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OOc1aUbbi6s
[PT32-12]1374. [세종대학교 2004-1]
Nashville has ___________ the capital of country music.
(A) as long been known (B) been known long as
(C) long been known as (D) long as been known
[PT32-12]1374. ['부사 long'의 위치]
정답 - C : 완료의 계속적 용법의 기간을 나타낼 때 '부사 long'은 혼동을 피하여 'have long PP' 즉, ' have'와 'PP' 사이에 위치시킨다.
[해석] 내슈빌은 오랫동안 컨트리뮤직의 중심지로 알려져 왔다.
[PT32-13]1375. [홍익대학교 2004-1]
The operetta first _______ as a popular form of musical theater in the nineteenth century.
(A) emerged (B) emerging (C) to emerge (D) have emerged
[PT32-13]1375. [분명한 과거 표시 어구]
정답 - A : 19C에 맞추어 과거형이 쓰인 것이 맞다.
D : 현재 완료는 분명한 과거와 쓰이지 못한다.
B, C : 준동사로는 문장이 성립되지 못한다.
[해석] 오페레타는 19세기에 음악극의 인기 있는 한 형태로 등장했다.
[PT32-14]1376. [계명대학교 2004-1]
About 64 million years ago, a mass extinction of dinosaurs _______.
(A) occur (B) occurred (C) occurrence (D) is occurring
[PT32-14]1376. [분명한 과거 표시 어구]
정답 - B : 분명한 과거 표시 어구인 '~ ago'가 있으므로 과거형을 써야 한다.
[해석] 6천4백만 년 전 경에 공룡의 대량 멸종이 발생했다.
[PT32-15]1377. [아주대학교 2004-1]
Isadora Duncan (A)[has had] (B)[little] success in (C)[the United States] when she (D)[first] created dances based on Greek classical art.
[PT32-15]1377. [분명한 과거 표시 어구]
정답 - A : [has had] → [had] : 'when 절'이 분명한 과거 표시 어구이므로 현재 완료는 곤란하고 과거형으로 그냥 'had'를 써야 한다.
B : 'success'는 불가산 명사 예외 a success : 성공한 사람, 성공한 것
C : 유한 집합이므로 정관사를 사용하고 있다.
[해석] 이사도라 던컨은 처음으로 그리스 고전 예술에 바탕을 둔 춤을 만들었을 때 미국에서는 거의 성공하지 못했다.
[PT32-16]1378. [경희대학교 2012]
Such Bohemianism could (A)[be construed as affectation], and it's possible that early in life Katherine Matilda Swinton (B)[has deliberately cultivated a style that] would (C)[signal her disregard] for (D)[a world she found stultifying].
[PT32-16]1378. [분명한 과거 표시 어구]
정답 - B : [has deliberately cultivated a style that] → [deliberately cultivated a style that] : 앞에 'early in life'라는 분명한 과거 표시 어구가 있으므로 현재 완료를 쓸 수 없다.
[어휘] Bohemianism [bouhíːmiənizm] : 자유분방한 생활 방식 affectation : 허세; 가장, 꾸미기
construe : 해석하다, 설명하다; 번역하다 disregard : 무관심, 무시; 경시, 등한시
cultivate : [재능 등을] (교육·훈련에 의해) 기르다; [정신을] 도야하다; [남을] 교화하다, 계발하다(enlighten); [예술·학문 등에] 몰두하다, 즐기다
stultifying : 기력을 상실케하는; 쓸모없는; 무효의; 바보같이 만드는 : (Latin stultus : foolish)
[해석] 그러한 자유분방한 생활방식은 어쩌면 꾸민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으며 아마도 캐서린 마틸다 스윈튼은 자신이 쓸모가 없다고 생각하게 된 영역에 대한 무관심을 알리는 스타일을 초년기에 의도적으로 기른 것 같다.
[PT32-17]1379. [전남대학교 2003-1]
I'll (A)[never go] camping (B)[again], because (C)[on our last camping trip] we (D)[have never taken] a single bath.
[PT32-17]1379. [분명한 과거 표시 어구]
정답 - D : [have never taken] → [never took] : 'on our last camping trip'은 분명한 과거 표현 어구이므로 현재 완료를 쓸 수 없다.
[해석] 나는 결코 다시는 캠핑을 가지 않을 것인데 지난번 캠핑 때 단 한 번도 목욕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편입 문법 3000 Pl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258회] (0) | 2021.02.18 |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257회] (0) | 2021.02.18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255회] (0) | 2021.02.16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254회] (0) | 2021.02.16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253회] (0) | 2021.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