는 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했었다."
[ET21-1-1]0748. ⋆⋆ [고려대학교 2007-1]
(A)[Founded in] 427 in northeastern India, not far from (B)[where is today] the southern border of Nepal, and (C)[surviving until] 1197, Nalanda was one of the first great universities in (D)[recorded] history.
[ET21-1-1]0748. ['지역의 what']
정답 - B : [where] → [what] : 'where'는 'in which'로 본다면 주어가 없고 물론 '전치사 from'의 목적어도 없어서 곤란하다. 'is now ~'나 'is today ~' 또는 드물게 'is to become'이 나오면 'the area which'에 해당되는 일명 ‘지역의 what’을 써야 한다. ‘오늘날의 네팔 남쪽 국경’으로 해석할 수 있다. 427년에는 네팔이란 지명이 없는 문제를 논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표현이다. 논리를 무시하고 'from the southern border of Nepal'로 그냥 빨리 이해해도 좋다.
A : 설립된 것이므로 과거 분사를 쓴 것이 맞다.
C : 1197 년까지 존속한 것은 자동사이므로 현재 분사를 쓴 것이 맞다.
A. C : 모두 분리된 전치 수식이다.
D : 이 경우 'history'는 불가산 명사로 정관사가 필요 없다.
[해석] 인도의 동북부 오늘날의 네팔 남쪽 국경에서 멀지 않은 곳에 설립되어서 1197년까지 존속했던 나란다는 기록된 역사상 최초의 위대한 대학교 중의 하나였다.
'편입 문법 3000 Pl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935회] (0) | 2023.07.05 |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934회] (0) | 2023.07.03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932회] (0) | 2023.06.28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931회] (0) | 2023.06.27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930회] (0) | 2023.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