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 https://youtu.be/QnyLthyoecw
[PT19-7]0705. [단국대학교 2012]
(A)[One] college professor developed the idea (B)[which] rats might perform better on the detection test (C)[if] they lived in a rich environment (D)[than] in a small barren cage.
[PT19-7]0705. ['which'와 '동격의 that']
정답 - B : [which] → [that] : 뒤에 명사인 'which'가 들어갈 자리가 없다. 동격으로 'that'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D : rats might perform y well on the detection test if they lived in a rich environment : they perform x well on the test in a small cage. : y well → better / x well → than / 반복되는 'they perform'과 'on the test'는 생략.
[해석] 한 대학교수는 쥐들이 작고 황폐한 우리에서 살 때 보다 풍요로운 환경에서 살게 된다면 탐색 테스트에서 더 좋은 성적을 낼지도 모른다는 견해를 내놓았다.
[PT19-8]0706. ⋆ [성균관대학교 2008-1]
This new style of painting did not last (A)[long] and was soon (B)[followed] by an even more drastic transformation (C)[in] Picasso's - and in the rest of the (D)[world's] - understanding of (E)[that] painting should be.
[PT19-8]0706. ['that'과 '의문사 what']
정답 - E : [that] → [what] : 'that'은 지시사로도 곤란하고 접속사로도 곤란하고 의문사인 'what'을 써야 한다. 'what'은 의문사로 ‘것’이 아니고 ‘무엇’으로 해석해야 한다.
[해석] 이 새로운 유형의 회화는 오래가지 못했고 피카소의 (물론 나머지 세상 사람들의) 회화란 무엇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이해 속에서 더욱더 대담한 회화 유형의 변화로 이어지게 되었다.
[PT19-9]0707. ⋆ [세종대학교 2010]
As women have (A)[moved away] from the traditional status of (B)[homemakers], notions of (C)[that] a marriage (D)[should be] have changed to accommodate the new reality.
[PT19-9]0707. ['관계사 that'과 '의문사 what']
정답 - C : [that] → [what] : 'should be'의 보어도 필요하고 '전치사 of'의 목적어도 필요하다. 전치사 다음에 관계사 'that'은 올 수 없다. 'What should a marriage be?'가 '전치사 of'의 목적어로 간접 의문문이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해석] 여성들이 전통적인 가정주부의 지위로부터 벗어났기 때문에 결혼은 어떤 것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개념들도 이러한 새 현실을 수용하기 위해 변화되었다.
[PT19-10]0708. [명지대학교 2010]
I (A)[look upon myself as] very fortunate in that I (B)[have found] men so interesting (C)[whom] I am almost incapable (D)[of being bored] by them.
[PT19-10]0708. [관계사와 '상관 접속사 that']
정답 - C : [whom] → [that] : 앞의 'so'와 상관 접속되어야 한다. 선행사도 없고 흔적 자리도 없다.
B : {men [(who are) so interesting that I am ~]}가 'have found'의 목적어로 쓰이고 있다.
A : look upon A as B : A를 B로 간주하다
in that ~ : ~라는 점에서
[해석] 너무 재밌어서 그들 때문에 거의 지루해지는 것이 불가능한 사람들을 찾았다는 점에서 나는 나 자신이 매우 운이 좋다고 여긴다.
[PT19-11]0709. ⋆ [동아대학교 2005-1]
One of the oldest large suspension bridges still ___________ today is the George Washington Bridge between New York City and Fort Lee, New Jersey.
(A) using (B) is used (C) the use of (D) are used (E) in use
[PT19-11]0709. [관계절의 축소 후의 전치사구의 후치 수식]
정답 - E : 'One of the ~ bridges'가 주어이고 'is'가 동사이므로 그 사이에는 관계절이 나와야 하는데 'that are still in use'에서 'that are'가 생략되고 'still in use'가 후치 수식을 할 수 있다.
B, D : 관계사는 없이 정동사인 'is'와 'are'가 사용되어서 곤란하다. 'that are still being used'라면 가능하다.
A : 능동인 현재 분사는 곤란하다.
[해석] 오늘날 여전히 사용되고 있는 가장 오래된 현수교 중의 하나는 뉴욕시와 뉴저지주 포트 리를 연결하는 조지 워싱턴 브리지다.
[PT19-12]0710. ⋆ [서울여자대학교 2011]
Bolivia today is undergoing (A)[profound change], and those (B)[bring it about] are the very people (C)[that have] been kept in a state of paralyzed submission (D)[for centuries].
[PT19-12]0710. [후치 수식과 원형]
정답 - B : [bring it about] → [bringing it about] : 'those'가 'are'의 주어이려면 'bring it about'는 'those'를 수식해야 하는데 원형이나 정동사는 수식 기능이 없다. 'those [who are] bringing it about'에서 'who are'가 생략되고 만들어지는 현재 분사를 사용해야 한다.
A : 'change'는 보통은 가산 명사인데 집합적 개념의 불가산 명사로도 드물게 쓰인다.
[해석] 볼리비아는 오늘날 깊은 변화를 겪고 있으며 이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 사람들은 수 세기 동안 꼼짝 못 하고 복종 상태에 갇혀있어 온 바로 그 사람들이다.
[원전]
Bolivia today is undergoing profound change, and those bringing it about are the very people whom various forms of despotism have kept in a state of paralyzed submission for centuries.
'편입 문법 3000 Pl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130회] (0) | 2021.01.14 |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129회] (0) | 2021.01.14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127회] (0) | 2021.01.14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126회] (0) | 2021.01.14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125회] (0) | 2021.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