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 문법 3000 Plus2021. 12. 6. 17:51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1yvLdsS_Mss

[ET73-1-1]3166. [한국외국어대학교 2010]

One of (A)[chief things] in science (B)[is] careful observation, for things that (C)[look] rather alike may actually (D)[very different] when we come (E)[to look] closely.

[ET73-1-1]3166. [서법 조동사]

정답 - D : [very different]  [be very different] : 서법 조동사 'may' 뒤에는 동사의 원형이 따라야 한다. 형용사 앞에 'be 동사'를 쓰면 된다. 일반 동사를 쓰려면 'vary greatly'를 쓸 수도 있기는 하다.

C : 2형식 동사로 쓰이고 있다.

E : {to look [at them] closely}에서 상황 상 알 수 있는 'at them'이 생략된 경우이다.

[해석] 과학의 주요한 것들 중의 하나는 주의 깊은 관찰인데 대개 비슷해 보이는 것들이 세밀하게 살펴보면 실제로는 매우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ET73-1-2]3167.  [서강대학교 2011]

Order the following four responses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inference beginning with the strongest.

"Someone's knocking at the door."

A : That should be Minsu.           B : That could be Minsu.

C : That must be Minsu.             D : That may be Minsu.

(A) A - B - C - D              (B) D - C - B - A

(C) C - D - A - B              (D) C - A - D - B

[ET73-1-2]3167. [조동사 : 가능성의 정도]

다음 네 개의 응답을 추론의 강도에 따라 가장 센 것부터 나열하시오.

정답 - D

인식형 가능성의 정도 : could be < might be < may be < will be < should be < must be

누군가가 문을 두드리고 있네.

[해석] "누군가 문을 노크하고 있네."

A : 민수일 거야.

B : 혹 어쩌면 민수일지도 모른다.

C : 민수임이 틀림없다.

D : 민수일지도 모른다.

 

[핵심 문법] 조동사 may, can, must

(1) 인식형 : may, can(~일지도 모른다); must(~임에 틀림없다)

 긍정 평서문

It may / *can be true. = It is possible that it is true.

평서문에서 인식 상 '~일지도 모른다.'는 'may'를 사용한다.

It must be true. = I'm sure that it is true.

평서문에서 인식 상 '~임에 틀림없다.'는 'must'를 사용한다.

A friend may betray you. "(실제로) 한 친구가 널 배신할지도 모른다."

A friend can betray you. "(이론적으로) 어느 친구라도 널 배신할 수 있다."

He may know Tom's address. = It is possible that he knows Tom's address.

Lightning can be dangerous. = It is possible for lightning to be dangerous.

평서문에서 'can'은 이론적인 가능성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He is as poor as can / *may be.

이론적인 가능성을 나타내는 경우이므로 'may'를 쓸 수 없다.

Whatever may / *can come, I'll not break my word.

양보 부사절에서는 실제로 무슨 일이 일어나도의 의미이므로 'may'를 사용한다.

 부정문

It can not be true. = It is not possible (= impossible) that it is true.

부정문에서 'can' 뒤에 쓰인 'not'은 항상 조동사 부정으로 'cannot' '~일 리가 없다'를 뜻한다.

It may not be true. = It is possible that it is not true.

인식형에서 'may' 뒤에 나오는 'not'은 본동사 부정으로 '~가 아닐지도 모르다'의 뜻이다.

It must not be true. = I'm sure that it is not be true.

'must '뒤에 나오는 'not'은 항상 본동사 부정으로 '~가 아니라고 확신하다'의 뜻이다.

 의문문

Can it be true? = Is it possible that it is true?

*May / Might it be true?

인식 상의 가능성을 묻는 경우에는 'can'을 사용한다. 'may'는 쓸 수 없고 'might'는 가능하기는 하다.

*Must it be true?  Are you sure it is true?

'must'는 화자의 확신이므로 청자의 생각을 묻는 의문문에서 사용할 수 없다.

(2) 구속형 : may, can(허락); must(의무)

 긍정 평서문

You may leave now. (화자의 허락) = You are allowed to leave now.

You can leave now. (사정 상 허용) = You are allowed to leave now

You must leave now. (의무) = You are required to leave now.

 부정문

You may not leave now. = You are not allowed to leave now.

구속형의 경우 'may' 뒤의 'not'은 조동사 부정으로 허락되지 않는 것이므로 '금지'를 나타낸다.

You can not leave now. = You are not allowed to leave now.

부정문에서 'can' 뒤에 쓰인 'not'은 항상 조동사 부정으로 지금은 '가벼운 금지'를 나타낸다.

You must not leave now. = You are required not to leave now.

'must '뒤에 나오는 'not'은 항상 본동사 부정으로 '강한 금지'를 나타내는데 'not leave'는 곧 'stay'와 같은 뜻이다.

(3) 양쪽형

His mother says he may go.

인식형 : 게 엄마는 게가 갈지도 모른다고 한다.

구속형 : 게 엄마는 게가 가도 좋다고 한다.

You must be very tolerant.

인식형 : 너는 매우 참을성이 있음이 틀림없다.

구속형 : 매우 참을성 있게 굴어야 한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