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2022. 7. 14. 16:36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 https://youtu.be/ERApiEkB6eA

#     MacCurdy argued that when a bomb falls, it divides the affected population into three groups. The first group is the people killed. They are the ones for whom the experience for the bombing is --obviously-- the most devastating. But as MacCurdy pointed out (perhaps a bit callously), "the morale of the community depends on the reaction of the survivors, so from that point of view, the killed do not matter. (A)[      ] this way the fact is obvious, corpses do not run about spreading panic."

                                                              [말콤 글래드웰의 「다윗과 골리앗」, 131 쪽에서]

# 빈칸 (A)에 한 단어를 넣으시오.

 

[해석]    매커디는 폭탄이 떨어질 때 그건 영향받은 사람들을 세 집단으로 분류하게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첫 집단은 죽는 사람들입니다. 이들은 폭탄의 경험이-분명하게-가장 끔찍했던 사람들입니다. 하지만 매커디가 지적하듯이 (어쩌면 약간은 냉담하지만) "사회 공동체의 사기는 생존자들의 반응에 달려 있어서 그런 관점에서 보면 죽은 사람들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이런 식으로 표현하면 명백해지겠죠. 시체들이 여기저기 뛰어다니면서 공포를 퍼뜨리지는 않는 거죠."

[정답] (A) : Put

 

[어휘 또는 표현]

callously [kæˈləsli] : 냉담하게

morale [mərǽl] : (반대·고난에 직면한) 사기, 의욕, 의기, 기세

corpse [kɔːrps]  : 시체, 송장

[해설]

The fact is that Rachel loves Tim.

→ The fact is, Rachel loves Tim. ('comma' 사용한 삽입 처리, 'that 절'을 주절로 전환한다.)

The fact that Rachel loves Tim is obvious.

→ The fact is obvious that Rachel loves Tim. (동격의 'that 절'의 외치)

→ The fact is obvious, Rachel loves Tim. ('comma' 사용한 삽입 처리, 'that 절'을 주절로 전환한다.)

[본문]

(A)[Put] this way the fact is obvious, corpses do not run about spreading panic.

"이런 식으로 표현하면 명백해지겠죠. 시체들이 여기저기 뛰어다니면서 공포를 퍼뜨리지는 않는 거죠."

여기서도 'the fact is obvious,'는 삽입 처리된 것이다.

주절의 주어와의 동일 주어 원칙에 무관하게 사용되는 독립 구문이 있는데 'put'의 경우에는 'to put it this way' > putting it this way > put this way'의 빈도로 사용된다. 능동일 때는 '표현하다'의 뜻으로 목적어 'it'가 사용되어야 한다. 한 칸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은 과거 분사인 'Put'뿐이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