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적 자리 대명사'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21.01.03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082회]
  2. 2021.01.01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080회]
편입 문법 3000 Plus2021. 1. 3. 02:28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swaCs6_7VXU

[ET12-3-3]0495. [경기대학교 2007-1]

The U.S. military says the prison now (A)[holds] about 395 men (B)[on] suspicion of links to Al-Queda, including about 85 (C)[who] (D)[have cleared] to be released or transferred to other countries.

[ET12-3-3]0495. [관계절의 완료와 수동]

정답 - D : [have cleared] → [have been cleared] : 주격 관계사가 죄수들로 허락받은 것이므로 수동태를 써야 한다.

clear : give 사람 permission to enter or leave a place

[해석] 미군은 그 형무소는 현재 석방 또는 다른 나라로 이송되도록 이미 허락을 받은 약 85명을 포함해서 알카에다에 연관된 혐의를 받고 있는 약 395명을 수용하고 있다고 말한다.

 

 

[PT12-1]0496. [계명대학교 2004-1]

In 1290 the government at Delhi, (A)[which was] made up of ex-slaves, (B)[was replaced] by (C)[that of] the Turks, (D)[it ruled] for the next thirty years.

[PT12-1]0496. [관계 대명사의 미전환형]

정답 - D : [it ruled] → [which ruled] : 두 개의 절이 연결되기 위해서는 'it'이 주격 관계사인 'which'로 전환되어야 한다.

[해석] 1290년 델리 정권은 과거의 노예들로 이뤄졌는데 터키 정권으로 교체되었고 이 정권이 이후 30 년 동안 통치했다.

 

 

[PT12-2]0497. [세종대학교 2006-1]

Nirvana is the word (A)[that] Hindus (B)[use it] (C)[to describe] (D)[a sense] of inner peace.

[PT12-2]0497. [목적격 관계사의 흔적 자리 대명사]

정답 - B : [use it] → [use] : 앞에 목적격 관계사 'that'가 쓰이고 있으므로 흔적 자리에 대명사를 쓰면 안 된다. 'use ⌽'로 흔적 자리를 남겨야 한다. 사실 목적어 자리가 이렇게 빠져 있기 때문에 'that'이 목적격 관계사인 줄 아는 것이다.

[해석] 너바나는 힌두교도들이 내적 평화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단어이다.

 

 

[PT12-3]0498. [강남대학교 2006-1]

(A)[It took] three years (B)[to complete] the bridge (C)[which it] (D)[connects] Easto and Westu.

[PT12-3]0498. [주격 관계사의 흔적 자리 대명사]

정답 - C : [which it] → [which] : 주격 관계사 'which'가 쓰이고 있으므로 주어 자리는 흔적으로 남아야 한다. which ∅ connects Easto and Westu

[해석] Easto와 Westu를 연결하는 다리를 완성하는데 3년이 걸렸다.

 

 

[PT12-4]0499. ⋆⋆ [고려대학교 2009]

Attention span varies with age, (A)[with] older children capable of longer periods of attention (B)[than younger] children. In addition, people are generally capable of a longer attention span (C)[when] they are doing something that they (D)[find it enjoyable] or intrinsically motivating.

[PT12-4]0499. [목적격 관계사의 흔적 자리 대명사]

정답 - D : [find it enjoyable] →[find enjoyable] : 목적격 관계사가 쓰이고 있으므로 흔적 자리에 대명사 'it'은 없어야 한다.

A : 'with [older children(명사구)] [capable(형용사) of ~]'의 with 구문이다.

capable [kéipəbl] : 유능한, 역량 있는; 능력이 있는; 할 수 있는; (좋지 않은 일) ~도 불사하는 : (L capere : to take, hold) [잡고 유지할 수 있는 데서]

[해석] 주의 지속 시간은 나이에 따라 다른데 더 큰 아이들이 어린아이들보다 더 긴 시간 동안 주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람들은 자신들을 즐겁게 하거나 본질적으로 의욕을 느끼게 한다고 생각되는 것을 할 때 일반적으로 더 긴 주의 지속 시간을 가질 수 있다.

 

 

[PT12-5]0500. [중앙대학교 2008-1]

The basketball league (A)[imposes] severe fines on players who, (B)[when they] are (C)[involved in outside] disputes, (D)[they violate] league policy.

[PT12-5]0500. [주격 관계사의 흔적 자리 대명사]

정답 - D : [they violate] → [violate] : who, (when they are involved in outside disputes) ∅ violate league policy : 앞에 주격 관계사가 있으므로 흔적 자리에 대명사를 쓰면 안 된다.

[해석] 농구 연맹은 외부의 분쟁에 연루되어 연맹의 정책을 위반하는 선수들에게 가혹한 벌금을 부과한다.

 

 

[PT12-6]0501. ⋆ [홍익대학교 2007-1]

(A)[Reading for learning] is something you will have to (B)[do it] all your life, whether it's (C)[studying to get] a driver's license (D)[or finding out] how much medicine to give a baby.

[PT12-6]0501. [목적격 관계사의 흔적 자리 대명사]

정답 - B : [do it] → [do] : 목적격 관계사는 생략되어 있고 'you will have to do all your life'는 관계절이다. 흔적 자리에 대명사를 써서는 안 된다. 'you will have to do ∅'로 흔적 자리를 남겨 둬야 한다.

[해석] 배움을 위한 독서는 그것이 운전면허를 따기 위한 것이든 아니면 아기에게 약을 얼마만큼 줘야 하는가를 알아내는 것이든 간에 평생 해야 될 일이다.

 

 

[PT12-7]0502. [성균관대학교 2011]

Textbooks (A)[more] than a decade (B)[old] will tell you that you die with the same brain you were born (C)[of]; that growing new (D)[brain] cells (E)[is] impossible.

[PT12-7]0502. [관계절의 보류 전치사]

정답 - C : [of] → [with] : 'born with the brain'에서 'the brain'이 관계사로 전환되면서 전치사만 보류된 것이므로 전치사는 'with'를 써야 한다.

E : 동명사인 'growing ~ cells'가 주어이므로 동사는 'is'가 맞다.

[해석] 10 년 이상 된 교과서들은 여러분에게 여러분은 태어날 때 가졌던 것과 같은 뇌를 갖고 죽는다고 즉, 새로운 뇌세포를 발달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할 겁니다.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1. 1. 1. 09:13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T3grgVLhXJg

[ET12-1-1]0487. ⋆⋆ [단국대학교 2009]

Nitrogen gas, _______ up about 78 percent of our atmosphere, is constantly being used by plants and animals.

(A) which makes                 (B) which it makes              (C) makes                (D) it makes

[ET12-1-1]0487. [관계절 흔적 자리 대명사]

정답 - A : 'which'는 주격 관계사로 쓰이고 있다.

B : 주격 관계사가 쓰이고 있으므로 흔적 자리에 대명사 'it은' 없어야 한다.

C : 주격 관계사는 생략할 수 없다.

D : 'it'가 관계사로 바뀌어야 두 개의 절을 연결할 수 있다.

[해석] 질소는 대기의 약 78%를 구성하고 있는데 동식물에 의해서 항상 이용되고 있다.

 

[핵심 문법] 관계절 만들기와 흔적 자리 대명사★★

① This is the boy.

② Mary loved him.

③ *This is the boy Mary loved whom.

④ This is the boy whom Mary loved θ.

두 개의 절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접속사로 기능하기 위해서 모든 ‘Wh―관계사’는 자기 절의 맨 앞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⑤ This is the boy that Mary loved θ.

‘Wh―관계사’와 달리 'that'는 이동을 하는 성질을 지니지 않고 있어서 'that'의 사용을 설명할 수가 없다. 그래서 이제는 'the boy'와 'him'이라는 동일한 대상을 지칭하는 두 문장인 ①과 ②를 연결할 때 ‘the fact that 절’의 동격절에서 쓰이는 ‘접속사 that’를 일단 두 절 사이에 갖다 놓는 과정을 가정한다.

⑥ This is the boy  that ∥[ Mary loved him ].

그런 다음에 중복을 피하여 뒤에 나온 'him'을 'whom'으로 바꾼다.

⑦ This is the boy ∥that ∥[ Mary loved whom ].

여기서 이동하는 성질을 갖고 있는 ‘Wh―관계사’인 'whom'은 접속사로 기능하기 위하여 자기 절의 맨 앞으로 나온다.

⑧ This is the boy ∥that  whom ∥[ Mary loved θ ].

'whom'이 이동을 하고 난 뒤에 비어있는 자리를 θ(theta)로 표시하고 ‘공백(gap)’ 또는 ‘흔적 자리(trace)’ 또는 ‘원래 자리’라 칭한다. 이제 'whom'이 'that'의 옆으로 이동을 해오고 나면 접속사 역할을 하는 것이 두 개가 생기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이 자리에서 둘 중에 하나를 없애는 이른바 ‘투쟁 관계(여기서 편의상 ⇔의 기호를 사용했음)’를 설정한다.

ⓐ This is the boy whom Mary loved θ. ('whom'이 싸워서 이긴 경우)

ⓑ This is the boy that Mary loved θ. ('that'이 싸워서 이긴 경우)

ⓒ This is the boy ( ) Mary loved θ. ('whom'과 'that'이 모두 사망한 경우)

투쟁의 결과 'whom'이 이기면 'whom'이 쓰이고 'that'가 이기면 'that'가 쓰인다. 그리고 'whom'과 'that'이 모두 사망하면 아무것도 쓰지 않으면 되는데 이를 ‘Zero 관계사’라 칭하고 ( )로 표시하는데 흔히 말하는 관계 대명사가 생략된 경우이다.

관계 대명사를 사용하고도 흔적 자리에 대명사를 그냥 놔두는 것도 출제의 한 유형이다.

 

 

[ET12-1-2]0488. [계명대학교 2006-1]

다음 중 틀린 문장을 고르시오.

(A) Do you get embarrassed easily?

(B) The bed I slept last night wasn't very comfortable.

(C) Neither restaurant is expensive.

(D) We stayed at the hotel, which John recommended to us.

[ET12-1-2]0488. [관계절의 보류 전치사]

정답 - B : [The bed I slept last night] → [The bed I slept in last night] = [The bed which I slept in last night] = [The bed that I slept in last night] = [The bed in which I slept last night]

[해석] 어제 내가 잔 침대는 그다지 편하지 않았다.

A [해석] 당신은 쉽게 당황하나요?

C [해석] 두 레스토랑 중 어느 것도 비싸지 않다.

D [해석] 우리는 그 호텔에 묵었는데 존이 우리에게 추천한 호텔이었다.

 

[핵심 문법] 관계사의 단독 이동과 보류 전치사★★

① This is the house.

② He lived in the house.

③ This is the house ∥ that ∥[ he lived in the house ].

④ This is the house ∥ that ∥[ he lived in which ].

⑤ This is the house ∥ that  which ∥ he lived in θ.

ⓐ This is the house which he lived in θ. ('which'가 싸워서 이긴 경우)

ⓑ This is the house that he lived in θ. ('that'가 싸워서 이긴 경우)

ⓒ This is the house (  ) he lived in θ. ('which'와 'that'가 모두 사망한 경우)

④에서 전치사구인 'in which'에서 'which'만 이동을 하고 '전치사 in'은 뒤에 그냥 놔두었는데 이럴 경우의 전치사를 ‘보류 전치사(deferred preposition)’라 하고 관계사가 홀로 이동하는 경우는 '단독 이동'이라 칭한다.

보류 전치사 다음의 흔적 자리에 대명사를 두는 것도 문제의 한 유형이 된다.

 

 

[ET12-1-3]0489. [삼육대학교 2007-1]

We enjoyed (A)[watching] the show (B)[that] you (C)[told us] (D)[about it].

[ET12-1-3]0489. [보류 전치사의 목적어 흔적 자리 대명사]

정답 - D : [about it] → [about] : 전치사의 목적격 관계사이므로 전치사의 목적어 자리는 흔적 자리이고 대명사는 없어야 한다.

[해석] 네가 우리에게 말했던 프로 재미있게 시청했다.

 

 

[ET12-2-1]0490. [덕성여자대학교 2003-1]

_______________, she arrived late.

(A) Being delayed by traffic congestion

(B) Having been delayed by traffic congestion

(C) Traffic congestion delayed her

(D) Traffic congestion had delayed her

[ET12-2-1]0490. [완료 분사]

정답 - B : 'As she had been delayed by traffic congestion, she arrived late.'에서 분사 구문으로 바뀐 형태이다.

A : 'As she was being delayed by traffic congestion'이 분사 구문으로 바뀐 것으로 보아야 하는데 진행이어서 도착한 것과 의미 연결이 되지 않는다. 물론 'As she was delayed by ~'도 드물게 'Being delayed by'로 못쓰는 것은 아니지만 역시 교통 혼잡으로 지연된 것은 대과거로 표시하는 것이 정상이다.

C, D : 두 개의 절이 연결되지 못한다.

[해석] 교통 혼잡으로 지연된 후에 늦게 도착했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