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Ts_m69mAGAE
3836. [광운대학교 2018]
다음 중 어법 상 가장 적절한 것은?
(A) She was reading book.
(B) We made progress.
(C) We made table.
(D) Who wants to be millionaire?
(E) He didn't read much book.
3836. [불가산 명사 progress 형 명사]
정답 - B : 'progess'는 시작과 끝이 구분되지 않는 대표적인 불가산 명사다.
[해석] 우리는 발전했다.
A : [book] → [a book] : 'book'은 가산 명사로 최소한 'a'라도 있어야 한다.
C : [table] → [a table] : 'table'은 가산 명사로 최소한 'a'라도 있어야 한다.
D : [millionaire] → [a millionaire] : 'millionaire'는 가산 명사이고 역할을 나타내는 기능 무관사가 아니므로 최소한 'a'라도 있어야 한다.
E : [much book] → [many books] : 'book'은 가산 명사로 양화사는 'many'를 사용하고 복수형인 'books'를 사용해야 한다.
3837. [삼육대학교 2018]
There are many theories regarding when and where music originated. Many agree that music began even before man existed. Historiographers point out that there are six periods of music and each period has a particular style that greatly contributed to [ ] music is today.
(A) whether (B) which (C) that (D) what
3837. [양쪽 제자리 찾기]
정답 - D : what : '전치사 to'의 목적어 자리와 'is'의 보어 자리를 다 채우기 위해서는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인 'what'을 사용해야 한다.
[해석] 언제 어디에서 음악이 기원했는 지에 대해 많은 이론들이 있다. 많은 이들은 음악은 인간이 존재하기 보다도 일찍 시작했다는 점에 동의한다. 사료 편찬가들은 음악에는 6 개의 시대가 있고 각 시대는 현재의 음악에 해당되는 것에 크게 기여했던 특정한 스타일을 갖고 있다고 지적한다.
3838.* [단국대학교 2018]
The invention of photography in (A)[the 1820s] encouraged artists (B)[to attempt] (C)[even great] realism (D)[in their paintings].
3838. [비교급의 강화사]
정답 - C : [even great] → [even greater] : 심화사인 '~조차도'로는 뜻이 통하지 않는다. 비교급의 강화사로 'even'은 '더욱'의 뜻으로 사용되고 있으니 비교급인 'greater'을 사용해야 하다.
[해석] 1820 년대의 사진술의 발명은 예술가들에게 자신들의 그림에서 더욱 더 크게 리얼리즘을 시도하게 격려했다.
[CT1-156]0389. ⋆ [숙명여자대학교 2010]
주어진 글에서 문법 혹은 문맥에 맞지 않는 표현을 고르시오.
Every established theory (A)[has been] established through (B)[having proved] adequate to explain a considerable mass of data, (C)[of] observed facts. And it cannot be dethroned or discredited by any new hypothesis (D)[if] that new hypothesis can account for the same facts as well or (E)[even] better.
[CT1-156]0389. ['if'와 'unless']
정답 - D : [if] → [unless] : 의미상 'if'가 아니고 'unless'가 쓰여야 문맥에 합당하다.
B : 완료 동명사가 쓰인 것이며 'proved'는 2형식 동사로 쓰이고 있다.
E : even : 비교급의 강화사로 ‘더욱’의 뜻이다.
C : 'of observed facts'는 'of data'에 대한 동격부이다.
The world is nothing but a huge mass of data, of logically discrete facts that have no intrinsic connection to one another.
[해석] 확립된 모든 이론은 상당한 양의 자료, 즉 관찰된 사실들을 설명하는 데 적합한 것으로 판명됨으로써 확립돼 왔다. 새로운 가설이 동일한 사실들을 똑같이 잘 설명할 수 있거나 더욱 잘 설명할 수 있지 않는 한 어떤 새로운 가설도 이 확립된 이론을 몰아내거나 불신할 수 없다.
3839.* [명지대학교 2018]
The first colonists were largely (A)[spared the immediate task] of giving names to the land, since much of the eastern seaboard (B)[has been named] already by earlier explorers. But as the colonists increased and formed new settlements, some system for labeling unfamiliar landmarks and new communities became necessary. The most convenient device was to adopt names from England. Thus the older states (C)[abound] in names that have counterparts across the sea: Boston, Greenwich, Cambridge, and scores of others. An equally straightforward expedient was to honor members of the royal family, (D)[as with] Charlestown, Jamestown and Carolina.
3839. [과거 완료 필수형]
정답 - B : [has been named] → [had been named] : 기준 시점이 현재가 아니고 과거이므로 과거 완료를 사용해야 한다.
A : 4형식 간접 목적어가 주어가 된 수동태이다.
C : 'abound'로 현재형이 사용된 것은 지금도 사실이기 때문이다.
D : 'as with'는 '~의 경우에서 처럼'의 뜻이다.
[해석] 최초의 식민지 사람들은 대부분 땅에 이름을 붙이는 즉각적인 일을 덜게 되었다. 동부 연안의 많은 지역은 이전의 탐험가들에 의해서 이미 명명되어 있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식민지 사람들이 증가하고 새로운 정착지를 형성하게 됨에 따라 낯선 지형과 새로운 커뮤너티에 대해 명명을 하는 일종의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가장 편한 방법은 영국에서 차명을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오래된 주들에는 바다 건너 맞먹는 것이 있는 지명들이 많다. 보스턴, 그린위치, 케임브리지, 기타 몇 십개들이 그러하다. 마찬가지로 대놓고 편한 시스템은 왕족들을 기리는 것이었다. 이를테면 찰즈타운, 제임스타운, 캐롤라이나가 그러하다.
[접속사 as + 전치사]
양태의 접속사 뒤에 전치사 'of, with, in'이 따르는 경우입니다. 주절의 내용과 유사하다는 뜻이어서 '주어 it'은 탈락시킵니다.
'양태의 as'를 이용한 종속절화
It is often the case with ~ that the book as a whole is ~
→ As is often the case with ~, the book as a whole is ~ : 'As' 다음에 주어를 쓰지 않음.
as is often the case with ~ : ~의 경우 흔히 그러하듯
[as with ~]
~의 경우에서처럼
As (is the case) with all business cards, good design is essential. [the case = true]
"모든 비즈니스 카드가 그러하듯 좋은 디자인은 필수적입니다."
As is often the case with collections of lectures by different authors,
[as of ~]
As (is true) of any housework, gardening is tedious.
"어떤 집안일이나 마찬가지로 정원 일은 지루합니다."
Leaders of little societies, as of big ones, are jealous of their independence and prerogatives.
= Leaders of little societies, as (is true) of big ones, are ~ ~
[as in]
These slums coexist with well-developed areas, as (is the case) in big cities.
"여기 슬럼가들은 잘 개발된 지역들과 같이 존재합니다. 대도시에서 그러하듯이"
As in big cities, the integral process of various migration groups is
as in a refrigerator
[as by ~ing]
'~함으로써'는 'by ~ing'로 표시한다.
as by falling into inaccessible caves
'편입 문법 3000 Pl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791회] (0) | 2022.08.11 |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790회] (0) | 2022.08.09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788회] (0) | 2022.08.03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787회] (0) | 2022.08.01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786회] (0) | 2022.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