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7hKACPa1JHI
4031. [상명대학교 2017]
(A)[By the time Ryan graduates], he (B)[has spent] four years in college and (C)[a total of sixteen years of his life] in school. Like many students, Ryan believes that the time and money (D)[spent on his education] (E)[will pay off].
4031. [부사절 미래 표시 현재와 주절의 미래 완료]
정답 - B [has spent] → [will have spent] : 부사절에 준하는 'by the time' 뒤에서 현재형은 미래를 나타내는 표현이므로 뒤에는 현재 완료가 아니라 미래 완료인 'will have spent'를 사용해야 한다.
[해석] 라이언이 졸업할 즘에는 대학에서 4 년 학교에서 평생의 총 16 년을 보낸 셈이 될 것이다. 많은 학생들처럼 라이언은 자신의 교육에 들인 시간과 돈이 이익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믿고 있다.
4032. **[서강대학교 2017]
A striking contrast can (A)[usefully be drawn] with the study of Egyptian pottery, which, during (B)[the last two decades] of the twentieth century, moved inexorably-- and beneficially--(C)[the age of] subjective description to (D)[a more rigorous era] of objective analyses.
4032. ['move' 자동사와 타동사]
정답 - C [the age of] → [from the age of] : 'move'는 'to (cause to) change position'의 뜻으로 자동사로 더 많이 사용된다.
Will you help me move this table to the back room? (타동사)
본문제에서 선행사는 'the study'로 'moved'의 주어인데 연구가 능동으로 'the age'(시대)를 옮길 수가 없다. 연구는 자연스럽게 이동하는 것이므로 목적어가 존재하지 않고 'from A to B'로 이동의 출발점과 이동점을 나타내는 것이 맞다.
[해석] 이집트 도자기 학에서 현저한 한 가지 대조가 유용하게 그려졌는데 20 세기의 마지막 20 년 동안에 가차 없이 (그리고 유용하게) 주관적인 기술의 시대에서 보다 더 엄격한 객관적 분석의 시대로 나아갔다.
4033.* [서울여자대학교 2017]
The terrain of Antarctica, (A)[near] one and half (B)[times] as big (C)[as] the United States, (D)[is] amazingly varied.
4033. ['전치사인 near'와 '극단 약화(부)사인 nearly']
정답 - A [near] → [nearly] : 숫자는 딱 정해진 것이므로 극단에 해당되고 거기에는 '극단 약화사 nearly'를 붙일 수 있다.
[해석] 남극 대륙은 미국보다 거의 1 배 반은 큰데 그 지형은 놀랄 정도로 다양하다.
[PT65-9]2810. ⋆ [세종대학교 2009]
(A)[So] great was the movement of people to urban areas that the newspaper editor Horace Greeley declared, "We cannot (B)[all] live in cities, yet (C)[near] all seem determined to do (D)[so]."
[PT65-9]2810. ['near'와 'nearly' + 양화사 하향]
정답 - C : [near] → [nearly] : 'all'을 꾸미려면 부사(극단 약화사)인 'nearly'가 쓰여야 한다.
B : 'All of us'에서 'all'이 하향된 것이다.
A : 'was'의 보어인 'so great'가 앞으로 도치되고 주어가 뒤로 간 구조이다.
[해석] 사람들의 도시 지역으로의 이동이 하도 많아서 신문사 편집인인 호러스 그릴리는 "우리가 모두 도시에 살 수는 없지만 그럼에도 거의 모두가 그럴 결심을 하고 있는 것 같다."라고 선언했다.
4034.*** [명지대학교 2017]
Many lotteries use consumer research, including surveys, penetration studies, and focus groups, to keep (A)[their] sales booming. Lottery officials (B)[have learned], for instance, that tickets are often impulse items. So they cover convenience stores with banners, place lottery tickets and (C)[displays] near other impulse items like candy, and use clever TV ads to keep consumers buying. Scratch tickets were also an innovation to get consumers to play more regularly; even relatively small winnings from scratchers (D)[to keep] consumers playing.
4034. ['semicolon'과 '근거 제시의 for' ]
정답 - (D) [to keep] → [keep] : 앞의 'semicolon'은 '근거 제시의 for'를 대신해서 사용될 수 있다. 당연히 여기서는 주어와 정동사가 따라야 하므로 준동사인 'to keep'은 정동사인 현재형 'keep'이 사용되어야 한다.
C : {[cover ~ ], [place ~ ] and [*display ~], [and use ~]}로 병치될 수 없다. 'display'는 'displayer'의 뜻으로 명사로 더 많이 사용된다.
So they {cover convenience stores with banners}, {place lottery [[tickets] and (C)[displays]] near other impulse items like candy}, and {use clever TV ads to keep consumers buying}.의 구조이다. {lottery [tickets] and [displays]}로 묶인 것이 맞다.
[해석] 많은 복권사들은 서베이, 침투 연구, 그리고 포커스 그룹을 포함하는 소비자 리서치를 이용하는데 복권의 판매를 활황으로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복권사 직원들은 예컨대 복권은 충동 품목인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이들은 편의점에 복권 깃발을 두르고 복권과 복권 디스플레이어를 캔디 같은 다른 충동 물건들 근처에 두고 영리한 TV 광고를 이용하는데 소비자들이 계속 구매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석 복권 또한 소비자들이 더 자주 복권 게임을 하게 하려는 혁신적인 것인데 심지어 즉석 복권에서의 적은 당첨도 소비자들을 계속 게임을 하게 하기 때문이다.
[ET19-3-3]S0409.⋆
After the chemical spill we had to drink bottled water; the well water was no longer ______.
(A) risible (B) potable (C) supine (D) viable (E) tenable
S0409.
[논리 구조]
화학 물질 유출 사고 후에 우물물은 더 이상 마실 수 없는 상태였다.
세미콜론이 근거 제시의 'for'를 대신하고 있다.
[어휘]
potable [póutəbl] : 마실 수 있는 : (L potare : to drink, akin to bibere : to drink)
tenable [ténəbl] : 공격에 견딜 수 있는; 조리 있는 : (L tenēre : to hold)
viable [váiəbl] : 생존 가능한; 실행 가능한 : (L via, vita : life)
vital : 생명에 꼭 필요한
supine [suːpáin|sjùː-] : 반듯이 드러누운, 손바닥을 위로 향한; 게으른, 무기력한, 나태한 : (sup, sub : under, face up)
risible [rízəbl] : 웃을 수 있는; 잘 웃는; 우스운 : (L ridēre : to laugh)
ridiculous : 우스운, 어리석은
정답 : B
'편입 문법 3000 Pl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41회] (0) | 2022.12.06 |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40회] (0) | 2022.12.04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38회] (0) | 2022.11.30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37회] (0) | 2022.11.27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36회] (0) | 2022.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