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 https://youtu.be/WcrmT5KazjI
[PT18-13]0682. ⋆⋆ [경원대학교 2006-1]
The loss of money, (A)[due to] the raised exchange rate, has (B)[made him impossible] (C)[to go abroad] (D)[for his vacation].
[PT18-13]0682. [O-S 상승이 아닌 경우]
정답 - B : [made him impossible] → [made it impossible for him] : 뒤에 진 목적어가 따르므로 '가 목적어 it'을 사용해야 한다. '*He is impossible to go abroad for his vacation.'에서 부정사에 목적어 자리가 없으므로 O-S 상승은 불가능하다. 즉, 'It is impossible for him to go abroad for his vacation'에서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인 'him'을 앞으로 끌어올려 'it'을 대신해서 쓸 수 없다.
[해석] 환율의 인상으로 인해서 돈을 손해 보았기 때문에 그가 휴가차 외국으로 가는 것은 불가능해진 상태다.
[PT18-14]0683. [총신대학교 2009]
Since arriving in America, I have come to understand that ________ was instilled in me as a child was a myth.
(A) which (B) who (C) those (D) what
[PT18-14]0683.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 : 주어와 주격 관계사]
정답 - D : 'was instilled ~'의 주어도 필요하고 'was a myth'의 주어도 필요하므로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를 써야 한다.
[해석] 미국에 도착한 이래로 어린 시절 내가 배운 것은 그릇된 통념이었다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다.
[PT18-15]0684. [세종대학교 2009]
________________ to be simply irritable behaviour in a child may actually be a symptom of parental neglect.
(A) It may appear (B) What may appear
(C) Which may appear (D) That may appear
[PT18-15]0684.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 : 주어와 주격 관계사]
정답 - B : 선행사 포함의 what = the thing which
A : 'It may ~ in a child' 다음에 정동사 'may'가 이어질 수 없다.
C : 간접 의문문으로 보아야 하는데 보어로 'a symptom'이 따를 수 없다.
D : 'That may ~ in a child' 다음에 정동사 'may'가 이어질 수 없다.
[해석] 아이에게 있어서 단지 화를 잘 내는 행동 같아 보이는 것이 실제로는 부모의 자녀 방치로 인한 증세일지도 모른다.
[PT18-16]0685. [동덕여자대학교 2009]
Williams met a Forty-niner who said that ________ was tough trousers to replace the badly torn ones that he was wearing.
(A) he needed (B) to need what
(C) what he needed (D) what needed for him
[PT18-16]0685.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 : 주어와 목적격 관계사]
정답 - C : 'what'은 'needed'의 목적어와 'was'의 주어 자리를 채워준다.
A : 'that'이 선행사라면 'which'를 생략할 수 없다.
B : 'to need [what was tough trousers ~ wearing]'로 이어지면 명사절에 정동사가 없다.
D : 'what' 뒤에 최소한 'was'라도 있어야 한다.
fortyniner = forty-niner = Forty-niner : 1849년 금광 경기로 캘리포니아에 밀어 닥친 사람
[해석] 윌리엄즈는 포티나이너를 한 명 만났는데 그는 자신에게 필요했던 것은 심하게 찢어진 바지를 대체할 질긴 바지였다고 말했다.
[PT18-17]0686. ⋆ [홍익대학교 2007-1]
The greatest reward you get in the Police Department is ________ you do with the people you work with.
(A) what (B) as (C) that (D) which
[PT18-17]0686.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 : 보어와 목적격 관계사]
정답 - A : 'is'의 보어와 'do'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선행사 포함의 관계 대명사가 필요하다. 'the thing which'에 해당되는 'what'이 필요하다.
C : '접속사 that'이라면 ‘함께 일하는 사람들과 함께 하다’로 뜻이 이상해진다.
[해석] 여러분이 경찰에서 얻는 가장 큰 보상은 여러분이 동료들과 함께 행한 일이다.
[PT18-18]0687. ⋆⋆ [단국대학교 2009]
Oedipus is a play that will make you pensive. There is so much to reflect on from the dangers of pride to _______ fate has in store for us.
(A) what (B) that (C) in which (D) whose
[PT18-18]0687.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 : 전치사의 목적어와 목적격 관계사]
정답 - A : 'fate(주어) has(동사) [ ](목적어는 흔적 자리) ~'의 구조이므로 목적격 관계사가 필요하고 '전치사 to'의 목적어에 해당되는 선행사도 필요하므로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인 'what'이 쓰여야 한다.
things that fate has in store for us : 운명이 우리에게 일어나게 준비하고 있는 것들
in store : if something is in store for you, it will happen to you in the future
None of us knew what lay in store. "우리들 누구도 무엇이 기다리고 있었는지 알지 못했다."
Can we know what lies in store for us? "우리는 무엇이 우릴 기다리고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까?"
God has a fabulous plan in store for us. "하나님은 우리에게 멋진 계획을 갖고 계신다."
No one can comprehend what fate has in store and neither did Romeo and Juliet.
"무슨 운명이 기다리고 있는지 누구도 이해할 수 없으며 로미오와 줄리엣도 이해하지 못했다."
'fate'는 양쪽형 명사인데 ‘운명의 힘’의 뜻일 때 불가산 명사로 쓰인다.
reflect on ~ : ~을 숙고하다, 곰곰이 생각하다 pensive : 생각에 잠기게 하는
[해석] 오이디푸스는 여러분을 생각에 잠기게 하는 희곡입니다. 오만함의 위험들에서부터 운명이 우리에게 일어나게 준비하고 있는 것들에 이르기까지 곰곰이 생각해야 하는 많은 것들이 담겨있다.
[PT18-19]0688. [동덕여자대학교 2006-1]
The phenomenon of ________ are known as corporate networks has also attracted attention.
(A) those (B) what (C) which (D) their
[PT18-19]0688.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 : 전치사의 목적어와 주격 관계사]
정답 - B : '동격의 전치사 of'의 목적어도 필요하고 'are'의 주어 역할을 하는 관계 대명사도 필요하다. 'the things which'에 해당되는 'what'이 쓰여야 한다.
[해석] 알려진 바 사내 통신망이라는 현상은 또한 주목을 받게 되었다.
[PT18-20]0689. ⋆⋆ [고려대학교 2011]
Art mirrors or reflects society, its virtues and vices, but, unlike a mirror, it is active; it affects ___________.
(A) that is a reflection of it (B) that it is a reflection
(C) what a reflection it is (D) what it is a reflection of
[PT18-20]0689.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 : 목적어와 전치사의 목적어 관계사]
정답 - D : 'what'은 'affects'의 목적어이면서 동시에 '전치사 of'의 목적어이다.
Literature is a reflection of society. "문학은 사회상을 반영한다." = Literature reflects society.
what it is a reflection of = the things (which) it(= art) is a reflection of = the things (which) it reflects
A : 'affects'의 선행사가 없다.
B : 'affects'는 'that 절'을 목적어로 취하지 못한다.
C : 간접 의문문으로도 곤란하다.
[해석] 예술은 사회와 사회의 도덕과 부도덕을 비추거나 반영하지만 거울과 달리 행동적이다. 즉 예술은 예술이 반영한 것(즉, 사회)에 영향을 미친다.
'편입 문법 3000 Pl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125회] (0) | 2021.01.13 |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124회] (0) | 2021.01.13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122회] (0) | 2021.01.13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121회] (0) | 2021.01.13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120회] (0) | 2021.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