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z9wYSx_mxBk
3924. [경기대학교 2018]
It would be helpful (A)[what] your husband (B)[took] your concerns (C)[more] seriously and at least offered you (D)[some] support.
3924. ['what'의 제자리 찾기]
정답 - A : [what] → [if] : 'what'의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든 의문사든 명사인데 내려갈 자리가 없다. '주어-타동사-목적어'가 나와 있어서 내려갈 자리가 없다. 앞에 'would'가 사용되고 있는데 그냥 과거 시간을 나타내는 경우는 드물다. '가정법 표시사 would'로 사용될 확률이 크다. 뒤의 'took'와 'offered'는 가정법 과거로 보는 것이 보통이다.
[해석] 댁의 남편이 당신의 관심사를 더 진지하게 생각하고 적어도 약간이라도 지지해 준다면 도움이 될 겁니다. (사실의 반대라기보다는 제안으로서의 가정법)
3925. *[상명대학교 2018]
At local company Angleside, (A)[up to] 150 employees (B)[will lose] their jobs. Daniel West, the Managing Director, announced they (C)[will be offering] early retirement and (D)[hoped] (E)[to cover the job losses] in this way.
3925. [현재 연관성과 미래]
정답 - D : [hoped] → [hope] : 'hoped'(과거형 정동사)를 사용하려면 'announced'와 병치되어야 하는데 '발표하고 희망했다'로는 뜻이 연결되지 않는다. 'announced'로 과거로 사용한 것은 단일 사건으로 본 것이지만 발표의 내용이 현재 연관성이, (또는 미래 연관성), 있기에 'will be offering'을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진행형은 단순 미래 표시의 진행형이다. '제안하게 될 거고 희망하게 될 거라고 발표했다.'의 뜻으로 앞의 'will'과 연결되어야 한다.
[해석] 지역 회사인 앵글사이드에서는 최대 150 명의 직원들이 일자리를 잃게 된답니다. 대니얼 웨스트 전무는 발표한 바 있습니다. 회사는 조기 퇴직을 제공하게 될 거고 이런 식으로 일자리의 손실을 커버하기를 희망한다고 발표했습니다.
3926.*[가천대학교 2018]
Dreaming is a mental activity (A)[associated] with the rapid-eye-movement(REM) period of sleep. It is (B)[commonly] made up of visual images expressed in terms of seeing rather than in (C)[those] of the other senses. Electroencephalograph studies, (D)[to measure] the electrical activity of the brain during REM sleep, have shown that young adults dream for about 2 hours of every 8-hour period of sleep.
3926.* [비제한 후치 수식 또는 분사 구문의 위치 특이형]
정답 - D [to measure] → [measuring] : 'EEG(뇌파 기록기) 연구들'은 뒤에 나오는 정동사 'have'의 주어이다. 관계절이라면 'which have been measuing ~'에서 'which have been'이 생략된 경우이다. 분사 구문이라면 여기 위치시키기보다는 'EEG studies' 앞에 위치시키는 것이 보통이다. 부정사의 목적 용법이라면 위치도 맞지 않고 뜻도 이상하다. 얼핏 동격으로 보고 싶지만 구체적이지 않고 반복적인 경우라면 동명사를 사용한다. 물론 여기서는 동격도 아니지만.
[해석] 꿈은 렘수면과 연관된 정신 활동이다. 꿈은 보통 다른 감각들의 용어보다는 시각의 용어로 표현된 시각적 이미지로 구성된다. EEG 연구(들)는 렘수면 기간 동안 뇌의 전기 활동을 측량하는데 젊은이들은 8 시간의 수면에서 약 2 시간 동안 꿈을 꾼다고 한다.
3927.* [건국대학교 2018]
It seems rather improbable that a celestial body (A)[the size] of the Moon could completely block out the tremendously immense Sun, (B)[as happens] during a total eclipse, but this is exactly (C)[that] happens]. Although the Moon is considerably smaller in size than the Sun, the Moon is able to cover the Sun because of (D)[their] relative distances from Earth. A total eclipse can last up to 7 minutes, during (E)[which time] the Moon's shadow moves across Earth at a rate of about .6 kilometers per second.
(A) the size (B) as happens (C) that (D) their (E) which time
3927. [양쪽 제자리 찾기 what]
정답 - C [that] → [what] : 'is'의 보어가 되면서 'happens'의 주어이려면 'what'이 사용되어야 한다.
A : (A)[the size] of the Moon = which is the size of the Moon
B : 양태의 as
E : during (E)[which time] : 요약-환언의 관계사 : 'during the time'에서 'the time'을 'which time'으로 바꾼 관계적 표현이다.
[해석] 오히려 불가능해 보인다. 일식 때 그러하듯 달 크기의 천체가 엄청 거대한 태양을 완전히 막는다는 것은. 하지만 이건 정확하게 일어나는 것이다. 달은 태양과 교해 크기 상당히 작지만 달은 태양을 가릴 수 있다. 그건 지구로부터의 그것들의 상대적인 거리 때문이다. 완전 일식은 최대 7 분간 지속될 수 있는데 그 시간 동안 달의 그림자는 지구를 가로질러 움직인다. 대략 초당 0.6 킬로미터로 움직인다.
'편입 문법 3000 Pl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13회] (1) | 2022.10.01 |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12회] (0) | 2022.09.29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10회] (0) | 2022.09.25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09회] (1) | 2022.09.22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08회] (1) | 2022.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