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 문법 3000 Plus2021. 4. 7. 21:10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I79QYVwVZFE

[ET50-2-1]2055. [동아대학교 2005-1]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가장 적당한 것을 고르시오.

Paint is ______________ used to protect wood.

(A) not only the substance                      (B) the substance which is not only

(C) not a substance which only is               (D) not only a substance which is

(E) not the only substance

[ET50-2-1]2055. ['not only'와 'not the only']

정답 - E : 속성을 표시하지만 'only'가 있으면 유일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당연히 정관사가 쓰여야 한다.

A : [the substance] → [a substance] : 명사에 'only'가 속해있는 경우가 아니므로 속성/성질을 표시하려면 부정관사를 써야 한다물론 'not only a' 다음에 뒤에 'but also ~'도 따라야 정상이다.

B : [the substance] → [a substance] : 속성 표시는 부정관사를 써야 한다물론 'not only used' 다음에 'but also ~'도 나와야 한다.

C : '촛첨사 only'의 위치 및 뜻이 모호하다.

D : 뒤에 'but also ~'가 따라야 한다.

[해석페인트는 나무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일한 물질은 아니다.

 

[핵심 문법] 'only'와 관사

You are the only person who can help me. "당신은 나를 도울 수 있는 유일한 분이세요."

'only'가 있으면 속성 표시여도 유일하므로 정관사를 사용한다.

You should get a motorcycle. Believe me, it's the only way to travel. 

"오토바이 사. 내말 믿어. 그게 유일한 여행 수단이야."

In my opinion, Bond is the only man for the job. "내 의견으로는 본드가 그 자리에 최고의 적임자다."

'the only'가 'the best'의 뜻으로 쓰인 경우들이다.

He is an only child. "그는 외동이다."

He is an only son. (아들만 하나 딸은 없음) "그는 외동아들이다."

She is an only daughter. (딸만 하나 아들은 없음) "그녀는 외동 딸이다."

I am an only child of an only son. "나는 외동아들의 외동이다."

속성을 표시하는 분류사로 쓰인 것들이므로 부정관사를 사용한다.

He is the only son in the family, and has three sisters. "그는 집에서 외동아들로 자매가 셋 있다."

She is the only daughter in the family, and has three brothers. "그녀는 집에서 외동 딸로 형제가 셋 있다."

Johnson was born in 1942, *an the only son in a family of six children. 

"존슨은 1942 년에 태어났는데 육 남매의 집안에서 유일한 아들이었다."

'the only'가 쓰였다는 것 자체가 '~중에서'의 의미가 존재한다는 뜻이다.

A : Which child are you? "너 집에서 몇째야?"

B : I am the middle child. What about you? "난 가운데야. 넌 어때?"

A : I am the only daughter. I wish I could have a big family. "난 외동 딸이야. 식구가 더 많았으면 좋겠어."

Which child are you? "형제 중 몇 번 째세요?"

I'm the oldest of 4 - 3 girls, 1 guy. "난 4 중에서 맏이야. 세 딸, 아들 하나지."

I'm a first born and the only child with my mom and dad. "난 첫째로 엄마와 아빠에겐 외동이지."

I'm the middle, #2 of three... older sister, younger brother. 

"난 중간이야. 셋 중에서 두 번째... 위로 여자, 아래로 남동생."

I'm the oldest of my full sibs. "나는 애들 중에서 맏이야."

I'm the middle, yet oldest girl. "나는 중간이지만 여자론 첫 째지."

I'm the youngest of two. "나는 둘 중에서 어린 쪽이지." (간혹 짧은 대화에서 'of two' 있어도 최상급 사용한다.)

The oldest of 3, me then my sister then my little brother. "셋 중에서 맏이, 나, 그리고 여동생 그리고 막내가 있지."

 

[ET50-2-2]2056. [한국외국어대학교 2003-1]

We should begin by recalling some (A)[virtual truisms]: when we estimate the (B)[human toll] of a crime, we have to count not only those who (C)[were literally murdered] (D)[on spot] (E)[but] those who died as a result.

[ET50-2-2]2056. [즉시 상황의 정관사(현장의 유일성)]

정답 - D : [on spot] → [on the spot] : 장소에 해당되는 'spot'은 항상 가산 명사로 '현장에서즉석에서'의 뜻일 때도 관련된 장소는 유일하므로 정관사를 필히 써야 한다.

E : not only A but (also) B : 'also'가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다.

[해석먼저 몇 가지 자명한 이치를 상기하겠습니다우리가 범죄로 인한 사망자의 수를 셀 때 글자 그대로 현장에서 살해당한 사람들은 물론이고 결과적으로 죽게 된 사람들도 세어 야만 한다.

 

[핵심 문법정관사의 공유 정보 찾기 ⅠⅡⅢⅣ

(1) 즉시 상황의 정관사(현장의 유일성)

바로 앞에서 눈에 보이거나 들리기 때문에 화자와 청자가 모두 아는 대상일 때 쓰는 정관사이다.

Pass me the salt, please. (said at a table) "제게 소금 좀 건네줘요."

Kill the television. (said in a living room) "거 TV 꺼라."

Turn down the volume. (said in a room) "볼륨 낮춰라."

Turn off the lights when you go out of the room. (said in a room) "방 나갈 때 불 다 꺼라."

Look at the blackboard. (said in a classroom) "칠판 보세요."

Are you going to clean up the mess when you finish with the project? (said in an office) 

"프로젝트 끝내면 지저분한 거 치울거지?"

The roses are very beautiful. (said in a garden) "장미들이 아주 이쁘네."

These are the pistons. (explaining the engine of a car) "이것들이 피스톤이야."

Have you fed the cat? (said in a domestic context) "너 고양이 밥 먹였냐?"

A : It's been a fun evening, but I've got to go now. "재미있는 저녁이었지만 지금 가봐야 해."

B : If you need a ride home, just let me know. "집에 갈 차 필요하면 내게 알려줘."

A : Thanks. Actually, I hate walking in the cold. "고마워. 사실 추운데 걷는 거 싫거든."

B : All right. I will get *a the car, so wait here. "좋아. 차 가져올게. 여기서 기다려."

문맥상 집에 있는 차임이 분명하다상대방도 인식하고 있으므로 부정관사를 써서는 안 된다.

Don't go in there. The dog will bite you. (said in front of a house) "들어가지 마라. 개가 물 거야."

I've been to the library. (said in a given school) "도서관에 다녀왔어."

Have you visited the castle? (said in a given town) "성에도 갔었어?"

A : I like your jacket. Where did you buy it? "네 재킷 멋있는데. 어디서 샀어?"

B : I got it at the Modern Times. "모던 타임스에서 구입했어."

A : Where is that located? "거 어디 있는데?"

B : It's just across the street from *concert / *a concert the concert hall. "콘서트홀에서 길 건너에 바로 있어."

정황상 서로 알고 있는 곳이므로 정관사를 사용해야 한다.

 

(2) 더 큰 상황의 정관사(문화 일반적 유일성)

The prime minister refused to comment on the rumors of his resignation. (a country)

"수상은 사직한다는 소문에 대해서 언급하기를 거부했다."

더 큰 적용 공간에 정치문화지리적 지식을 바탕으로 화자와 청자가 대상에 대한 지식을 공유하는 경우의 정관사를 말한다.

I have deep respect for the Pope. (the world) "난 교황을 아주 존경해."

The airplane flew over the North Pole. (the earth) "비행기는 북극을 넘어 날아갔다."

Most rain forests are near the equator. (the earth) "대부분의 열대 우림은 적도 근방에 있다."

Make hay while the sun shines. (our solar system) "해가 빛날 때 건초를 만들어라."

 

(3) 순행적(조응적용법의 정관사

John bought a TV and a video recorder, but he returned the video recorder

"존은 TV와 비디오 리코더를 샀지만 비디오 리코더는 환불했다."

앞에 나온 것을 뒤에서 다시 받는 경우의 정관사로 'anaphoric use'라 칭하는데 'ana'는 'back'의 뜻으로 '거슬러 가서 즉 앞에서 이미 나온 것을 받는'의 의미를 갖는다내려가면서 차례대로 쓰였다는 의미로 '순행적 용법의 정관사'라 칭할 수 있다.

Fred left a book on his desk this morning. He returned home in the afternoon to get the book.

"프레드는 자기 책상에 책을 두고 나왔다. 그는 오후에 그 책을 가지러 집으로 갔다."

 

(4) 순행적 연관성의 정관사

John bought a bicycle, but when he rode it one of the wheels came off.

"존은 자전거를 샀지만 타다가 두 바퀴 중에 하나가 떨어져 나갔다."

'bicycle'이 있으면 'the wheels of the bicycle'이 연상되고 줄여서 'the wheels'를 쓸 수 있다.

Fred bought a book at Duttons. He later spoke to the author about it. (the author of the book)

"프레드는 다튼스에서 책을 하나 샀다. 나중에 그는 저자와 그것에 대해 얘기했다."

Prof. Jefferson's proposal impressed the audience. (the professor's audience) 

"제퍼슨 교수의 제안은 청중을 감동시켰다."

A : I'm going downtown. "시내로 갑니다."

B : So am I. Why don't we share a taxi and split the fare? (the taxi fare) 

"저도요. 우리 택시 같이 타고 요금 나눠낼래요?"

A : Have you tried their spaghetti? It's out of this world. "그 가게 스파게티 먹어 봤어요? 이 세상 맛이 아니에요."

B : You said it. It's kind of expensive, but well worth the price. (the price of the spaghetti) 

"지당한 말씀. 좀 비싸긴 하지만 값어치를 하지요."

A : I have to make a copy of this report. "전 이 보고서 카피해야 해요."

B : Do you want to copy on both sides of *paper the paper? (the copy paper = the paper for the copy) 

"종이 양면으로 카피할까요?"

정해진 종이의 양면이어서 정관사를 사용하고 있다.

Use both sides of paper when printing a document. "서류 인쇄할 때 종이 양면을 이용하세요."

일반적인 경우로 특정하게 지정되지 않은 'paper'를 말하고 있다.

A : That was the tastiest steak that I've ever had! "거 내가 먹어본 중에서 가장 맛있는 스테이크였어."

B : The steak sauce spiced with garlic was unbelievable. "마늘로 맛 낸 스테이크가 죽여줬어."

A : I also enjoyed *broccoli the broccoli soup, rich but not too creamy. 

"브로콜리 수프도 맛있던데. 풍성한 맛에 크림은 많지 않아서."

B : The chef here certainly knows how to cook. He's the best in town. 

"여기 셰프는 확실히 요리할 줄 알아. 그는 시내에서 최고야."

'the broccoli soup served with the steak'의 뜻이므로 정관사를 사용해야 한다. 'in town'은 기능 무관사에 해당된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