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Het08mfABJA
4047.* [가톨릭대학교 2017]
China promised to halt its domestic ivory trade completely by the end of 2017. It is a huge step for a country [ ] intricately carved ivory items had become popular gifts to grease the wheels of government and business. Celebrities have led campaigns to stop the buying of ivory and to warn people that elephants have to die for the ivory [ ].
(A) which -- to take
(B) where -- to take
(C) which -- to be taken
(D) where -- to be taken
4047.['관계 부사 where'와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과 목적 용법]
정답 - D [where]와 [to be taken] : 'intricately carved ivory items'가 '정동사 had'의 주어이고 'popular gifts'는 'become'의 보어이다. 'to grease the wheels of government and business'는 'popular gifts'을 수식하는 형용사적 용법이다. 따라서 앞의 선행사 'a country'를 수식하려면 '관계사 which'는 곤란하고 관계 부사 'where'가 사용되어야 한다. 'warn people (간접 목적어) that 절 (직접 목적어)'의 구조로 'that 절'이 완전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elephants have to die for the ivory [ ]'에서 'for 의미상의 주어 ~'가 목적 용법이 되려면 상아는 취하는 것이 아니고 취해져야 하므로 'to be taken'이 사용되어야 한다.
[해석] 중국은 2017 년 말까지는 국내의 상아 거래를 완전히 중단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는 정교하게 새겨진 상아 물건들이 정부와 사업의 바퀴에 기름 칠을 할 수 있는 인기있는 선물이 되었던 나라로서는 거대한 진전이다. 명사들은 상아의 구매를 중단하고 사람들에게 상아가 구입되려면 코끼리가 죽어야만 한다고 경고하는 캠페인을 이끌어 왔다.
4048.* [명지대학교 2017]
An intoxicating (A)[mix of] high rise buildings, neon-saturated streets and pounding commerce all contribute (B)[to making] Seoul one of the world's great 24 hour cities, and a true feast for the senses. (C)[With its] hyper-efficient transport system, a negligible rate of crime and an astonishing wealth of locally produced modern art, it's little wonder that so many tourists from around the world who visit Seoul come away (D)[hugely impressing].
4048. [주격 유사 보어의 현재 분사와 과거 분사]
정답 - D [hugely impressing] → [hugely impressed] : 관계절과 전치사구를 제외하고 보면 'so many tourists'가 'come away'의 주어이고 그 뒤에 주격 유사보어가 붙어 있다. 아주 많은 관광객들이 떠날 때 감동을 주는 것이 아니고 감동을 받는 것이므로 'hugely impressed'를 사용해야 한다.
B : 'contribute'는 {'con' : with + tribuere : bestow, add}의 뜻으로 타동사라면 '기부하다'든 '기고하다'든 'contribute A to B'로 사용된다.
목적 생략적 자동사로도 사용되어서 'contribute to 명사 또는 동명사'로 사용될 수 있다.
Technology has contributed to *improve our lives. (부정사는 따를 수 없다.)
Technology has contributed to improving our lives. (동명사)
Technology has contributed to improvements in our lives. (명사)
Tourism contributes substantially to the local economy. (목적어를 대신하는 부사)
An intoxicating (A)[mix of] high rise buildings, neon-saturated streets and pounding commerce all contribute (B)[to making] ~ : 'contribute to 동명사'에 해당된다. 'all'은 양화사 하향에 해당된다.
[해석] 고층 건물들이 섞여서 들뜨게 하고 거리에는 네온이 가득하고 상거래는 쿵쾅거려서 이 모든 것들은 서울을 세계의 24 시간 도시들의 하나가 되게 하고 진정한 감각의 향연 거리가 되게 하는 데 기여한다. 아주 효율적인 교통 시스템과 무시할 정도로 낮은 범죄율과 지역에서 만들어진 놀라울 정도로 풍성한 현대 미술로 인해서 서울을 방문하는 아주 많은 전세계의 관광객들은 아주 감동을 받고서 돌아가게 되는 것은 놀랄일이 아니다.
[ET50-3-3]2060. ⋆ [명지대학교 2010]
The son (A)[of Italian immigrants] grows up (B)[poorly in San Francisco] and becomes the greatest baseball player (C)[of his day], marries an American goddess and never (D)[in word or deed] befouls his legend and greatness.
[ET50-3-3]2060. [주격 유사 보어]
정답 - B : [poorly in San Francisco] → [poor in San Francisco] : 성장할 때 가난한 상태로 성장한 것이므로 유사 보어로 형용사인 'poor'를 써야 한다.
D : in [[word] or [deed]} = [in word] or [in deed] : 말로나 행동으로나
befoul : 더럽히다 goddess : 여신, 동경의 대상이 되는 여자, 절세 미녀
'{grows} and {[becomes ~], [marries ~], and [never in word or deed befouls ~]}'의 구조로 병치되어 있다.
참고 : 'Joe DiMaggio'에 관한 이야기이다
[해석] 이 이태리 이민자들의 아들은 샌프란시스코에서 가난하게 성장해서 당대의 가장 위대한 야구 선수가 되어 절세미인과 결혼하고 말로나 행동으로나 자신의 전설과 위대함을 결코 더럽히지 않는다.
[핵심 문법] 유사 보어
He became a beggar. "그는 거지가 되어버렸다."
'became'은 2형식 변화형 동사이고 'He = a beggar'의 관계가 성립되어 'a beggar'는 주격 서술 보어이다. 그리고 'a beggar' 없이는 문장이 성립되지 않는다.
He died a beggar. "그는 거지로 죽었다."
'died'는 본시 자동사로 서술 보어를 요하지 않는다. 'S + Vi'로 문장의 필수 요소의 형성이 끝난 뒤에 없어도 문장이 성립되는 'a beggar'가 붙어 있는 형태로
→ He died and at that time he was a beggar.
→ When he died, he was a beggar.
→ When he was a beggar, he died.
→ He died when he was a beggar. 등으로 'paraphrase' 된다.
비록 'died'는 2형식 연계 동사는 아니지만 'He = a beggar'의 관계가 성립됨을 중시해서 'a beggar'가 주어 'He'에 대한 서술 보어와 유사한 자격을 지니고 있다고 보고 '유사 보어'라 칭하고 2형식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그러나 문의 형식은 문의 머리어인 동사의 성질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원칙이므로 '1형식 + 유사 보어'로 분석하기도 한다. 기능상으로 볼 때 동사 'died'의 성질상 'a beggar'는 없어도 'He died.'만으로 완전한 문장이 되고 따라서 'a beggar'는 문의 필수 요소가 아닌 부가어로 보고 의미상으로는 이퀄 관계가 성립되므로 보어로 보아서 '부가 보어'라 칭하기도 한다.
(1) 1형식 + 유사 보어
He died young. "그는 어린 나이로 죽었다."
She married young. "그녀는 어려서 결혼했다."
We parted the best of friends. "우리는 가장 좋은 친구로 헤어졌다."
He went an enemy and came back a friend. "적으로 갔다가 친구로 돌아왔다."
He returned home a rich man. "그는 부자가 되어서 집으로 돌아왔다."
He arrived as drunk as a lord. "그는 곤드레만드레 취해 도착했다."
He lived a saint and died a martyr. "그는 성인으로 살다가 순교자로 죽었다."
They were born poor, lived poor and died poor.
"그들은 가난하게 태어나 가난하게 살다가 가난하게 죽었다."
(2) 3형식 + 유사 보어
ⓐ John ate the meat raw. "존은 그 고기를 날것으로 먹었다."
'ate'는 3형식 타동사이고 목적격 보어를 요하지 않지만 'the meat = raw'의 이퀄 관계는 성립되므로 'raw'는 목적어에 대한 유사 보어라 볼 수 있다. 'raw'는 'the meat'에 대한 후치 수식으로 볼 수는 없다. 그것은 형용사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명사를 뒤에서 후치 수식을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 John shaved his face smooth. "그는 얼굴을 매끈하게 면도했다."
ⓐ는 '고기를 먹어서 고기가 날것이 되었다.'라는 의미를 가질 수 없고 '3형식 + 유사 보어'로 분석하는 반면 ⓑ는 '얼굴을 면도해서 얼굴이 매끈해졌다.'는 의미를 갖고 있는데 이처럼 동사(shaved)의 행위 결과로 'his face = smooth'의 이퀄 관계가 발생되면 'shaved'는 복합 타동사이고 'smooth'는 목적격 서술 보어이고 완전한 5형식 문장이 성립된다.
① 목적격 유사 보어
3형식 뒤에 나오는 유사 보어가 목적어와 이퀄 관계가 성립될 때를 말한다.
They caught a tiger alive. "그들은 산 채로 호랑이를 잡았다."
They left the house deserted. "그들은 그 집이 황폐한 채로 그 집을 떠났다."
I saw him young and strong. "내가 그를 보았을 때 그는 젊고 건강했다."
He rode the pony barebacked. "그는 그 조랑말을 안장도 없이 탔다."
A : What are you going to do about the deer astray in the playground?
B : We are going to catch it _________.
(A) life (B) live (C) alive (D) living
정답 - C
② 주격 유사 보어
3형식 뒤에 나오는 유사 보어가 주어와 이퀄 관계가 성립될 때를 말한다.
The boy left his hometown young. "그 소년은 어려서 고향을 떠났다."
They left the house unnoticed. "그들은 눈치 채이지 않게 그 집을 떠났다."
He left the house very happy. "그는 매우 행복하게 그 집을 떠났다."
He approached us full of apologies.
"그는 잔뜩 사과하는 마음을 갖고 우리에게 다가왔다."
(3) 분사형 유사 보어
I stood looking at the picture. "나는 그림을 보면서 서 있었다."
'looking 이하'를 분사 구문으로 전환해도 비슷한 뜻이 된다.
= Looking at the picture, I stood. "그림을 보면서 나는 서 있었다."
이런 경우 'looking 이하'를 주어에 대한 분사형 유사 보어라 칭한다.
I remained standing. (2형식) "나는 여전히 서 있었다."
이때는 'remained'가 2형식 지속형으로 쓰인 것이어서 분사 구문으로 전환하면 'remained'는 자동사가 되어 뜻이 달라진다.
≠ Standing, I remained. (But they left.) "서있는 채로 나는 남았다. (그러나 그들은 떠났다.)"
이런 경우는 'standing'을 유사 보어로 보지 않는다.
The door remained locked. (2형식) "문은 여전히 잠겨 있었다."
*Locked, the door remained.
이 경우는 아예 분사 구문으로 전환하면 틀린 문장이 된다.
I sat surrounded by his children.
"나는 그의 아이들에게 둘러싸인 채로 앉아 있었다."
'surrounded 이하'를 분사 구문으로 전환해도 비슷한 뜻이 된다.
= Surrounded by his children, I sat.
"그의 아이들에게 둘러싸인 채로 나는 앉아 있었다."
'surrounded 이하'는 역시 주어에 대한 분사형 유사 보어라 칭한다.
They grew excited. (2형식) "그들은 점점 더 흥분하게 되었다."
이때는 'grew'가 2형식 변화형으로 쓰인 것이어서 분사 구문으로 전환하면 'grew'는 자동사가 되어서 뜻이 달라진다.
≠ Excited, they grew. "흥분해서 그들은 성장했다."
내용상 이해되지 않는 문장이 되고 이런 경우 'excited'를 유사 보어로 보지 않는다.
She looked worried about her school report.
"그녀는 학업성적에 대해 걱정하고 있는 것 같았다."
여기서 'looked'는 2형식 동사이고 'worried'는 주격 보어이고 아예 분사 구문으로 전환하면 틀린 문장이 된다.
*Worried about her school report, she looked.
다음은 분사형 유사 보어의 예문들이다.
He stood leaning against the gate. "그는 문에 기댄 채로 서 있었다."
He sat reading the book. "그는 책을 읽으면서 앉아 있었다."
He came home satisfied. "그는 만족한 채로 집에 돌아왔다."
He went home satisfied with my explanation. "내 설명에 만족한 채로 집으로 갔다."
He died lamented by everybody. "모두가 애통해 하는 가운데 그는 죽었다."
The event passed unnoticed. "그 사건은 눈에 띄지 않고 넘어갔다."
'편입 문법 3000 Pl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45회] (0) | 2022.12.15 |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44회] (0) | 2022.12.13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42회] (0) | 2022.12.08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41회] (0) | 2022.12.06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40회] (0) | 2022.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