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 문법 3000 Plus2020. 12. 21. 19:17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qoyx_4cyVtw

[CT1-56]0289. [인천대학교 2008-1]

All literary submissions must be in by the end of this week _________ they are to be eligible for the Young Readers Competition.

(A) if                 (B) whether               (C) but               (D) also

[CT1-56]0289. [부사절 접속사 + 'be to 용법']

정답 - A : 문맥상 조건 표시 접속사가 목적 표시('be to')와 적절하게 연결된다.

[해석] 청소년 독서대회에 참가할 자격을 얻기 위해서는 모든 글의 제출이 이번 주말까지는 이뤄져야 한다.

 

 

[CT1-57]0290. [강남대학교 2009]

Unless I (A)[don't] (B)[hear from] you within a week, I will (C)[have no choice but] (D)[to file a suit against] you.

[CT1-57]0290. [부사절 접속사 unless]

정답 - A : [don't] → [   ] : 'unless'가 이미 'if not'의 뜻이므로 "don't"는 없어야 한다.

B : hear ~ from : ~ 부분에는 전화 연락이든 편지든, 이메일이든 직접 온 연락이 생략되어 있다고 보면 된다.

hear ~ of : ~ 부분에는 'of 이하'에 관한 사람들의 말 등을 들었다고 보면 된다.

If you don't obey him, you will hear from him. hear from : ‘혼나다, 한 소리 듣다’

C, D : have no choice but to V : ~하는 수밖에 없다

[해석] 일주일 내로 연락을 받지 못하면 귀사에 대해 소송을 제기할 수밖에 없을 겁니다.

 

 

[CT1-58]0291. [고려대학교 2004-1]

In (A)[such a weighty question] (B)[as to] the nature of reality, Kant showed that there will always be two contrasting viewpoints that are (C)[equally likely or unlikely], depending on (D)[what does our reason tell us].

[CT1-58]0291. [간접 의문문 어순]

정답 - D : [what does our reason tell us] → [what our reason tells us] : 간접 의문문은 평서문의 순서여야 한다.

[해석] 실체의 성격에 관한 아주 중요한 질문에서 칸트는 항상 대조되는 두 가지 관점이 있는데 우리의 이성이 무엇을 말하느냐에 따라 똑같이 가능성이 있기도 하고 가능성이 없기도 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CT1-59]0292. [삼육대학교 2003-1]

Demographers investigate ___________ in specific locations.

(A) are there many people                              (B) how many people are there

(C) how many people there are                       (D) that there are how many people

[CT1-59]0292. [간접 의문문 어순]

정답 - C : 간접 의문문은 의문사가 제일 먼저 나온다. 'how'가 'many'를 꾸미고 'many'가 'people'을 꾸미고 있으므로 의문사가 앞으로 갈 때 'how many people'은 한꺼번에 이동해야 한다.

B : 형식상의 주어가 'there'이므로 '주어-동사'의 어순으로 'there are'의 어순이 되어야 한다.

[해석] 인구통계학자들은 특정한 지역에 몇 명의 사람들이 있는지를 조사한다.

 

 

[CT1-60]0293. ⋆⋆ [숭실대학교 2009]

(A)[Founded] in 1976, we are dedicated to (B)[meeting] the needs of working students. (C)[Now the largest private university in North America], we have more than 190 campuses and learning centers in most countries around the world. (D)[Regardless where or how] you attend class, you'll receive a real-world education with real value.

[CT1-60]0293. [복합 전치사 'regardless of']

정답 - D : [Regardless] → [Regardless of] : 간접 의문문을 이끌기 위해서는 전치사 'of'가 필요하다.

A : 'We, [founded in 1976], are dedicated ~'에서 'founded in 1976'이 주어 앞으로 나가 분리된 전치 수식이 된 경우이다. we = our university

C : 설명 동격이 앞으로 나간 경우이다. ‘지금은 북미에서 가장 큰 사립대학인 저희 대학’으로 내려가면서 해석하면 된다. 항상은 아니고 지금만(now) 동격이라는 점에서 '부분 동격'이란 말을 쓰기도 한다.

B : be dedicated to ~ing : ~에 헌신하다

[해석] 1976년에 설립된 저희 대학은 일하면서 다니는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것들을 충족시키는 데 전념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북미에서 가장 큰 사립대학인 저희 대학은 전 세계의 대부분의 국가에 190개의 캠퍼스와 학습 센터가 있습니다. 어디서 어떻게 수업을 듣든 상관없이 여러분은 진정한 가치가 있는 진짜 세계에 대한 교육을 받게 될 것입니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