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oUhACVFkOkA
[PT56-1]2235. ⋆ [성균관대학교 2005-1]
Writing a beautiful sonnet is (A)[as much] an achievement as (B)[to finish] a (C)[300-page] novel. (D)[It] is (E)[quite a] formidable task.
[PT56-1]2235. [동명사의 병치 + as much (of) a N as ~]
정답 - B : [to finish] → [finishing] : 앞에 동명사인 'Writing ~'이 나오므로 동명사로 병치해서 비교해야 한다.
A : 'as much' 뒤에서 드물게 'of'가 생략된 경우이다.
[해석] 아름다운 소네트를 쓰는 것은 300 쪽의 소설을 끝내는 것만큼이나 대단한 업적이다. 이는 아주 비상한 일이다.
[원본] Barron's GMAT
Writing a beautiful sonnet is as much an achievement as [to finish] a 400-page novel.
(A) to finish (B) it is to finish (C) finishing
(D) if you finished (E) to have finished
정답 - C
[핵심 문법] 동등 비교 as much (of)
A is not a *much achievement. → A is not much of an achievement. "A는 대단한 업적은 아니다."
가산 명사인 'achievement' 앞에 'much'를 사용할 수 없다. 연결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of'를 사용하고 앞으로 끄집어낸다.
I'm not *much a detective, am I? → I'm not much of a detective, am I? "전 대단한 형사는 아니죠, 그렇죠?"
A is *an as much achievement as B (is). → A is as much of an achievement as B (is).
동등 비교인 경우 'as much'를 앞으로 끄집어내고 'of'를 사용한다.
Teamwork is as much of an achievement as winning the tournament.
"팀워크는 토너먼트를 이기는 것만큼 대단한 업적이다."
Why wasn't instant tea as much of a success as instant coffee?
"인스턴트 차는 왜 인스턴트커피만큼 대단한 성공이 아닐까요?"
→ A is as much (of) an achievement as B (is).
동등 비교인 경우 드물게 'of'를 생략하기도 한다.
Effectively translating poetry can be as much an achievement as writing it.
"효과적으로 시를 번역하는 것은 시를 쓰는 것만큼 대단한 것일 수 있다."
I think it was just as much a success as the first one. "내 생각에 그건 첫 번 째만큼이나 대단한 성공이었다."
A is *an as skilled photographer as B (is). → A is as skilled a photographer as B (is).
"A는 B 만큼 솜씨 좋은 사진사다."
부정관사 뒤에 'as 형용사'를 쓸 수 없어서 'as skilled'를 앞으로 끄집어내는데 형용사의 경우는 'of'를 쓸 필요가 없다.
→ A is as skilled of a photographer as B (is).
드물게 'of'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좋은 것은 아니다.
A : Tom tells me that you really enjoy taking pictures.
B : I do, but I'm not nearly as __________ photographer as you are.
(A) skilled of a (B) skilled of (C) skilled (D) of a skilled
정답 - A : 'as skilled'가 'a' 앞으로 나온 후에 불필요하지만 'of'가 사용된 경우이다.
C : 'as skilled' 다음에 부정관사가 없어서 곤란하다.
B : 'as skilled'가 앞으로 나온 후에 불필요한 'of'는 쓸 수 있지만 부정관사가 없으면 곤란하다.
[해석] A : 사진 찍는 것을 정말 즐긴다고 톰이 내게 말하던데.
B : 즐기지, 하지만 당신만큼 솜씨 좋은 사진사는 전혀 아니다.
[PT56-2]2236. [성균관대학교 2007-1]
It (A)[is believed] that (B)[there are] three (C)[basic] (D)[type] of muscles (E)[in human beings].
[PT56-2]2236. [type]
정답 - D : [type] → [types] : 'three'에 맞춰 복수형을 써야 한다. 드물게 쓰이는 단/복수 동형의 'type'은 현대 영어에서는 거의 인정되지 않는다.
[해석] 인간에겐 세 가지 종류의 근육들이 있다고 믿어진다.
[PT56-3]2237. [미출]
For recreation I like to watch ( ) programs in the evening.
(A) these kind of (B) these sort of (C) these kinds of
(D) them kinds of (E) this kind of a
[PT56-3]2237. [kind]
정답 - C : 양쪽을 다 복수형으로 한 것으로 옳은 표현이다.
A, B : 'kind'와 'sort'로서의 복수형은 현대 영어에서는 인정되지 않는다.
[해석] 저는 기분 전환을 위해 저녁에는 이런 종류들의 프로를 시청합니다.
[PT56-4]2238. ⋆ [계명대학교 2003-1]
_____________ of animal life is known as zoology.
(A) To study scientifically (B) That the scientific study
(C) Studying scientific (D) The scientific study
[PT56-4]2238. [명사 구조화]
정답 - D : 'They study animal life scientifically.'에서 시제만 무시하고 부정사로 전환하면 '(for them) to study animal life scientifically'가 되고 이를 동명사로 전환하면 '(their) studying animal life scientifically'가 된다. 그런데 이를 완전히 명사를 이용하는 구조로 만들면(Nominalization : 명사 구조화) 'their / the scientific study of animal life'가 된다. 'life'는 'living things'란 뜻이므로 'animal life'는 '동물들'로 해석하면 된다.
A : 'study'의 목적어가 없다.
B : 주절이 없다.
C : 'Studying'의 목적어로 'scientific'이 따를 수 없다.
[해석] 동물들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것은 동물학으로 알려져 있다.
'편입 문법 3000 Pl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463회] (0) | 2021.04.19 |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462회] (0) | 2021.04.19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460회] (0) | 2021.04.19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458회] (0) | 2021.04.19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457회] (0) | 2021.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