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 문법 3000 Plus2020. 12. 21. 19:20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n5jLRJT5nyw

[CT1-68]0301. ⋆⋆ [덕성여자대학교 2011]

(A)[Long] before (B)[the dawn] of (C)[recorded] history, human beings all around the world celebrated (D)[to harvest] their crops before winter came.

[CT1-68]0301. [부정사와 명사의 선택]

정답 - D : [to harvest] → [the harvest of] : 'celebrate'는 부정사나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하지 않는다. '명사'를 목적어로 써야 한다.

celebrate [séləbrèit] : [특정한 날·사건을] 축하[기념]하다; [축하 행사·의식을] 거행하다; (격식) [사람·공적 등을] 기리다, 찬양하다  : perform (a religious ceremony) publicly; honor or praise publicly  : (L celebrare : to frequent) ['celebrity'(셀럽)와 같은 어원 출신으로 함께 자주 가서 축하, 찬양하는 데서]

[해석] 역사가 기록되기 시작한 때보다 오래전에 전 세계의 모든 인간들은 겨울이 오기 전에 작물을 수확한 것을 경축했다.

 

 

[CT1-69]0302. [경원대학교 2007-1]

Tariffs (A)[preventing] the most efficient use of the world's (B)[resources] by (C)[restricting] division of labor to (D)[national boundaries].

[CT1-69]0302. [시제문 조건 기본형]

정답 - A : [preventing] → [prevent] : Tariffs(주어) + prevent(정동사)

[해석] 관세는 분업을 국가의 내부로 제한함으로써 세계의 자원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막는다.

 

 

[CT1-70]0303. [세종대학교 2004-1]

The first _________ appeared during the last period of the dinosaurs' reign.

(A) flowers are plants                         (B) plants have flowers

(C) plants flowers                              (D) flowering plants

[CT1-70]0303. [주격의 주어]

정답 - D : 'appeared'가 과거형으로 정동사이므로 그 앞에는 주어인 명사가 있어야 한다.

flowering plants : 현화식물(꽃이 피는 식물)  plants for / of flowering (earlier in the season)

A, B : 정동사 두 개가 연결되지 않는다.

C : 최소한 'plant flowers나' 'flowers of plants'여야 한다.

[해석] 최초의 현화식물은 공룡이 지배하던 마지막 시기에 등장했다.

 

 

[CT1-71]0304. [홍익대학교 2004-1]

Those who do not file an income tax return ________.

(A) they may be sent to jail                      (B) may be sent to jail

(C) to jail eventually                                (D) going to jail follows

[CT1-71]0304. [시제문 조건 : 이중 주어 불가형]

정답 - B : 주어는 'Those(+ 관계절)'이므로 뒤에는 바로 정동사가 이어져야 한다.

'an income tax return(소득세 신고서)'는 관계절 내에서 'file'의 목적어일 뿐이다.

A : 'they'는 새로운 정보를 주는 것이 없고 'comma'도 없으므로 동격 부가될 수 없다.

[해석] 소득세 신고를 하지 않는 사람들은 감옥으로 보내질 수도 있다.

 

 

[CT1-72]0305. [대구대학교 2005-1]

Total retail sales (A)[they were] estimated at (B)[more than] $4 billion (C)[last] quarter, nearly double the first-quarter (D)[figures].

[CT1-72]0305. [이중 주어 불가형]

정답 - A : [they were] → [were] : 'Total retail sales(주어)' 다음에 대명사 'they'를 쓸 이유가 없다. 바로 'were(정동사)'로 이어져야 한다.

B : be estimated at ~ : ~로 추정되다

[해석] 총 소매 매출은 지난 사분기에 40억 달러 이상으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일사분기의 수치의 거의 두 배이다.

 

 

[CT1-73]0306. [계명대학교 2005-2]

(A)[The] desert pocket mouse, common (B)[in the] American Southwest, (C)[it] is active (D)[mainly] at night.

[CT1-73]0306. [이중 주어 + 'the 대표 단수']

정답 - C : [it] → [   ] : 'The desert pocket mouse(주어), [(which is) common in the American Southwest],(비제한 후치 수식)' 다음에 대명사 'it'을 쓸 이유가 없다. 정동사(is)로 바로 이어져야 한다. (참고로 문-주제를 도입하는 좌향 전위도 아니다. 시험 문제의 대상도 아니다.)

A : The desert pocket mouse : 'the 대표 단수'

[해석] 사막 주머니쥐는 미국의 남서부에 흔한데 주로 밤에 활동한다.

 

 

[CT1-74]0307. ⋆ [숭실대학교 2003-2]

In Japan, ___________, advertising influences people to buy more and more. However, the Seikatsu Club is fighting against this.

(A) as many countries                               (B) as in many other countries

(C) as many other countries                       (D) as in another countries

[CT1-74]0307. [양태의 as]

정답 - B : 'In Japan'과 비교하는 양태이므로 'as in 다른 나라들'이 맞다.

as in many other countries = as (it(= advertising) does) in many other countries

A : '많은 나라들로서'의 뜻이어서 곤란하다.

D : 'another + 단수'여야 한다.

influence+[목]+to do (어떤 행동을) 단행케 하다, 촉구하다, 강요하다

[해석] 일본에서는 많은 다른 나라에서와 마찬가지로 광고로 인해 사람들은 더 많이 구매하게 된다. 하지만 Seikatusu Club은 이를 반대해서 싸우고 있다.

 

 

[CT1-75]0308. ⋆⋆ [경희대학교 2004-1]

The postwar decade (A)[marked] by the advent (B)[of] television as the twenties (C)[were] by (D)[that of] radio.

[CT1-75]0308. [양태의 부사절과 주절의 정동사]

정답 - A : [marked] → [was marked] : 뒤의 'as 이하'는 양태의 부사절이고 주절에는 정동사가 있어야 하고 'by'가 있으므로 수동태여야 한다.

A is marked by B. “A의 뚜렷한 특징은 B다.”

A is characterized by B. “A의 특징은 B다.”

C : 'were'만 쓰면 반복되는 'marked'는 생략할 수 있다.

[해석] 1920 년대의 뚜렷한 특징이 라디오의 등장이었듯이 전후 10 년의 뚜렷한 특징은 TV의 도래였다.

 

 

[CT1-76]0309. [인천대학교 2012]

There are routine ways in which safety is guaranteed in any organized society. _________ we have a police force to protect us from crime, we have a fire department to protect us from disaster.

(A) For this reason                  (B) Just as                (C) Conversely                (D) Soon

[CT1-76]0309. [부사절 접속사]

정답 - B : 절이 두 개이므로 앞의 절 앞에 부사절 접속사가 있어야 한다.

C, D : 부사로 두 개의 절을 연결하지 못한다.

A : 부사 어구로 두 개의 절을 연결하지 못한다.

[어휘] Just as ~, (so) ~ : ~하듯이 마찬가지로 ~하다

[해석] 어떤 조직화된 사회에서든 안전을 보장하는 일상적인 방법들이 있다. 범죄로부터 우리를 보호하기 위해 경찰이 있듯이 재난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하기 위해 소방대가 있다.

 

 

[CT1-77]0310. [울산대학교 2003-1]

________ do you think of your new house?

(A) What                (B) How               (C) Where              (D) How much

[CT1-77]0310. [의문사 선택형]

정답 - A : 'do you think of '~면 의문사는 'what'을 사용한다.

[해석] 새집은 어떻습니까?

 

 

[CT1-78]0311. [단국대학교 2003-2]

Could you (A)[give] us some idea (B)[how] you think (C)[about] (D)[this] proposal?

[CT1-78]0311. [의문사 'how'와 'what']

정답 - B : [how] → [what] : 'think of'나 'think about'의 경우 의문사는 'what'을 사용한다.

B : 'some idea' 다음에는 'about' 또는 'as to'가 생략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해석] 이 제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해 아이디어를 제시해줄 수 있지?

 

 

[CT1-79]0312. [전남대학교 2003-1]

____________ known as "Stonehenge" has never been determined.

(A) Who built the stone circle                          (B) The stone circle

(C) That the stone circle                                 (D) There is the stone circle

[CT1-79]0312. [간접 의문문]

정답 - A : 'has never been ~'의 주어 자리를 채워주워야 한다. 'Who built the stone circle (which is) known as ~'가 간접 의문문으로 주어 자리를 채워주고 있다.

B : *The stone circle ~ has never been ~. : 'The stone circle'은 주어로는 적합하지 않다.

C : 'that 명사절' 속에 정동사가 없다.

D : 정관사가 있으므로 존재문을 쓸 수 없다.

[해석] “스톤헨지”라 알려진 환상열석을 누가 만들었는지는 결정된 바가 없었다.

 

 

[CT1-80]0313. [홍익대학교 2012]

NASA is happy about the global media swarm that's here for Friday's event _________ would love it if people didn't focus quite so much on the sense of finality to the NASA program.

(A) which                 (B) they               (C) that                 (D) but

[CT1-80]0313. [정동사의 병치]

정답 - D : <NASA {[is ~ event] but [would ~]}>의 구조로 정동사가 병치되어야 한다.

B : 'NASA is ~ event'와 'they would ~'의 두 개의 절이 연결되지 못한다.

A, C : 선행사가 'event'가 되어 의미상 'would love it ~'의 주어가 될 수 없다.

[어휘] swarm : 벌떼; 떼, 큰 무리, 군중      finality : 종결, 종국; 최종적인 상태; [철학] 목적론

[해석] NASA는 금요일 행사 때문에 세계의 언론이 이곳에 몰려들은 것은 기뻐하지만 NASA의 이 프로젝트가 종결되는 것의 의미에 대해 사람들이 그렇게 크게 집중하지 않는다면 좋아할 것이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