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 문법 3000 Plus2020. 12. 10. 21:20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aHvaxQd_Vr8

[PT2-17]0056. [한국외국어대학교 2002-1]

Select one which is grammatically correct.

(A) Fred didn't like it, yet said nothing.

(B) Jim went to bed early, nevertheless felt tired.

(C) Chuck did not want it, for was obstinate.

(D) Bill was looking well, although slept little.

(E) Pat felt tired, so that went to bed early.

[PT2-17]0056. [접속사와 주격의 주어]

정답 - A : 'yet'는 접속사로 정동사를 등위시킬 수 있다.

[해석] 프레드는 싫었지만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B : [nevertheless] → [but] : 'nevertheless'는 접속 부사로 두 개의 정동사를 등위시킬 수 없다.

[해석] 일찍 잠을 잤지만 피곤함을 느꼈다.

C : [for was] → [for he was] : 접속사 뒤에 주격의 주어가 나온 후에 정동사가 따라야 한다.

[해석] 척은 그것을 원치 않았는데 완고해서 그럴 것이다.

D : [although slept] → [although he slept] : 접속사 뒤에 주어가 나온 후에 정동사가 따른다.

[해석] 잠을 거의 못 잤지만 빌은 건강해 보였다.

E : [so that went] → [so that he went] : 복합 접속사 'so that' 다음에도 주어가 나온 후에 정동사가 따라야 한다.

[해석] 팻은 피곤함을 느꼈고 그래서 일찍 잠자리에 들었다.

 

 

[PT2-18]0057.⋆ [숭실대학교 2010]

The word 'story' comes from 'history': the stories that historians, biographers, and journalists _____________ are supposed to be true accounts of what happened.

(A) narrate             (B) narrating             (C) narratives            (D) to narrate

[PT2-18]0057. [관계절의 정동사]

정답 - A : 목적격 관계사인 'that'이 쓰이고 있으므로 관계절에는 정동사가 필요하다. 'narrate'는 현재형으로 정동사이다.

B, D : 부정사와 분사는 모두 준동사이다.

C : 명사일 뿐이다.

[해석] 'story'란 단어는 'history'에서 연유되었다. 역사가, 전기 작가와 저널리스트들이 말하는 이야기들은 일어난 일들에 대한 올바른 기술이어야 한다.

 

 

[PT2-19]0058. [서울여자대학교 2010]

What is most challenging __________ effective policies to deal with the consequences of extremely asymmetric expansion of the global economy.

(A) in finding             (B) to find             (C) is found            (D) is to find

[PT2-19]0058. [주절의 정동사]

정답 - D : [What is most challenging(주어)] [is(정동사)] [to find ~ (보어)]

A, B : 주절의 정동사가 없다.

C : 수동태로는 연결되지 않는다.

[해석] 가장 어려운 것은 세계 경제의 극단적으로 비대칭적인 발전의 결과를 다룰 수 있는 효과적인 정책을 찾는 것이다.

 

 

[PT2-20]0059.⋆⋆ [고려대학교 2004-1]

A : Is the Sunset Restaurant a nice place?

B : It's a wonderful place. Rather expensive, though.

A :__________ since Jim will probably pick up the tab. See you there.

(A) Not to worry                           (B) Not opened

(C) We'll have to go Dutch             (D) We'll get take-out

[PT2-20]0059. [시제문 조건의 예외인 숙어]

정답 - A : 주어와 정동사가 없지만 관용적으로 쓰이는 표현이다. (= You do not need to worry.)

[해석]

A : 선셋 레스토랑은 괜찮은 곳이니?

B : 멋진 곳이야. 다소 비싸기는 하지만.

A : 아마도 짐이 계산할 거니까 걱정할 필요가 없어. 거기서 보자.

We'll get take-out. "우리는 포장해 나갈 거다."

We'll have to go Dutch. "나눠서 낼 거야."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