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 문법 3000 Plus2021. 2. 8. 07:41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P29qYQdW6cM

[CT2-286]1265. ⋆⋆ [중앙대학교 2009]

With the Federal Reserve (A)[having reached] the limit of how much it can help the economy with cuts in the interest rate, (B)[Washington's ability to] end or at least limit the recession (C)[depends in] large part on the effectiveness of the big package of additional spending. (D)[No error]

[CT2-286]1265.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 'how much' + 기타]

정답 - D

A : 'with 구문'은 완료 분사 사용 가능하다.

B : 'ability'는 동격 후치 수식은 부정사로 한다.

C : depends (in large part) on ~ : 많은 부분 ~에 달려있다

the limit of how much it can help the economy with cuts in the interest rate

= the limit of the amount it can help the economy with cuts in the interest rate

"이자를 낮춰서 경제를 도울 수 있는 금액의 한계"

[해석] 연방준비은행이 이자율 인하로 경제를 도울 수 있는 금액의 한계에 이르렀기 때문에 불경기를 끝내거나 또는 적어도 억제하는 미국의 능력은 많은 부분 추가적인 대규모의 소비 촉진 패키지에 달려있다.

 

[핵심 문법] 형용사 또는 부사인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

That's how big it was.

= That's the size (that) it was.

'주절의 is' 다음에 보어가 없다. 또 '관계절의 was '다음에도 보어가 없다. 이 양쪽의 보어 자리를 채우기 위해 마치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처럼 'how big'이 사용되고 있다. 같은 뜻이 되도록 보어 관계사로 전환하면 'the size that it was'를 쓸 수 있다.

This is how big I hope to become some day! My future body! 

"이게 내가 언젠가 되길 희망하는 덩치야. 내 미래의 몸!"

That's how long it takes.  "그게 필요한 길이야."

= That's the length of time (that) it takes.

'long'이 쓰인 경우이면 선행사로 'the length'를 써서 같은 뜻이 되게 할 수 있다.

Take your waist measurement and divide it in half; this is how wide each apron needs to be.

"허리 치수를 재서 반으로 나눠라. 이게 각각의 앞치마의 필요한 폭이다."

This is how much I miss you. "이렇게 난 널 그리워했어."

= I miss you this much.

정도 부사로 바꿀 수도 있다.

That is how much this has helped me. "저만큼 이게 내게 도움이 된 거야."

This is how much I know about myself. "이만큼 난 나 자신에 대해서 알지."

= I know this much about myself.

This is what I know about myself. "이렇게 난 나 자신에 대해 알지."

= I know this about myself.

이는 'what'을 이용하는 유사 강조 구문과 비슷하다.

This is how much I was charged from the company. "이만큼 난 회사로부터 청구당했지."

= This is the amount I was charged from the company.

금액이면 'the amount' 써서 같은 뜻을 표현할 수 있다.

For me $ 35 is the limit of how much I am willing to spend for a pair of shoes. (금액)

"나에겐 35 달러는 신발 사기 위해 내가 쓸 수 있는 한도야."

You can email me if necessary, but that might be the limit of how much I can help. (범위)

"필요하면 이메일 보내세요. 하지만 그게 내가 도울 수 있는 한계에요."

John will be however tall his father was. "아버지의 키가 얼마였든 그만큼은 클 거다."

'주절 be'의 보어와 '관계절 was'의 보어 자리를 'however tall'이 마치 'whatever N'처럼 채우고 있다.

John will be however deceitful his clients want him to be that won't get him disbarred.

"존은 고객이 원하면 변호사 자격을 잃지 않는 한도까지는 속임수를 쓸 거다."

My lawyer will be however ruthless their lawyer is.

'그들의 변호사가 얼마만큼 무자비하든 내 변호사도 그만큼 그럴 수 있다."

 

[CT2-287]1266.  [중앙대학교 2007-1]

My father made it (A)[perfectly] clear that he did not intend (B)[to drive] all the way to North Carolina (C)[again] without (D)[Rose and I] to keep him company.

[CT2-287]1266. ['without' 목적격 + 부정사 구문]

정답 - D : [Rose and I]  [Rose and me] : 'with'나 'without' 구문의 의미상의 주어의 격은 목적격을 사용한다. 그런데 뒤에 부정사(to keep)가 따르는 것이 이상하게 생각될 수도 있겠네요.

At first I felt uncomfortable being alone without him to keep the conversation moving.

"(그가 없는데) 그가 있어서 대화를 진행되게 할 수 없었기 때문에 홀로 있는 것이 처음엔 불편했다."

​이처럼 가능성의 개념이 있으면 부정사를 사용한다.

Without him to keep me sane, I would be so lost. He knows me better than anyone, better than I know myself! 

"그가 나를 나를 미치지 않게 하지 않으면 나는 난감해질 것이다. 그는 누구보다도 날 더 잘 안다. 나보다 나를 더 잘 안다."

​조건의 의미를 갖고 있어서 부정사를 쓰고 있다.

It will get cloudy in the evening, with rain to follow. "저녁에는 날씨가 흐릴 것이야. 비가 올 거 같아서."

'동시적인 상황'이 아니고 미래임이 분명하면 'with 구문' 다음에도 부정사를 사용한다.

The horse will cross the river first, the elephants to follow.

"말이 먼저 강을 건너게 될 거고 코끼리들이 뒤따를 것이다."

​여기서도 미래 의미가 분명해서 부정사를 사용하고 있다.

The police dashed in, with Melvin following behind. "경찰이 돌진해 들어왔고 멜빈이 뒤따르고 있었다."

장소적으로 뒤따르고 있는 것은 동시 상황이어서 분사를 사용하고 있다.

keep someone company : 누구를 상대해 주다  : spend time with someone so that they will not feel lonely

[해석] 아버지는 로즈와 내가 함께 하지 않으면 다시 저 멀리 노스캐롤라이나까지 차를 몰고 갈 생각이 없음을 아주 분명히 했다.

[Ⅰ권 끝]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1. 2. 8. 07:38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ShAhr_8dbkg

[CT2-282]1261. ⋆⋆ [한국외국어대학교 2006-1]

Sharks are the most _________ of sea creatures for their formidable power. _________ the common belief that sharks have few rivals, not only do they have many of them, but their greatest enemy can always be nearby  a bigger shark.

(A) fearless  According to               (B) fearing  Despite

(C) fearsome  As                       (D) feared  Contrary to

(E) fearful  Unlike

[CT2-282]1261. [감정 분사와 최상급의 젠체하는 (죽마) 표현]

정답 - D : 'the most feared sea creature' 대신 'the most feared (*sea creature) of sea creatures'를 쓰는 것은 좀 젠체하는 표현이지만 이른바 죽마 표현인데 자세한 설명은 여기선 줄인다. 문어체에서 제법 쓰인다.

a sea creature that people fear : 사람들이 두려워하는 해양 동물

= a sea creature (which is) feared (by people) : 사람들의 두려움의 대상이 되는 동물

: 홀로 남은 'feared'를 앞으로 보내면 'a feared sea creature'가 되는데 '(사람들에 의해서) 두려움의 대상이 되는 해양 동물'의 뜻이 된다.

B : 'a sea creature which fears people'은 '사람들을 두려워하는 해양 동물'의 뜻이다.

= 'a sea creature fearing people'에서 'fearing people'을 전치 수식으로 전환하면 'a (*people-) fearing sea creature'가 되는데 '막강한 힘 때문에 (사람들을) 무서워하는 해양 동물'은 의미상 곤란하다.

A : fearless : 두려움이 없다는 뜻이므로 '용감한, 대담무쌍한'의 뜻이다. 'According to'는 의미상 적합하지 않다.

C : 'fearsome(= very frightening)'은 '무시무시한, 소심한'의 뜻인데 뒤의 '자격의 전치사 as'는 전혀 적합하지 않다.

E : fearful : 두려움으로 가득 차 있는 것이므로 '무서워하는(frightened)'의 뜻인데 상어가 무서워한다는 뜻은 적합지 않다.

[해석] 상어는 가공할 힘 때문에 가장 두려움의 대상이 되는 해양 동물이다. 라이벌이 거의 없다는 일반적인 믿음에도 불구하고 라이벌이 많을 뿐만 아니라 가장 무서운 적인 더 큰 상어가 항상 근처에 있을 수도 있다.

 

[CT2-283]1262. ⋆⋆[숙명여자대학교 2010]

주어진 글에서 문법 혹은 문맥에 맞지 않는 표현을 고르시오.

Any language has its own difficulties and stumbling blocks. In a conversation or in giving a speech when one employs a foreign tongue, he must be constantly guarding (A)[against] falling into traps existing in the vocabulary with which he is not completely (B)[unfamiliar]. Otherwise he may well (C)[mislead] his audience. The audience, too, must be careful to remember that it is hearing its own language (D)[as] used by a non-native speaker. They must not take in all they hear at complete face value (E)[unless] they are certain of its real intent.

[CT2-283]1262. [문맥 + '단계 또는 국면의 as']

정답 - B : [unfamiliar]  [familiar] : 문맥상 '완전히 익숙하지는 않은 어휘들 속에 존재하는 함정들에 빠지는 것을 항상 경계하고 있어야 한다.'의 뜻이어야 한다.

D : 단계 또는 국면의 as = its own language as it is used by a non-native speaker

'비 모국어 화자가 사용하고 있는 자신들의 언어"

Good grammar is based on the language as (it is) used by those who speak and write it.

"좋은 문법은 언어를 말하고 쓰는 사람들에 의해서 사용되는 바의 언어에 기초한다."

C : must 문장 + otherwise(= or)(그렇지 않으면) : 'may well'은 여기서 '~하는 것이 당연하다'의 뜻이 아니고 '아마도 ~하게 될 거다'의 뜻으로 쓰이고 있다.

[해석] 어떤 언어든 그 나름의 어려움과 장애물이 있다. 외국어를 사용해서 대화를 하거나 연설을 할 때 완전히 익숙하지는 않은 어휘들 속에 존재하는 함정에 빠지지 않도록 끊임없이 경계하고 있어야만 한다. 그렇지 않으면 아마도 청중을 잘못 유도하게 될 겁니다. 청중 또한 비 모국어 화자가 사용하고 있는 자신들의 언어를 듣고 있음을 주의해서 명심해야 한다. 자신들이 들은 모든 것을 진짜 의미에 대해 확신이 있지 않는 한 완전히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아야 한다.

 

[CT2-284]1263. [아주대학교 2006-1]

__________ stealing a loaf of bread, Jean Valjean __________ five years in prison.

(A) Convicted  was sentenced                  (B) Convicted  was sentenced to

(C) Convicted of  was sentenced               (D) Convicted of  was sentenced to

[CT2-284]1263. [수동태 뒤의 전치사]

정답 - D : A is convicted of ~ing : ~의 혐의로 기소되다

A is sentenced to ~ : ~형을 선고받다

[해석] 빵 한 덩이를 도둑질한 혐의로 기소되었던 장발장은 5년형을 선고받았다.

 

[CT2-285]1264.  [성균관대학교 2007-1]

The essence of the larger problem (A)[is that] despite the dreadful conditions (B)[that] urban squatters face, their numbers are growing at rates (C)[as much as twice] that of the cities themselves and every step (D)[taking to] improve living conditions in the slums (E)[only attracts] more migrants.

[CT2-285]1264. [후치 수식의 능동과 수동]

정답 - D : [taking to]  [taken to] : 방법(step)은 취해지는 것이므로 수동인 과거 분사로 후치 수식해야 한다. 'every step [which is taken to improve living conditions in the slums] only attracts more migrants.'에서 'which is'가 삭제된 형태이다.

C : 비절 비교인 'as much as'는 두 배를 강조하기 위해 쓰인 '무려'의 뜻이다. 비절 비교인 'as much as'를 제외하고 보면 'at rates twice that of the cities'인데 'twice that of the cities'가 뒤에서 'rates'를 바로 수식할 수 있다. 'at rates double that of the cities'를 쓸 수도 있다. 지금까지는 명사를 이용한 배수 비교이다. 형용사를 이용한 배수 비교라면 'rates twice as high as that of the cities'를 사용한다. 'twice as much as'를 쓰지는 않는다. '*rates which are (twice) as much as the rate'가 가능해 야 하는데 'much'가 'are'의 보어로 쓰일 수는 없기 때문에 불가능하다. 'John earned twice as much as Jack.'에서는 'much'가 'earned'의 목적어로 쓰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도시들의 성장률은 평균적으로 보아서인지 비교의 기준치여서 인지는 몰라도 'the rate'를 즉 반복을 회피해서 'that'으로 쓰고 있다. 무단 거주자들의 증가 비율은 반복적으로 여겨서인지 'rates'를 쓰고 있다.

[해석] 더 큰 문제의 핵심은 도시의 무단 거주자들이 직면하는 끔찍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숫자가 도시 자체의 성장률에 비해 무려 두 배나 빨리 증가하고 있으며 빈민가의 생활여건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취해지는 모든 조처는 더 많은 사람들을 유입시킬 뿐이라는 점이다.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1. 2. 6. 01:25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5AWMjPU6vWI

[CT2-276]1255.  [한국외국어대학교 2005-1]

A Drug and Food Administration report (make) public Wednesday shows that bacterial contamination at the vaccine plant in Britain is more widespread than previously thought, (raising) doubts about the company's ability to deliver flu shots next year.

(A) makes --- will raise

(B) being made --- is raised

(C) should make --- has raised

(D) will make --- raised

(E) made --- raising

[CT2-276]1255. [분사의 후치 수식과 계속적 용법]

정답 - E : 주어는 'A Drug and Food Administration report' 동사는 'shows' 목적어는 'that '이다. 따라서 '(make) public Wednesday'는 'report'를 후치 수식해야 하는데 '공표된 report'로 수동 관계이므로 과거 분사인 'made'를 써야 한다. 'shows ~ and raises ~'로 등위 될 수 있지만 'and'가 없으므로 분사 구문의 계속적 용법으로 바꾸면 'raising'이 된다.

[해석] 수요일 공표된 식약청의 한 보고서는 영국의 백신 공장의 박테리아 감염이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널리 퍼져있음을 보여주고서는 이 회사가 내년에 독감 예방 주사를 공급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CT2-277]1256. [동아대학교 2005-1]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가장 적당한 것을 고르시오.

Today it is known that _______________ magnetism.

(A) electricity has relate to                (B) electricity is relating to

(C) electricity is related to                 (D) relating to electricity

(E) as electricity to

[CT2-277]1256. [수동태]

정답 - C : 'A is related to B' 또는 'A relate to B'로 쓰인다. 물론 'relate A to B'도 가능하다.

A : 'has' 다음에 원형이 따를 수 없다.

B :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진행형으로 쓸 수 없다.

D : 'that ' 속에 주어도 없고 정동사도 없어서 곤란하다.

E : 'that '은 진주어 인데 주어도 없고 동사도 없어서 곤란하다.

[해석] 오늘날 전기는 자력과 관계가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CT2-278]1257. [성균관대학교 2012]

(A)[What] I cannot forget is (B)[the way] he had with an idea, the genuine curiosity (C)[with which] he approached it, the pause (D)[while] he gave his little thoughtful cough, and then the bulldog tenacity (E)[which] he would argue his point.

[CT2-278]1257. [관계사 앞 전치사 필요형]

정답 - E : [which]  [with which] : 'which' 'he(주어) would argue(동사) his point(목적어)'에 들어갈 자리가 없어서 곤란하다. 'with the bulldog tenacity'를 관계사로 바꾸면 'with which'가 되어야 한다.

D : the pause while he gave his ~ cough : 생각에 잠겨 작게 기침하는 동안의 중단

Love the pause while he decides which way to evade. 

"어느 쪽으로 피할까 그가 결정하는 그 망설임을 사랑하라."

What did you do throughout the summer while I worked? "내가 일했던 그 여름 내내 넌 뭘 했어?"

'while'의 'during which'로 관계 부사로 볼 수도 있고 (O E 'the while that'), 그냥 'while ~'이 형용사절로 앞의 명사를 꾸민다고 보아도 된다. 이는 '단계 또는 국면의 as'와 마찬가지다.

This is freedom as we generally understand it.

"이것이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에서의 자유이다."

He soon fell asleep and dreamed of his home when he was a boy.

"그는 곧 잠에 떨어졌고 소년 시절의 집에 대한 꿈을 꾸었다."

'when 절'이 형용사 절로 앞의 명사를 수식할 수 있듯이 'as 절'도 형용사 절로 앞의 명사를 수식할 수 있는데 'as'의 경우에는 절 내부에 수식하는 명사를 대명사로 받았을 때에 한해서 쓰인다. 이때 'as'는 '~할 때의; ~하는 단계에서는; ~하는 한에서'의 뜻으로 쓰이는데 이를 ‘단계 또는 국면의 as’라고 칭한다.

[have a way with (someone or something)]

~을 잘 다루다; ~에 재주가 있는  : to have a special skill when working with someone or something

Sarah has a way with flowers. She can arrange them beautifully. 

"세라는 꽃을 잘 다룬다. 꽃들을 아름답게 배치할 줄 알아."

She has a way with Jeff. She can get him to do anything.

"그녀는 제프를 잘 다룬다. 제프가 어떤 것도 하게 설득할 줄 안다."

She has a way with young children. "그녀는 애들을 잘 다룬다."

He seems to have had a way with foreigners. "그는 외국인들을 잘 다뤄왔던 것 같다."

tenacity : 끈기; 고집; 불굴

point : (·문제의) 요점, 중요한[기본적인] 사항, 중점, 주안점

[해석] 내가 잊을 수 없는 것은 그가 자신의 아이디어를 다루는 솜씨, 아이디어에 접근하는 순수한 호기심, 생각에 잠겨 작게 기침하는 동안의 멈칫거림 그리고 자신의 요점을 주장하는 불도그 같은 끈기이다.

 

[CT2-279]1258. [계명대학교 2005-2]

Air pollution and smog (A)[may appear] yellow or brown, but (B)[sometimes] they (C)[do not] easily distinguished from haze, which usually (D)[is] blue to white.

[CT2-279]1258. [수동태]

정답 - C : [do not]  [are not] : 'do not' 다음에는 최소한 원형인 'distinguish'가 따라야 한다. 과거 분사가 따르고 쉽게 구분되어지다로 수동형을 써야 한다.

[해석] 대기 오염과 스모그는 노란색이나 갈색으로 보이지만 때로는 안개와는 쉽게 구분되는데 안개는 파란색에서 흰 색인 경우가 보통이기 때문이다.

 

[CT2-280]1259. ⋆⋆ [고려대학교 2010]

She likes to tell you (A)[in detail] about television programs she (B)[finds them interesting], but (C)[they do not] seem especially interesting (D)[the way] she describes them.

[CT2-280]1259. [관계사 흔적 자리 대명사 + '양태의 the way']

정답 - B : [finds them interesting]  [finds interesting] : 흔적 자리에 대명사 'them'을 쓴 경우이다. 'television programs (which) she finds  interesting'의 구조로 흔적 자리에 대명사를 쓰지 않아야 한다.

C : 'they' 'television programs'를 받은 것이다.

D : 'the way S V ~'는 '~한 것처럼, ~하는 대로'의 뜻이고 'the way' 대신 'as'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해석] 그녀는 자신이 재미있다고 생각하는 TV 프로들에 대해서 자세히 말하기를 좋아하지만 그 프로들은 그녀가 말하는 것처럼 특히 재미있어 보이지는 않는다.

 

[핵심 문법]

the way 주어 동사 = as 주어 동사

1) ~하는 것처럼, ~하듯이, ~하는 대로

I'm telling the facts the way I see them. (내가 본대로)

Sounds interesting the way / as you describe it. (네가 말한 것처럼)

The papers, the way she describes them, were fantastic. "그 신문들은 그녀가 묘사하는 것처럼 환상적이었다."

2) ~로 판단하건대, ~하는 바로는

The way / As I see it , you can either run from it or learn from it.

"내가 보는 바로는 넌 그걸로부터 도망칠수도 있고 배울 수도 있다."

The way they proposed the problem, we can assume that none of them are thinking of changing their mind. 

"그들이 문제를 제기하는 바로 판단하건대 그들 누구도 생각을 바꾸지 않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CT2-281]1260. [광운대학교 2006-1]

A key factor (A)[affecting] an immigrant's (B)[earnings] is how long he (C)[or she] has been (D)[lived] in the United States.

[CT2-281]1260. [수동태 불가능한 동사]

정답 - D : [lived]  [living] : '자동사인 live'는 수동태로 쓰일 수 없다. 동족 목적어를 취한 경우라면 'A happy life was lived by her.'처럼 수동태가 가능하다.

C : 성차별을 피하는 표현이다.

[해석] 이민자의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한 가지 요인은 그가 미국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살아왔느냐는 것이다.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1. 2. 6. 01:21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rdhyjIfW7pg

[CT2-270]1249. [세종대학교 2004-1]

From 1898 to 1933, the U.S. Weather Bureau obtained information about the weather from ___________ to box kites.

(A) devices attached                            (B) attached to devices

(C) devices were attached                      (D) attached devices

[CT2-270]1249. [후치 수식]

정답 - A : 'devices which were attached to box kites'에서 'which were' 빠진 형태이다.

D : 'devices attached to box kites'에서 'attached'만 'devices' 앞으로 보낼 수 없다.

[해석] 1898년에서 1933년까지 미국 기상청은 상자 연에 부착된 장치들로부터 날씨에 관한 정보를 얻었다.

 

[CT2-271]1250.  [동국대학교 2007-1]

Efficiency enters the picture (A)[when] the resources (B)[demanded] to achieve an objective (C)[are weighed] against (D)[which] was actually accomplished.

[CT2-271]1250. ['which'와 'what']

정답 - D : [which]  [what] : 'against의 목적어가 필요하다. 'the thing which'에 해당하는 'what'을 사용해야 한다.

weigh A against B : B와 비교해서 A를 숙고하다

enter / come into the picture : 등장하다, 중요해지다

[해석]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필요한 수단을 실제로 달성한 것과 비교해서 숙고할 때 효율성이 중요해진다.

 

[CT2-272]1251. [세종대학교 2003-2]

(A)[Noted] the nervousness of the speaker, the director broke the ice (B)[by telling] a joke (C)[before introducing] (D)[her].

[CT2-272]1251. [분사 구문의 능동과 수동]

정답 - A : [Noted]  [Having noted] : 'Noted'는 과거 분사 면 수동이므로 뒤에 목적어가 따르지 못하고 과거형이면 옆에 주어가 없어서 안 된다. 'Having noted'의 완료 분사가 적합하다.

[해석] 디렉터는 연사의 긴장을 알아채고 그녀를 소개하기 전에 농담으로 차가운 분위기를 깼다.

 

[CT2-273]1252. [계명대학교 2003-1]

The water buffalo is (A)[the only] (B)[kind of] buffalo (C)[what] has ever (D)[been tamed].

[CT2-273]1252. ['that'과 'what']

정답 - C : [what]  [that] : 선행사가 이미 있는 경우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인 'what'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해석] 물 버펄로는 지금껏 길들여진 유일한 종류의 버펄로이다.

 

[CT2-274]1253. [아주대학교 2005-1]

Some (A)[filmmakers] are more (B)[concerning] with (C)[what] is being shown than how it is (D)[made].

[CT2-274]1253. [능동과 수동]

정답 - B : [concerning]  [concerned] : be concerned with : ~에 관심을 갖다

[해석] 일부 영화제작자들은 영화의 제작 방식보다 영화의 내용(보여주는 것)에 더 관심을 갖는다.

 

[CT2-275]1254. [숭실대학교 2004-1]

Researchers won approval from the committee to field-test plants __________ to resist certain diseases.

(A) gene engineering                        (B) genetically engineered

(C) genetic engineering                     (D) genetic engineer

[CT2-275]1254. [후치 수식 분사]

정답 - B : approval (from ~) to field-test plants : 'plants'는 'field-test'의 목적어로 쓰이고 있다

plants genetically engineered to resist = plants which are genetically engineered to resist

[해석] 연구자들은 일부 질병들에 대해서 내성을 갖도록 유전자가 조작된 식물들을 실지 테스트하는 동의를 위원회로부터 받았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