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2021. 3. 15. 03:25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UAqLtQLTD18

#   "For God's sake, Miguel. What are you doing?"

   Relief (A)[  ] intense it made Miguel almost lightheaded poured through him as he saw Montalvo swimming toward the boat Miguel had abandoned to come after Laura Ann. "I'm being a hero. But evidently not very well. I'd get in that boat fast. We seem to be fascinating this alligator, but his buddy may come back. And there are too many underwater roots for you to get that boat close to the tree, if that's what you plan (B)[  ] doing. Could you nudge this alligator out of the way?" He added, "Quickly, please?"

 

#1.  빈칸 (A)에 들어갈 단어는?

#2.  빈칸 (B)에 들어갈 단어는?

 

[해석]  "아이고 하나님, 미구엘. 자네 뭐하고 있는 거여?"

    미구엘이 거의 빈혈이 나게 할 정도의 강한 안도감이 흘러나왔다. 로라 앤을 구하기 위해서 미구엘이 버려놓았던 배를 향해 몬탈보가 수영해 오는 것을 보았을 때 말입니다. "영웅 놀이하고 있지요. 하지만 그다지 잘 안되는 게 분명하네요. 저 보트를 빨리 타려고 했죠. 우린 이 악어를 매료시킨 거 같소. 하지만 친구 놈이 올 수도 있슈. 그라고 물 아래엔 뿌리가 너무 많아서 거 보트는 나무 가까이로 보낼 수  수다. 그게 (믿고) 하려는 계획이면요. 이 악어는 가볍게 찔러서 치워주삼?" 그는 덧붙여 말했다. "제발, 후딱요?"

[정답]   1. (A) : so      2. (B) : on

 

[어휘 또는 표현]

lightheaded : 경솔한, 생각이 모자라는; 마음이 변하기 쉬운; 현기증이 나는, 머리가 어지러운

relief¹ [rilíːf] : (고통·고민 들의) 경감, 완화; (고통 등이 사라진 후의) 안심, 안도; [고통 등을] 덜어주는 것; (빈민·난민 등에 대한) 구원, 구제; (영세민에 대한) 복지금; 심심풀이, 기분 전환; 교체, 교대; (포위된 도시·요새 등의) 구출, 구원  : (L relevare : raise again, alleviate → O F relever : raise up, relieve → late Middle E relief) [불어 거쳐서 만들어진 것인데 '-lief'를 'levare'(raise)로 기억하자. 고통을 들어내는 거, 들어서 경감시키는 거, 돈을 줘서 가난에서 건지는 거, 교체하는 거, 구출하는 거 등으로]

relief² : 두드러짐, 현저함; 돋을새김, 양각, 부조 [마치 들어 올려 돋보이는 거]

I'm being a hero. 

'be 동사'의 진행형이므로 일시적인 행동으로 '영웅 놀이하다'의 뜻이다.

But evidently not very well. = But evidently (I am) not (being a hero) very well. "하지만 분명 그다지 잘 하진 못 하고 있네요."

nudge [nʌdʒ] : 가볍게 밀다, 팔꿈치로 살짝 찌르다; [남의] 주의를 끌다; 접근하다  : (Norwegian dialect nugga, nyggka : to push, rub) [어원 불명이나 'push'로 기억하자]

[해설]

[후치 수식의 so ~ (that)]

Relief (A)[so] intense it made Miguel almost lightheaded ~

= Relief (which was) so intense (that) it made Miguel almost lightheaded ~

'so'에 따르는 결과절에 'that'가 생략될 수 있고 그 전체가 앞의 명사를 후치 수식할 수 있다. 'Relief'가 주어이고 정동사는 'poured'다.

[plan to ~ vs. plan on ~ing]

거의 같은 뜻이지만 격식체(formal)에서는 'plan to ~'를 사용한다. 'plan on ~ing'는 점차 사용 빈도가 늘고는 있지만 비격식체(informal)에서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다만 용법이 딱 같지는 않다. 'plan to'는 계획 자체를 분명하게 밝히고 'plan on ~ing'는 연관된 의존성 기타 등을 관련시키는 차이가 있다고 한다.

if that's what you plan (B)[on] doing "그게 (믿고) 하려는 계획이면"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명사의 내부 구조의 목적어 탈락형  (0) 2021.03.21
SAT Grammar 2) Comma splice와 Colloquial expressions  (0) 2021.03.16
in despair와 동격의 that 절  (0) 2021.03.11
SAT Grammar 1)  (0) 2021.03.10
양화사 하향 (Quantifier float)  (0) 2021.03.09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