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 문법 3000 Plus2022. 2. 16. 11:52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pbYW_YI90I

[CT6-101]3498. [동덕여자대학교 2001-1]

The average age (A)[at which] people (B)[begin to need] eyeglasses (C)[vary] (D)[considerably] from country to country.

[CT6-101]3498. [주어와 동사의 일치 일치 방해부 관계절]

정답 - C : [vary] → [varies] : 주어가 'the average age'로 단수이므로 'varies'를 써야 한다.

[해석사람들이 안경을 필요로 하기 시작하는 평균 나이는 나라마다 상당히 다르다.

 

[CT6-102]3499. [총신대학교 2004-1]

(A)[Even when] exhausted, (B)[an] Olympic gymnast (C)[continues] to work out and (D)[performing].

[CT6-102]3499. [부정사의 병치]

정답 - D : [performing] → [(to) perform] : 'continue'는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하기도 하고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기도 한다하지만 앞에 'to work'가 나왔으므로 '(to) perform'으로 병치시켜야 한다.

A : 'Even when he is exhausted'에서 'he is'가 생략되고 접속사 분사 구문이 쓰인 형태이다.

[해석심지어 피곤할 때도 올림픽 체조 선수는 계속 연습하고 연기한다.

 

[CT6-103]3500. [한국항공대학교 2005-1]

The main (A)[purpose of] this Dental Study Association is (B)[to solve] dental problems and (C)[for the promotion of] the science and (D)[art of dentistry].

[CT6-103]3500. [원형의 병치]

정답 - C : [for the promotion of] → [promote] : 'to {[solve dental problems] and [promote ~ dentistry]}'의 구조여야 한다.

[해석치과 연구회의 주된 목적은 치과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치과 과학과 치과 의술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CT6-104]3501. [인천대학교 2008-1]

__________ the train downtown during rush hour is much faster than driving or taking the bus.

(A) Taking            (B) Taken            (C) Take            (D) Took

[CT6-104]3501. [동명사의 병치]

정답 - A : 뒤에 'driving'이 있으므로 앞에도 'Taking'을 써야 한다.

[해석러시아워에 전철을 타고 시내로 가는 것이 차를 몰고 가거나 버스를 타는 것보다 훨씬 빠르다.

 

[CT6-105]3502. [서울여자대학교 2003-1]

_______________ been so many candidates handshaking their way across the country.

(A) There never have before                      (B) Before there never have

(C) Never before have there                      (D) Have never before there

[CT6-105]3502. [부정 어구의 선행에 따른 도치]

정답 - C : 'There have never before been so many candidates ~'.에서 부정 어구인 'never before'가 선행되면 주어-기능사의 도치가 필히 발생한다.

[해석전에는 이렇게 많은 후보자들이 악수를 하면서 전국을 순회한 적이 없었다.

 

[CT6-106]3503. [계명대학교 2003-1]

Not until the 17th century ___________ to measure the speed of light.

(A) did anyone attempt                          (B) anyone attempted

(C) did someone attempt                    (D) someone attempted

[CT6-106]3503. [부정 어구의 선행에 따른 도치]

정답 - A : 부정 어구 선행에 따른 도치형이다. 'None attempted to ~ until the 17th century.'에서 'Not과 until이하'가 앞으로 선행되고 난 후(none = not anyone) 주어와 기능사가 도치된 'did anyone attempt ~'가 따르게 된다.

C, D : 본시 긍정문이 아니므로 'someone'을 쓰지 않는다.

[해석] 17 세기에야 비로소 빛의 속도를 측정하고자 시도했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