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 https://youtu.be/aqKEg6m2S3o
[PT30-19]1323. [아주대학교 2003-1]
Korea will not advance in getting (A)[what] it wants in other areas, he said, (B)[unless] Korea makes it (C)[clearly] that its agriculture market (D)[will become] open at least in the long term.
[PT30-19]1323. [형용사와 부사의 선택 : 목적격 보어]
정답 - C : [clearly] → [clear] : 'makes 목적어' 다음에 오는 목적격 보어는 형용사로 쓴다.
[해석] 한국이 한국의 농업시장이 적어도 장기적으로 개방된다는 점을 분명히 하지 않는 한 다른 분야에서 한국이 원하는 것을 얻는데 진전이 없을 것이다.
[PT30-20]1324. ⋆⋆ [국민대학교 2004-1]
Select one which is grammatically correct.
(A) She tried to pull the string tight.
(B) To teach young kid, you need a patience.
(C) Anyone absent at work must be punished.
(D) We cannot afford eating in restaurants nowadays.
[PT30-20]1324. [형용사와 부사의 선택 : 목적격 보어]
정답 - A : 댕겨서 팽팽한(tight) 상태가 되게 하는 것이므로 'tight'는 목적격 보어로 형용사가 맞다.
I painted the door red. (의역) "나는 문을 빨갛게 칠했다." (직역) "나는 칠을 했고 문은 빨개졌다."
He pulled the door open. (의역) "그는 문을 댕겨 열었다." (직역) "나는 댕겼고 문은 열렸다."
'pull'은 'paint'와 마찬가지로 'make' 유형의 변화형 동사로 사용됩니다.
I pulled the string tight / *tightly. ('tight'는 부사와 형용사 다 가능하지만 여기서는 형용사이고, 'tightly'는 부사로만 사용된다.)
우리말로는 '줄을 단단히(tightly) 댕기다'는 훌륭한 표현입니다. 하지만 영어로는 'pull ~ *tightly'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손으로 잡는 행위나 댕기는 행위가 'tight'하지 않아도 (ㅎ 살살 댕기겠죠, 현이라면 끊어지지 않게) 결과적인 상태는 'tight'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tight'는 형용사로 '행위의 결과'를 나타내는 형용사(a resultative adjective)이다.
I pulled the string forcefully. "나는 줄을 강제로 댕겼다."
이런 경우라면 부사 'forcefully'를 사용하겠죠. (ㅎ 끊어지는 것을 감수하고)
I ironed the shirt smoothly. (= I ironed the shirt in which the action of ironing was smooth) (다리는 방식)
I ironed the shirt smooth. (I ironed the shirt and the result was that the shirt was smooth) (다린 결과)
보통은 '매끈한 상태가(ㅎ 주름이 없는) 되게 하는' 것이므로 이 뜻으로는 'smoothly'는 곤란하다.
They were pulling a rope hard. "그들은 로프를 거세게 당기고 있었다." ('hard'는 형용사, 부사로 다 사용되지만 여기선 부사)
댕기는 방식을 묘사하는 부사입니다. (ㅎ 로프 안 끊어지고 안 단단해(형용사 'hard') 집니다.)
Shut the door tight. "문을 단단히 닫아라."
여기서 'tight'는 부사로 'in a tight manner, securely'의 뜻이다. 우리말과 상관없이 영어로는 '닫는 행위의 결과'로 문이 'tight'해지는 것은 아닙니다.
[해석] 그녀는 줄을 당겨 팽팽하게 만들려고 애썼다.
B : [a patience] → [patience] : 'patience'는 불가산 명사; [young kid] → [young kids] : 'kid'는 가산 명사 [해석] 어린아이들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인내가 필요하다.
C : [absent at] → [absent from] [해석] 결근한 사람은 누구든 벌을 받아야 한다.
D : [afford eating] → [afford to eat] [해석] 우리는 요즘 레스토랑에서 식사할 여유가 없다.
[ET31-1-1]1325. [단국대학교 2012]
He could remember (A)[driving] along the road just (B)[before] the accident (C)[happens], but he couldn't (D)[remember] the accident itself.
[ET31-1-1]1325. [과거 시제]
정답 - C : [happens] → [happened] : 과거의 일이므로 과거 시제를 사용해야 한다.
A : 이전 사건에 대한 기억이므로 동명사가 따르는 것이 맞다.
[해석] 그는 사고가 발생하기 바로 전에 그 길을 따라 운전을 했던 것은 기억이 났지만 사고 자체는 기억이 나지 않았다.
[ET31-1-2]1326. [숙명여자대학교 2006-1]
When, in the eighteenth century, nationalism began to (A)[take form] as a modern movement, (B)[its] forerunners in many (C)[parts of] Europe were not soldiers and statesmen but scholars and poets who (D)[seeked] to find in ancient legends and (E)[half forgotten] folksongs the 'soul' of the nation.
[ET31-1-2]1326. [불규칙 과거형]
정답 - D : [seeked] → [sought] : 'seeked'는 없는 단어이다. seek → sought → sought
A : take form : 구체화하다; 형태를 갖추다 : to begin to develop; to start to exist or be seen
take a form : 모양이 잡히다, ~의 형식을 취하다
'form'은 양쪽형 명사인데 '컨디션'의 뜻일 때는 불가산 명사로 사용된다.
[해석] 18세기 민족주의가 현대적인 운동으로 구체화되기 시작할 때 유럽의 많은 지역에서 민족주의의 선구자들은 군인이나 정치가가 아니고 고대의 전설과 반은 잊어진 민요에서 국가의 '정신'을 찾고자 애썼던 학자와 시인이었다.
[ET31-1-3]1327. [세종대학교 2009]
You have undoubtedly (A)[discovering] that the greatest (B)[learning] comes from (C)[asking] the right questions. The hardest questions, of course, have no "right answer," but they are important steps on the path to (D)[understanding].
[ET31-1-3]1327. [현재 완료]
정답 - A : [discovering] → [discovered] : 'have (undoubtedly) PP'로 현재 완료가 되어야 한다. 'have + ~ing'의 결합은 없다.
D : path to ~ing or 명사 : 이해로 가는 길
[해석] 올바른 질문을 하는 데서 가장 큰 배움을 얻는다는 것을 확실히 발견했을 겁니다. 물론 가장 어려운 질문들에는 ‘올바른 답’이 없지만 이 질문들은 이해로 가는 길의 중요한 단계입니다.
[핵심 문법] ⋆⋆ 현재 완료의 의미상의 용법 Ⅰ
1) 완료의 결과적 용법
I lost my watch.
과거형은 과거의 사건을 언급할 뿐 현재와는 원칙적으로는 무관하다. 지금 시계가 없을 가능성이 많지만 찾아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I have lost my watch.
현재 완료는 과거의 사건이 현재 시점과 연관성을 갖게 된다. 그 연관성이 결과적인 경우, 즉 잃어버려서 지금 결과적으로 시계가 없다는 뜻일 때 이를 완료의 결과적 용법이라 한다.
He broke his leg.
다리가 부러진 사건을 언급할 뿐 현재와는 원칙적으로는 무관하다. 지금도 낫지 않은 상태일 가능성이 많지만 지금은 나아서 멀쩡할 수도 있다.
He has broken his leg. "그는 다리가 부러진 상태다." (결과적 용법)
He has gone. "그는 지금 가버리고 없다." (결과적 용법)
*Have you gone?
"너는 지금 가버려서 없니?"라는 질문은 앞에 있는 상대방에게 할 수 없다.
*I have gone to the station.
"나는 역에 가고 없다."라는 말을 상대방에게 할 수 없다.
We have gone to the canteen. Call 010-7323-8680. (칠판)
"우리는 식당에 가 있다."라고 칠판에 적어 놓을 수는 있다.
2) 완료의 경험 용법
He has broken his leg twice. (경험 용법)
빈도 부사가 나오면 경험을 얘기하는 것으로 현재 다리가 부러진 상태일 가능성은 아주 적다.
I've been a teacher, but now I'm a computer salesman. (경험 용법)
I have been to New York. "나는 뉴욕에 가본 적이 있다." cf. *I have gone to New York.
여기서 'been'은 결과적 용법으로 쓰이는 'gone'을 대체하는 표현으로 "having gone and returned"의 뜻으로 순수한 'be 동사'의 과거 분사는 아니다.
I've been to Japan ten times already, but I still don't speak much Japanese.
사건에 대한 얘기라기보다는 주어인 'I'의 자격을 얘기하는 표현으로 'scene setter'라 할 수 있다.
I have never been in Italy. '나는 이태리에 가 있어 본 적이 없다." (체류)
Have you ever gone / been skiing in the Alps?
I've never gone / been for a swim at night.
Have you ever gone / been on holiday in winter?
'go '다음에 '~ing'나 'for 명사' 또는 'on 명사'가 따를 때 'been'의 사용은 선택적이다.
3) 완료의 완료(인접성) 용법
He has broken his leg twice. (경험 용법)
He has broken his leg. (결과적 용법)
He has just broken his leg.
다리가 부러져서 지금 부러진 상태인 것도 사실이지만 사건의 완료 시점이 지금과 가깝다는데 의미의 중심을 두는 이런 경우를 완료의 완료(인접성) 용법이라 한다.
He just went out of the door.
미국식 영어는 'just'는 과거 시제와 쓰는 경우가 더 흔하다.
He *has come home just now.
He came home just now.
'just now'는 자체로 현재와의 인접성을 강하게 표현하고 있어서 중복되게 인접성을 현재 완료로 표현하지 않는다. 그냥 과거 시제를 사용한다.
I have been to the station. "역에 다녀왔다."
I have just been to the library. "막 도서관에 갔다 오는 길이다."
평상시에 흔히 다니는 곳이므로 경험 용법이 아니고 완료의 완료(인접성) 용법이다.
I've gone to the mall. (I haven't returned yet; I am still there.) [쪽지] "장 보는 중."
I've been to the mall. (I went and returned.) [쪽지] "장은 봤음."
A : So there you are! Where have you been? "이것 봐라. 너 왔구나. 어디 있다 온 겨?"
B : I've been in the canteen. "매점에 있다 왔어."
[ET31-2-1]1328. [아주대학교 2005-1]
The Ministry of Environment said the team captured the six wild bears in the Russian Far East on Sept. 30 in order to bring them to Korea as the ___________ endangered in this country.
(A) species are (B) species is (C) specie is (D) species are
[ET31-2-1]1328. ['-s형 단복 수 동형']
정답 - B : 'species'는 '종'이란 뜻인데 단수형과 복수형이 모두 '-s'로 끝난다. 곰은 하나의 종이므로 단수형인 'species'와 'is'가 쓰여야 한다. 'specie는 '정금'이란 뜻으로 쓰이는 불가산 명사이다. cf. a specie bank (정금은행) 이런 '-s형 단복 수 동형'으로 이외에 'series'와 'means'가 있다.
[해석] 포획 팀이 9월 30일 러시아 극동지역의 야생 곰 여섯 마리를 잡았는데 한국에는 이 종이 멸종 상태이기 때문에 한국으로 데려오기 위해서라고 환경부는 말했다.
'편입 문법 3000 Pl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248회] (0) | 2021.02.15 |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247회] (0) | 2021.02.15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245회] (0) | 2021.02.13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244회] (0) | 2021.02.13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243회] (0) | 2021.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