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 문법 3000 Plus2022. 12. 13. 10:27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VtffFhZLVv8

 

4049. [서울여자대학교 2017]

It is assumed (A)[what] Homo erectus (B)[must have had] a communication system (C)[more complex] than (D)[any of] today's living primates.

4049. [의문사 또는 관계사의 제자리 찾기]

정답 - [what] → [that] : 'what'은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 아니면 간접 의문문 의문사인데 여하튼 명사로 사용되어야 한다. 뒤에 주어가 'Homo erectus'가 주어이고 'must'가 정동사이고 'a communication system'이 목적어이고 뒤에 후치 수식이 따르고 있다. 따라서 명사가 내려갈 제자리가 없다. 앞에 'It'는 가주어이고 진주어인 'that 절'이 뒤에 따라야 한다.

B : 'must have had'에서 'have had'는 과거인데 시제 대체하여 'have PP'가 사용되고 있다.

[해석] 호모 에렉투스는 오늘날의 생존하는 어떤 영장류보다 더 복잡한 커뮤니케이션을 가졌음이 틀림이 없었다고 가정된다.

4050. [성균관대학교 2017]

After China returned an underwater glider (A)[it] seized from the U.S. Navy off the coast of the Philippines, the Philippines defense secretary said (B)[his] government would put both Washington and Beijing on notice against what (C)[he] called (D)[its] unauthorized presence in the country's (D)[200-mile] exclusive economic zone.

4050. [소유격 일치]

정답 - D [its] → [their] : 'Washington'과 'Beijing'을 모두 받는 것이므로 소유격은 'their'를 사용해야 한다.

[해석] 중국이 필리핀 해안의 미 해군으로부터 획득한 수중 글라이더를 반환한 후에 필리핀 국방 장관은 그의 정부는 미국과 중국에 경고를 했다고 한다. 그가 말하는 두 나라의 필리핀의 200 마일 배타적 경제 존에서의 허가받지 않고 있는 것을 반대한다고.

4051. [아주대학교 2017]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A)[was constituted] a period of massive migration in the U.S. as white settlers (B)[moved westward] in droves. The American government enacted (C)[the forced relocation] of Native American tribes to government-established reservation, but continued settlement (D)[further] raised the demand for land. However, the Native American practice of communal use of land made it nearly impossible (E)[to acquire] reservation land from tribes.

4051. [타동사의 능동태와 수동태]

정답 - [was constituted] → [constituted] : 'be + PP'는 수동태인데 4형식의 수동태가 아닌 한 뒤에 명사가 따라 나올 수 없다. 'constitute'는 함께(con- : with) 서있는(stitute : stand) 것에서 만들어진 단어로 타동사로 '구성하다'로 그냥 사용하면 된다.

[해석] 19 세기 초는 백인 정착민들이 무리 지어 서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대량 이동의 시제를 이루게 되었다. 미국 정부는 토착 원주민들을 정부가 만든 보호지에 강제 이동을 시켰지만 지속적인 정착은 땅의 수요를 더욱 증대시켰다. 하지만 토착 원주민들의 땅의 공동 사용하는 관례로 인해서 부족들로부터 보호지를 구매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해졌다.

4052. [국민대학교 2017]

Korea has long (A)[lost] any claim to (B)[beig] a land of clean air and clear water, but the ongoing controversy (C)[surrouned] the safety of (D)[drinking] water is another wake-up call against possible contamination of this most basic resource.

4052. [분사의 후치 수식 능동과 수동]

정답 - C [surrounded] → [surrounding] : 분사의 후치 수식에서 내부에 목적어(the safety of drinking water)가 따르므로 현재 분사인 'surrounding'을 사용해야 한다. 과거 분사인 'surrounded' 뒤에는 명사인 'the safety ~'는 따를 수 없다. 'surrounded'가 과거로 정동사면 '주어 + 정동사 + 목적어' 뒤에 정동사인 'is'가 갑툭튀, 의악형이 되어서 곤란하다.

D : [drinking] water ← water for drinking : 용도를 나타낸다.

A : {Korea has 'long' (A)[lost] any claim to ~}에서 'long'은 부사로서 잃어버린 후의 지금까지의 긴 기간을 나타낸다.

[해석] 한국은 깨끗한 공기와 맑은 물의 나라라는 주장을 잃은 지가 한참 되었지만 식수의 안전을 둘러싼 진행 중인 논란은 이 가장 기본적인 자원을 오염시킬 가능성에 대한 또 하나의 충격을 준 사건이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