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VtJIpXN8Hbw
3920. [강남대학교 2018]
(A)[In order not to] waste valuable gasoline, motorists (B)[had ought to] check speedometers while driving along the highways since it is (C)[very easy to exceed] 35 miles per hour (D)[while driving] on open roads.
3920. [정동사의 중복]
정답 - B : [had ought to] → [ought to] : 원래 'owe'의 과거형으로 만들어진 'ought to'는 정동사인데(서법 조동사) 앞에 과거형 정동사인 'had'가 대책 없이 사용될 수 없다. 글의 흐름상 'should'와 비슷한 뜻인 'ought to'만 사용하면 되겠다.
C, D : C 앞의 'it'은 가주어이고 뒤의 'to exceed ~'가 진주어이다. 'driving'의 의미상의 주어는 생략된 '(for them)'과 같으므로 문제가 없다.
[해석] 귀중한 가솔린을 낭비하지 않기 위해서 운전자들은 고속도로를 달릴 때 속도계를 체크해야만 한다. 탁 트인 도로에서 운전하면서 시속 35 마일을 넘기기 아주 쉽기 때문이다.
3921. [경기대학교 2018]
(A)[At] the age of 17 he joined (B)[in] the Army and was sent to Fort Monmouth (C)[in] New Jersey to receive further education (D)[in] eletronics.
3921. [자동사와 타동사의 혼동형]
정답 - B : [in] → [ ] : 'join'은 드물게 '토론이나 게임에 참가하다'의 뜻으로 'join in'을 사용하기도 하나 '모임·당·군대 등에 들어가다'의 뜻일 때는 타동사로 'in' 없이 사용된다.
A : 선의 한 부분, 즉 점으로서 'at'은 사용된다.
C : 선이 아니고 큰 공간이 입체적으로 따르면 'in'을 사용한다.
D : 전문 분야면 'on'을 사용하겠지만 더 크게 본 분야면 'in'을 사용한다.
[해석] 17 살에 그는 군대에 들어갔고 뉴저지 주 포트 몬머스로 보내져서 전자 공학 분야에서 더 교육을 받게 되었다.
3922.* [광운대학교 2018]
다음 중 어법 상 가장 적절한 것은?
(A) Lee and Pat blamed each other's parents.
(B) Lee and Pat knew that I would curse themselves.
(C) Lee and Pat knew that I would curse each other.
(D) Mary believes John to love herself.
(E) Before John left, Mary kissed himself.
3922.* [상호 목적어와 재귀 목적어]
정답 - A : Lee and Pat blamed each other's parents.
: 'each other'는 '주어 간의 서로에게'라는 뜻으로 상호(Reciprocal) 목적어라 칭한다.
[해석] 리와 펫은 서로의 부모들을 비난했다.
C : Lee and Pat knew that I would curse *each other.
'I'에 대해서 '서로'(each other)라는 대명사를 적용할 수 없다.
→ Lee and Pat knew that I would curse them.
B : Lee and Pat knew that I would curse *themselves.
→ Lee and Pat knew that I would curse them.
'주어 간의 자신에게'라는 뜻으로 재귀(Reflexive) 목적어라 칭한다. 재귀 목적어는 같은 절의 주어에 적용되는 것을 'I'에 대해서 'themselves'를 사용할 수 없다.
D : Mary believes John to love *herself.
'love'의 의미 상의 주어는 'John'이므로 재귀 목적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E : Before John left, Mary kissed *himself.
자기 절의 주어인 'Mary'와 목적어인 'him'은 같은 지칭 대상이 아니므로 재귀 목적어 사용하지 않는다.
3923.* [건국대학교 2018]
We always need to ask ourselves, and (A)[reflect] very carefully about, what we want and why we want it. Knowledge appears to be a good thing, but too much knowledge, or perhaps (B)[pursued] that knowledge with too much determination, may very well make our lives pretty miserable. One reason for this is that chasing knowledge beyond certain limits might be (C)[nothing but] a fool's errand. We are somehow assuming that we can know everything, that our minds are powerful enough. But why should we assume that? We are ourselves (D)[a work] of nature, and if nature is powerful enough to create something that is capable of understanding all its workings, then it must also be powerful enough to conceal things from us. There is no guarantee, and in fact it is very unlikely, (E)[that] we are actually capable of understanding more than a tiny fraction of the universe.
3923.* [동격과 동명사]
정답 - B : (B)[pursued] → [persuing] : 'too much knowledge'는 뒤에 나오는 정동사 'may'의 주어이다. ", or perhaps (B)[pursued] that knowledge with too much determination," 부분은 동격이어야 한다. 명사와 동격이므로 동명사가 사용될 수 있다. 동명사는 내부적으로는 동사고 전체적으로는 명사인 것을 말한다. 뒤에 목적어인 'that knowledge'가 따르는 과거형인 'pursued'는 옆에 주격의 주어가 있어야 하는데 없으므로 곤란하다. 준동사인 'pursuing'을 사용하면 내부적으로 동사로 목적어인 'that knowledge'가 따르고 전체적으로는 'perhaps pursuing that knowledge ~'가 명사로 사용되어서 동명사라 칭하게 된다.
A : ", and (A)[reflect] very carefully about,"는 삽입적 병치가 되고 있다.
E : ", and in fact it is very unlikely," (E)[that] we are : 여기서 ", and in fact it is very unlikely,"는 삽입적 병치가 되고 있다.
[해석] 우리는 항상 스스로에게 아주 조심스럽게 반성하며 우리는 무엇을 원하며 왜 그것을 원하는지 물어야만 한다. 지식은 좋은 것으로 보이지만 너무 많은 지식은 보다 정확히는 아마도 아주 단호하게 그 지식을 추구하는 것은 필경 우리의 삶을 아주 비참하게 만들 수도 있다. 이런 이유의 하나는 어떤 한계 이상으로 지식을 추구하는 것은 헛수고에 불과할 수도 있다. 우리는 어떻게 해서든 우리가 모든 것을 알 수 있다고 가정한다. 즉 우리의 지성은 충분히 강력하다고. 하지만 왜 우리는 그렇게 가정해야만 하나요? 우리 자신은 자연의 산물이고 자연이 그 만들어낸 모든 것을 이해할 수 있는 어떤 것을 창조할 정도로 충분히 강력하다면 그렇다면 우리에게서 뭔가를 감출 만큼 충분히 강력한 것임이 분명하다. 사실 아주 불가능하지만 보장할 수도 없다. 우리가 실제로 우주의 작은 부분 이상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은 말이다.
'편입 문법 3000 Pl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12회] (0) | 2022.09.29 |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11회] (0) | 2022.09.27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09회] (1) | 2022.09.22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08회] (1) | 2022.09.20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07회] (0) | 2022.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