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2021. 1. 25. 06:17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eDCc-9hC0RA

#   Reynolds is convinced that his crusade saved six lives a day, because crime rates came tumbling down in California after Three Strikes was passed. But upon closer examination, (A)[it turns out that] those reductions started before Three Strikes went into effect. And while crime rates came tumbling down in California in the 1990s, they also came tumbling down in many other parts of the United States in the same period, even in places that didn't crack down on crime at all. The more Three Strikes was studied, (B)[the more elusive its effect were seen to be]. Some criminologists concluded that it did lower crime. Others said that it worked (C)[but that the money spent on locking] criminals up would have been better spent elsewhere. One recent study says that Three Strikes brought down the overall level of crime (D)[but that, paradoxically, increased] the number of violent crimes. Perhaps the largest group of studies can find no effect at all, and (E)[there is even a set of studies that argue] Three Strikes raised crime rates. ~ ~

 

#  (A), (B), (C), (D), (E) 중에서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은?

 

[해석]  "레이놀즈는 그의 운동이 하루에 여섯 명의 목숨을 살린다고 확신하고 있다. 삼진 아웃제가 통과된 후로 캘리포니아 주의 범죄율이 와르르 떨어졌으니까요. 하지만 더 면밀히 조사해보면 그런 감소는 삼진 아웃제가 발효되기 전에 시작했음이 밝혀진다. 그리고 캘리포니아 주에서 1990년대에 범죄율이 와락 떨어지는 동안  같은 기간 미국의 다른 많은 지역에서도 떨어지기는 매일반이었고 심지어 범죄에 대한 단속이 거의 없었던 지역에서도 이는 마찬가지였다. 삼진 아웃제에 대해서 더 많은 연구를 하자 그 효과는 더 파악하기 어려워졌다. 삼진 아웃제가 범죄율을 낮춘 건 사실이라고 말하는 범죄학자들도 있긴 했다. 하지만 효과는 있었지만 범죄자들을 가두는 데 쓴 돈은 다른 부분에 더 잘 사용할 수도 있었다고 말하는 범죄학자들도 있었다. 최근의 한 연구에 따르면 삼진 아웃제는 전반적인 범죄 수준을 낮추긴 했지만 역설적으로 폭력적인 범죄는 더 증가시켰다고 한다. 어쩌면 가장 대규모로 조사하면 아무런 효과도 없다는 결론을 내릴 수도 있으며 일단의 연구들에 따르면 심지어 삼진 아웃제는 범죄율을 증가시켰다고 할 수도 있다.

[정답]  (D)[but that, paradoxically, increased → but , paradoxically, increased] 

 

[어휘 또는 표현]

tumble [tΛmbl] : 넘어지다, 구르다; 굴러떨어지다; [건조물이] 무너지다; [가격·주가 등이] 폭락하다; 실각하다; 재주넘다; 뒹굴다, [파도 등이] 출렁거리다, 넘실거리다; 우연히 마주치다; 허둥지둥 ~하다; (비격식) [사실·사정을] 문득 알아채다; 갑자기 빠지다; 굴리다, 넘어뜨리다 : fall helplessly down, end over end; to roll end over end  : (Middle Low German tummelen + O F tomber : to fall → Middle E tumble : dance with contortions)  [ 게르마닉 독일어 tumon(reel)과 게르마닉 불어 tomber(fall)가 합쳐진 단어로 반복형인 '-le'의 사용에 주의한다. 어원은 도움이 별로 안 되지만, 떨어지든(fall) 구르든(roll) 'end over end'(= head over heels, top over tail)(끝과 끝이 넘어 연이어)의 뜻인 것에 느낌을 갖자. ㅎ 텀블링 알면 그만.]

go into effect : 발효되다 

elusive [ilúːsiv] : [사물·사람이] 손에 잡히지 않는, 눈에 띄지 않는; [뜻·성격 등이] 파악하기 어려운, 알기 어려운; [사람·동물 등이] 교묘하게 피하는 : (L e- : out + ludere : to play) [벗어나는 플레이(play)에서, 'illusion'(보통, 눈에 대한(in, against) 장난질(play), 착각, 환상, 환각, 환영)과 같은 어원에서]

(A)[it turns out that] those reductions started ~

'it'은 가주어 'that 절'은 진주어로 '판명되다'의 뜻이다.

(B)[the more elusive its effect were seen to be].

'the more elusive'의 원래 위치는 'to be' 뒤다.

(E)[there is even a set of studies that argue] Three Strikes raised crime rates.

'argue'는 'a set of studies'를 'a lot of studies'처럼 봐서 복수 일치 시키고 있다. 하지만 'there is a'는 우선 근자 일치로 'is a'를 사용하고 있다.

[해설]

Others said that it worked (C)[but (*that) the money spent on locking] criminals up would have been better spent elsewhere.

= Others said {[(that) it worked] but [that the money ~ ~ would ~ ~]}.

'said' 바로 뒤에 따를 때 '명사절 접속사 that'은 목적어인 줄 알기에 생략할 수 있다. 하지만 'but 뒤의 that'은 생략해서는 안 된다. 생략하면 '{Others said ~ }but {the money ~ would ~}로 등위 되어서 곤란하다.

One recent study says that Three Strikes brought down the overall level of crime (D)[but *that, paradoxically, increased] the number of violent crimes. 

→ One recent study says that Three Strikes {brought down the overall level of crime]} (D)[but, {paradoxically, increased] the number of violent crimes}. 

'that'는 없어야 한다. 'that'이 있으면 명사절인데 주격의 주어는 없이 정동사인 'increased'만 사용되기에 곤란하다. 정동사인 'brought ~'와 'increased ~'의 확대 동사구가 등위 된 것이므로 'that'은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ick on(부사) ~, 제공의 with  (0) 2021.01.27
get 머리 아픈 경우  (0) 2021.01.25
enough ~ that 구문  (0) 2021.01.23
parasitic gaps(기생 공백)★★★  (0) 2021.01.22
a prison tower 기능 무관사와 조어법  (0) 2021.01.21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