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9xAhiEyomUM
[ET70-2-3]3084. [가톨릭대학교 2007-2]
I had a racing bike when I was young, and ______________.
(A) my brother did so (B) did my brother so
(C) so did my brother (D) as my brother did so
[ET70-2-3]3084. ['~도 그래'와 기능사]
정답 - C : '~도 그래'의 표현은 'so 기능사 신정보'의 순서로 표현한다. 앞 문장에서 동사는 'had'가 쓰였는데 본동사이다. 따라서 기능사는 과거형 대조동사인 'did'가 된다.
A : 'my brother did too'로 쓸 수는 있다.
[해석] 젊었을 때 나는 경주용 자전거가 있었고 내 동생도 그랬다.
[핵심 문법] '~도그래'와 '정말 그래'
(1) 도그래 : So 기능사 신정보
A : John finished his report. B : So did Mary.
'[~도 그래'의 뜻을 표현할 때도 기능사로 쓰고 뒤에는 새로운 대상 즉, 신정보에 해당되는 것이 온다.
A : She likes wine. B : So do I.
The door is shut, and so are the windows.
A : I had a wonderful time tonight. B : So did I. I really enjoyed your company.
단어만 동일할 뿐 두 번째 나온 'I(= B)'는 신정보에 해당된다.
A : My favorite hobby is reading comic books. B : So is mine. / *So am I.
'My favorite hobby'에 대조되는 신정보는 mine(= my favorite hobby)이다.
Embarrassment triggers blushing, but so do / *are anger and other emotions.
'triggers'가 나오고 있으므로 기능사는 'do'로 맞춰야 한다.
A : I expect your team to have this work finished by 11 p.m.
B : Sir, my staff believe that they can't meet the deadline, and frankly, I do, too.
'so do I'와 같은 표현이다.
A : You have a great smile. B : Thanks. You do also. (= So do you.)
A : I'm looking forward to attending college next fall.
B : Me too. (= So am I.)
홀로 존재할 때 목적격을 사용한다.
(2) 정말 그래 : So 구정보 기능사
A : Jack likes music very much. B : So he does. "정말 그래."
신정보가 나오는 것이 아니고 앞에 나온 것을 (여기서는 Jack) 다시 받는 경우 이를 구정보라 하는데 구정보는 뒤로 가지 않는다.
A : You've spilled your coffee. B : So I have. "어머나 정말 그렇군."
'You = I = B'로 I는 구정보에 해당된다. 역시 기능사인 'have'를 쓰고 있다.
A : You know who Diana was, Grandfather. B : So I do.
A : You promised to buy me a ring! B : So I did! "그랬었구나. (잊고 있었다.)"
A : Mr. Green seems to be an honest man. B : So he is / *does. "그렇고말고."
'seems'에 맞춰 'does'를 쓰지 않도록 한다.
A : It is raining outside. B : So it is. "그렇군."
A : It is not raining. B : So it is. / Yes, it is. "아니야, 오고 있어."
이 경우 'So'와 'Yes'는 모두 '아니야'로 해석해야 한다.
[ET70-3-1]3085. ⋆ [경희대학교 2005-1]
My father didn't like the (A)[idea] of (B)[keeping] pets (C)[in the] house, and (D)[so did] my mother.
[ET70-3-1]3085. ['~도 아니다'와 기능사]
정답 - D : [so did] → [neither did] : '~도 아니다'의 표현은 'neither 기능사 신정보'의 순서로 표현한다. 앞 문장이 부정문이므로 'neither'를 사용해야 한다.
[해석] 우리 아버지는 집안에서 애완동물을 키우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셨고 우리 어머니도 좋아하지 않으셨다.
[핵심 문법] ~도 아니다 : Neither 기능사 신정보
I don't smoke, and I don't drink(,) either.
= I don't smoke and neither do I drink. = I neither smoke nor drink.
'not'과 'either'가 앞으로 나가서 합쳐져 'neither'가 된 것이므로 부정 어구가 앞으로 간 경우에 해당된다. 따라서 주어-기능사 도치가 발생해야 한다.
A : I am not tired. "난 피곤하지 않아." B : Neither am I. "나도 피곤하지 않아."
부정문에 대해 '~도 아니다'의 표현을 쓸 때 'neither'를 사용한다. 'I(= B)'는 신정보이므로 당연히 뒤로 간다.
Just as I am not tall, so neither are my sons. (Just as A, so B)
'I'에 대조되는 신정보는 'my sons'다.
A : It's too cold. I don't want to go hiking today. B : Neither do I. / *So do I.
뒤의 'I'는 'B'로 신정보이다. 부정문에 대한 맞장구이므로 'so'를 써서는 안 된다.
A : Are Jake and Sue really prepared for the exam?
B : I doubt it. Jake didn't study thoroughly and neither did Sue.
A : Amazing! This room has barely changed.
B : Neither have you.
방에 대해 사람(you)이 대조되는 신정보이고 기능사로 완료 조동사인 'have'를 맞춰서 쓴다.
A : I don't like eating foods with high levels of cholesterol.
B : Me neither. (= Neither do I.)
홀로 쓸 때는 목적격을 사용한다.
'편입 문법 3000 Pl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633회] (0) | 2021.11.22 |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632회] (0) | 2021.11.21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630회] (0) | 2021.11.19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629회] (0) | 2021.11.18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628회] (0) | 2021.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