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AJkKVg2S78I
4369. [동덕여자대학교 2014]
Jekyll Island has been (A)[one] of Georgea's (B)[state] (C)[parks] (D)[in] 1954.
4369. ['since와 현재 완료']
정답 - D [in] → [since] : 현재 완료는 분명한 과거 시간 'in 1954'와 사용될 수 없고 계속성을 나타내는 'since 1954'로 사용해야 한다.
B, C : parks of the state → state parks
[해석] 제킬 아일랜드는 1954 년 이래로 조지아 주의 주립 공원들의 하나이다.
4370. [상명대학교 2014]
A strange (A)[coincidence] (B)[was happened] when (C)[the news] (D)[was] (E)[announced] this morning.
4370. ['자동사 happen'은 수동 불가]
정답 - B [was happened] → [happened] : Middle E : ['hap'(= event) + en(동사화 접미사)]의 구조로 자동사로만 사용되고 따라서 수동은
[해석] 오늘 아침 그 뉴스가 발표되었을 때 이상한 일치가 있었다.
4371. *[서강대학교 2014]
The degree (A)[to which] an adverbial was integrated into clause structure affected its punctuation in two positions: initial position and final position. (B)[Frequently unpunctuated], adjuc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clauses (C)[in which] they occur. Disjucts and conjuncts, on the other hand, are sentential adverbs, and their relatively frequent punctuation reflects their loose connection to the clauses (D)[which] they are members.
4371. [관계사 앞 전치사]
'명사인 which'는 단독으로 내려갈 자리가 없다. 'of which'를 사용해야 'members of which'에서 동반 이동해서 앞으로 나올 수 있다.
A : 'to some degree'에서 보듯이 선행사가 'The degree'이므로 'to which'를 사용하는 것이 맞다. 소위 관계사 앞 전치사의 선행사 결정형이다.
[참고]
[Adverbial] (부사부)
1) Adjunct : 부가 부사부 : 시간, 장소 부사부 at that time
2) Subjunct : 종속 부사부 : 밑에 붙는 부사 just stopped, certainly intelligent
3) Conjunct : 접속 부사부 eg, however, in the first place
4) Disjunct : 분리 부사부 eg, 문장 수식 부사 fortunately
부사부는 이처럼 4가지로 분리되는데 용어의 통일이 되지 않고 있다.
[해석] 부사부가 절의 구조에 통합되었던 정도는 두 위치에서 구두법에 영향을 끼쳤습니다. 문두 위치와 문미 위치가 그것입니다. 흔히 구두법이 표시되지 않는 'Adjuncts'는 그것들이 발생하는 절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반면에 'Disjuncts'와
'Conjuncts'는 문장 수식 부사인 경우가 흔하고 그것들의 상대적으로 빈번한 구두법은 자신이 속한 절과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4372. *[이화여자대학교 2014]
Arnold's view of culture (A)[has to]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his time. Arnold, like other 19th century commentators, believed that mechanization and urbanization (B)[would] (C)[inevitable] lead to a morally (D)[bankrupt] society that would eventually collaspse into (E)[anarchy].
4372. [형용사와 부사의 선택]
정답 - C [inevitable] → [inevitably] : 동사인 'lead'를 수식하여, 어렵게 말하면 아래에 붙어서(Subjunct) 종속 부사부(한 개짜리지만)로 사용되려면 형용사가 아니고 부사인 'inevitably'가 사용되어야 한다.
[해석] 아놀드의 문화에 대한 견해는 그 당시의 문맥에서 이해되어야만 한다. 아놀드는 19 세기의 다른 논평가들과 같이 기계화와 도시화가 궁극적으로는 무정부 상태로 붕괴하게 되는 도덕적으로 파산된 사회로 필연적으로 이어지게 될 거라고 믿었다.
'편입 문법 3000 Pl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927회] (0) | 2023.06.18 |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926회] (0) | 2023.06.16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924회] (0) | 2023.06.12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923회] (2) | 2023.06.10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922회] (0) | 2023.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