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완료'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21.02.22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269회]
  2. 2021.02.22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267회]
편입 문법 3000 Plus2021. 2. 22. 23:50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https://youtu.be/9PwUKMludJg

[PT34-5]1425. [대구대학교 2007-1]

____________ reached shelter when the storm broke.

(A) They hardly have                    (B) They have hardly

(C) Hardly they had                      (D) Hardly had they

[PT34-5]1425. [~하자마자 ~하다]

정답 - D : = They had hardly reached shelter when the storm broke.

[해석] 그들이 대피소에 도착하자마자 폭풍우가 시작됐다.

 

[PT34-6]1426. [서강대학교 2009]

No sooner (A)[had] scientists at Stanford University in 1973 begun rearranging DNA molecules in test tubes (B)[than] critics (C)[begin] likening these DNA procedures (D)[to] the physicist's power to break apart atoms.

[PT34-6]1426. [~하자마자 ~하다]

정답 - C : [begin]  [began] : 'No sooner ~ than(~하자마자 ~하다)'은 주절에는 'had PP'를 쓰고 'than' 이후의 종속절에는 과거 시제를 쓴다.

A : 부정 어구인 'No sooner'가 선행되었으므로 주어-기능사 도치가 발생하고 있다.

[해석] 스탠퍼드 대학의 과학자들이 1973년 테스트 튜브 속에서 DNA를 재배열시키자마자 비판자들은 이러한 DNA의 처리를 원자를 분열시키는 물리학자들의 힘에 비유하기 시작했다.

 

[PT34-7]1427.  [광운대학교 2005-1]

다음 문장의 밑줄 친 곳 중 어법상 가장 어색한 것을 고르시오.

The rapidity of the increase of scientific knowledge, in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A)[centuries], is (B)[apt to] give students and teachers the impression that no sooner is a problem stated (C)[before] the answer is (D)[forthcoming].

[PT34-7]1427. [no sooner ~ than ~]

정답 - C : [before]  [than] : 앞에 'no sooner'가 있으므로 뒤에는 'than'이 쓰여야 한다. 'no sooner' 대신 'hardly'나 'scarcely'가 있으면 'before'나 'when'을 쓸 수 있다.

no sooner is a problem stated than the answer is forthcoming.

= a problem is no sooner stated than the answer is forthcoming.

[해석] 19세기와 20세기에는 과학 지식의 증가의 빠름은 학생들과 선생님들에게 문제가 명시되자마자 답이 나온다는 인상을 주게 되는 경향이 있다.

 

[PT34-8]1428. [한국외국어대학교 2012]

Because the auditorium will only hold 120 guests, you must _________ March 24 at 5 pm.

(A) RSVP by          (B) have RSVP by           (C) RSVP until            (D) have RSVP until

[PT34-8]1428. [원형과 'by until']

정답 - A : 'R'이 'reply'에 해당되므로 'must' 다음에 바로 이어서 쓰면 된다. 기한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앞에 지속 시점이 필요한 'until'이 아니라 'by'가 쓰여야 한다.

[어휘] RSVP [άːrèsvìːː] : (파티 등의 초대에 참석 여부를 알리는) 회답을 하다; (좌석을) 예약하다 : (French Répondez s'il vous plaît. [reipóundei-si:l-vu:-pléi]. : Reply if it pleases you. cf. s'il = si il : if it)

[해석] 강당은 정원이 120 명에 불과하므로 3 24일 오후 5시까지는 참석 여부를 회답해야 한다.

 

[PT34-9]1429. [광운대학교 2001-2]

A : Can you repair my watch ________ Tuesday?

B : No, I will need to keep it ________ Saturday.

(A) by - by          (B) until - by             (C) by - until           (D) until - until

[PT34-9]1429. [기한의 by와 지속의 until]

정답 - C : 'repair'는 사건이므로 기준 시간을 나타내는 전치사 'by'를 사용하고 'keep'은 지속 개념이므로 전치사 'until'을 사용한다.

[해석] A : 제 시계를 화요일까지 고쳐주실 수 있죠? B : 아니오, 토요일까지는 갖고 있어야 해요.

 

[PT34-10]1430. [동덕여자대학교 2009]

________, Mozart had already written his first composition.

(A) Six years old         (A) His age of six           (C) By the six years         (D) By age six

[PT34-10]1430. [마감 시점 표시 전치사 by]

정답 - D : by age six / the age of six / six years of age : 6살 때에는 이미

at age six / the age of six / six years of age : 6살 때

A : 'When (he was) six years old'는 분명한 과거 시간을 나타내므로 'Mozart wrote ~'가 따라야 한다.

C : 기준 시간인 'by' 다음에 기간이 따르지 못한다.

[해석] 모차르트는 6살 때는 이미 그의 첫 작곡을 한 상태였다.

 

[PT34-11]1431. [영남대학교 2005-2]

I __________ for Seoul by the time you come back from your trip.

(A) shall leave            (B) shall have left            (C) am leaving           (D) have left

[PT34-11]1431. [미래 완료]

정답 - B : 이미 서울로 떠나고 없는 결과적 상태가 남는다는 뜻으로 미래 완료를 쓴다.

A : 'I shall(단순 미래) leave for Seoul.'을 쓰려면 뒤에 'when you come ~'이 온다.

[해석] 네가 여행에서 돌아왔을 때는 나는 서울로 떠나고 없을 것이다.

 

[PT34-12]1432. [성균관대학교 2004]

A : Environment is an ever-worsening problem.

B : You said it. By the end of next year, I guess it is likely that the seas of the country _____________ by all the rubbish poured into them.

(A) have polluted                 (B) are polluted             (C) have been polluted

(D) will have been polluted        (E) will pollute

[PT34-12]1432. [미래 완료]

정답 - D : 'I guess it is likely that'을 다 빼고 보면 앞에 미래의 기준 시점인 'By the end of next year'가 있으므로 미래 완료가 와야 한다.

A : 능동도 곤란하고 단순한 미래형도 곤란하다.

[해석] A : 환경은 날로 악화되고 있는 문제이다. B : 맞는 말이야. 내 생각에 내년 말에는 이 나라의 바다는 던져진 모든 쓰레기로 오염된 상태가 될 것 같다.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1. 2. 22. 23:42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https://youtu.be/0iZ-MDhzNss

[ET34-2-1]1415. [동국대학교 2004-1]

No matter what we do now, it is apparent that the population of the earth ________ considerably larger by the middle of the next century.

(A) will have been                (B) will be                (C) is                (D) be

[ET34-2-1]1415. [미래 완료]

정답 - A : 'by ~'는 기준 시점을 나타내므로 미래 완료가 나와야 한다. 'will be'를 사용하면 '더 커지기 시작할 것이다'의 뜻이 되어 적합하지 않다.

[해석] 우리가 지금 무엇을 하더라도 지구의 인구는 다음 세기 중엽에는 이미 상당히 더 커져있게 될 것 같다.

 

[핵심 문법] 미래 완료의 의미상의 용법

1) 결과적 용법

I will have retired by the year 2020. (결과는 은퇴한 상태) "나는 2020년에는 (이미) 은퇴하고 난 상황일 거다."

(That is, before or in the year 2020, my retirement will already be in the past.)

( 2020년 전이나 2020년에 나의 은퇴는 이미 과거사가 될 거다.)

I will retire in the year 2020. (미래 시제) "나는 202년에 은퇴할 거다."

By then the ground will have dried. "그때는 이미 땅이 마른 상태일 것이다." (결과는 마른 상태)

By then it will dry up a little. (미래 시제) "그때는 땅이 약간은 마르기 시작할 것이다."

Then the ground will dry again. (미래 시제) "그때 다시 마를 것이다."

I shall have left for New York by the time you come back from your trip. (결과는 없는 상태)

"네가 여행에서 돌아온 때는 나는 뉴욕으로 떠나고 없을 거야."

I shall leave for New York when you come back from your trip. (미래 시제) (동시 또는 직후에)

"네가 여행에서 돌아올 때 나는 뉴욕으로 떠날 거다."

2) 경험 용법

I will have visited New York three times if I go there once more.

"한 번더 가면 나는 뉴욕에 세 번 간 적이 있게 될 거다."

I shall have read this poem three times if I read it once again. "한 번더 읽으면 이 시는 세 번 읽는 셈이 될 거다."

3) 계속적 용법

By Christmas you will have been here for three months.

"크리스마스면 너는 여기 세 달째 있게 된다."

By the end of next week, I will have been with Google for six months.

"다음 주 말이면 나는 구글에 3 달 동안 일하게 된다."

Next year Professor Jones will have taught for more than thirty years.

"다음 해 존스 교수님은 30년 이상을 가르치게 되는 셈이다."

 

[ET34-2-2]1416. [경북대학교 2005-1]

Even though they ___________ for twenty years, the two neighbors are not very friendly.

(A) having been lived side by side                   (B) had been living side by side

(C) have been living side by side                    (D) having been living side by side

[ET34-2-2]1416. [현재 완료 진행]

정답 - C : 기간이 나와 있고 그 기간이 지금까지 이어지므로 현재 완료 진행이 적합하다.

[해석] 20년 동안 나란히 살아왔지만 그 두 이웃은 그다지 우호적이지 않다.

 

[핵심 문법] 현재 완료 진행의 의미상의 용법

I *have written since two o'clock.

I have been writing since two o'clock. "2시 이래로 글을 쓰고 있다."

2시 이래 지금까지의 시간은 그리 긴 시간이 아니고 '반복 사건'이라기보다는 계속 이어지는 행위이므로 단순히 'have PP'를 사용한다고 완료의 계속적 용법이 성립되지는 않는다. 이런 경우는 완료와 진행을 겹쳐서 사용하면 된다.

I have known her for two years. "나는 2년 동안 그녀를 알고 지낸다."

I *have been knowing her for two years.

상태 동사인 'know' 'have PP'로 완료의 계속적 용법이 성립된다. 상태 동사이므로 완료 진행은 쓸 수 없다.

1) '진행 중인 action'이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경우

Gail has been remodeling her room. (미완성) "게일은 자기 방을 리모델링 해오고 있다."

Gail has remodeled her room. (완성) "게일은 자기 방을 리모델링 해 두었다."

They have been repairing that bridge for months. (미완성) "그들은 여러 달 동안 그 다리를 보수해오고 있다."

2) 과거에 시작된 습관이나 상황이 현재까지 이어짐을 표시하는 경우

I have been teaching for 25 years. (and I can't imagine doing anything else.)

"나는 25년을 가르쳐왔다. (그리고 다른 걸 할 상상도 못한다.)

앞으로의 계속성이 강하게 나타난다.

I have taught for 25 years. (So now it's time to think about doing something else.)

"나는 25년간 가르쳤다. (그래서 이제 다른 걸 할 생각해봐야 해.)

앞으로의 계속성은 가능성으로 존재할 뿐이다.

I have been teaching for 25 years, but now I want to do something else.

"나는 25년 동안 가르쳐 왔지만 이제 다른 걸 하길 원해."

현재 완료 진행도 뒤에 대립되는 내용이 나오면 앞으로의 계속성은 현저히 약화될 수 있다.

A : Do you know how to use a word processor? "워드를 사용할 줄 알아요?"

B : Of course, I have been using / ?have used it for a long time. "물론이죠. 오랫동안 사용해오고 있어요."

뒤에 다른 내용이 없고 앞으로도 사용할 것이 당연하므로 'have been using'이 적합하다.

Mike has been running for years. (반복된 습관)  "마이크는 여러 해 동안 달리기 운동을 해왔다."

Mike has been running for two hours. (지속된 상황) "마이크는 2시간 동안 달리고 있는 중이다."

Mike has been winning that race ?for hours / for years.

"마이크는 ?여러 시간 동안 / 여러 해 동안 그 경주에서 우승해오고 있다."

3) 현재 상황을 보고 지금까지 있었던 행위에 대해 ★ 추론을 하는 경우

Your eyes are red. You've been crying. "눈이 빨갛네. 울고 있었구나."

This room stinks. Someone's been smoking in here. (비난조의 추론)

"이방 냄새나네. 누군가 여기서 흡연을 했구나."

You've been drinking again! "또 술 마셨구나."

4) 현재 상황에 대한 ★ 근거를 제시하는 경우

She is very tired. She's been typing letters all day. (피곤함의 원인)

"그녀는 아주 피곤해. 하루 종일 타이핑 해왔으니까."

5) 긴 기간의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

The students have been getting better and better. "그 학생들은 점점 더 나아져 오고 있다."

6) 행위의 종료와 비종료 ★

A : She went to sleep. Should we wake her? "잠자러 갔어요. 그녈 깨워야 할까요?"

B : No. She's been working all day. (종료와 근거 제시) "아니오. 하루 종일 일했으니까요."

A : Come on, concentrate. We have to wrap up this proposal by morning.

"자, 서둘러요. 집중해요. 우린 아침엔 이 제안서 마무리되어 있어야 해요."

B : Oh, sorry. It's just that we've been working on this thing for hours. (비종료와 근거 제시)

"오, 죄송해요. 그냥 우리가 여러 시간 동안 해오고 있어서요."

Tell me about what you've been doing at school today. (종료) "오늘 학교에서 뭘 했었는지 내게 말해요."

Where (have) you been hiding yourself? (종료) "어디 숨어 있었던 거야?"

I've been working for Novell for about six weeks now, and it's been quite an adventure. Here's a summary of what I've seen so far. (비종료)

"전 이제 약 6주 동안 노벨을 위해 일해 오고 있는데 아주 신났어요. 여기 제가 본 것의 요약이 있어요."

 

[ET34-2-3]1417. [대구가톨릭대학교 2005-1]

The road was very muddy because it _________ all night.

(A) has been raining                      (B) had been rained

(C) had been raining                      (D) rained

[ET34-2-3]1417. [과거 완료 진행]

정답 - C : 도로가 질척거리게 된 것보다 이전에 상당 기간 지속된 행위이므로 과거 완료 진행을 쓰는 것이 맞다. 운전을 하려는 시점 가까이까지 비가 왔다는 느낌을 준다.

D : 'it rained all night'도 못쓸 이유는 없어 보인다. 다만 사건으로서의 원인을 나타낼 뿐 운전을 하려는 시점 가까이까지 비가 왔다는 느낌을 주지는 못한다.

On Sunday the two dirt sections of the road were impassable because it rained all night.

"일요일 길의 지저분한 두 곳이 통행 불가였다. 밤새 비가 내렸었기 때문이었다."

[해석] 도로가 아주 질퍽거렸는데 밤새 비가 내렸었기 때문이었다.

 

[핵심 문법] 과거 완료 진행의 의미상의 용법

 When the phone rang, I was eating. "전화가 울렸을 때 나는 식사 중이었다."

I was in the middle of eating when the phone rang. It interrupted my eating.

[나는 한참 식사 중이었는데 전화가 울렸다. 내 식사를 중단시킨 것이었다.]

 When the phone rang, I had eaten. "전화가 울렸을 때 나는 식사를 마친 상태였다."

I was finished with my meal when the phone rang. Perhaps I had been finished for quite some time (in contrast to the next sentence.)

[나는 식사를 끝낸 상태였는데 전화가 울렸다. 아마도 나는 상당한 시간 동안 식사를 마친 상태였을 거다.] (다음 문장과 대조)

 When the phone rang, I had been eating. "전화가 울렸을 때 식사를 해오든 중이었다."

[I was eating up to the time the phone rang or had stopped eating very shortly before the phone rang. There's perhaps not a great difference between  and . With  it's a bit ambiguous whether I intended to continue eating when the phone rang. In , the phone interrupted my eating, so I was intending to continue eating.]

[나는 전화가 울렸던 시점에 이르기까지 식사 중이었거나 전화가 울리기 바로 직전까지 식사를 하고 있었다는 뜻이다. 아마도 ① 과 ③은 큰 의미 차는 없을 것이다. ③의 경우 전화가 울렸을 때 계속 식사할 의중이었는지 아닌지는 약간 모호하다. ①에서는 전화가 내 식사를 중단시켰으나 나는 계속 식사를 할 작정이었다는 뜻이다.]

1) 과거의 사건이나 시점 이전에 상당 기간 진행된 습관이나 행동

Carol had been working hard, so her doctor told her to take a vacation.

"캐럴은 열심히 일해왔고 그래서 의사는 휴가를 가보라고 말했다."

2) 과거 행동에 의해서 중단된 더 최초의 지속적인 행동 

We had been planning to take a vacation in Maine, but changed our minds after receiving the brochure on Nova Scotia. "우린 메인 주에 휴가를 갈 계획을 해왔지만 노바 스코시아의 브로슈어를 본 후에 마음을 바꿨다."

3) 다른 사건에 의해서 충족된 그때까지의 지속된 행동이나 상태

I had been wanting to see that play, so I was pleased when I won the tickets.

"나는 그 연극을 보길 원해왔고 그래서 표가 생기자 나는 기뻐했다."

4) 과거의 상황에 대한 근거 제시나 이전 행위에 대한 추론

Mary felt something was wrong, and as she walked up to the little girl, she noticed that she had been crying.

"메리는 뭔가 잘못된 걸 느꼈고 작은 소녀에게 다가갔을 때 울었던 걸 눈치챘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