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 주어 원칙'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22.11.18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33회]
  2. 2021.01.07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104회]
편입 문법 3000 Plus2022. 11. 18. 09:57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eGpYPMHdTKM

 

4011.[단국대학교 2017]

Martin Luther King Jr's assassination ironically (A)[resulted] in a series of violent (B)[riots] across nearly every major city in America, though (C)[it] always (D)[advocated] the use of nonviolent protest.

4011 [대명사의 지칭]

정답 - C : [it] → [he] : 암살이 옹호할 수는 없고 루터가 옹호한 것이므로 대명사는 'he'를 사용해야 한다.

[해석] 마틴 루서 킹 주니어의 암살은 아이러니하게도 미국의 거의 모든 대도시에 일련의 폭력적인 소동을 야기했는데, 킹은 비폭력 항의를 할 것을 항상 주창해왔다.

4012.[서울여자대학교 2017]

(A)[Defining] in a limited sense, a tale is a story, usually short, that (B)[sets forth] strange and wonderful events in more or less (C)[bare summary], without (D)[detailed character-drawing].

4012.[분사 구문 동일 주어 원칙]

정답 - A [Defining] → [Defined] : 'Defining'의 주어는 주절의 주어인 'a tale'과 같아야 하는데 능동으로 규정할 수 없으므로 곤란하다. 수동으로 'Defined'가 되어야 한다.

[해석] 제한된 의미로 규정될 때 테일은 스토리, 보통 짧은 스토리로 기이하고 멋진 사건들을 다소 그대로 요약해서 제시한다. 자세한 캐릭터를 끌어내지도 않고.

4013.[명지대학교 2017]

Creating your own light set up (A)[means that] you can have plenty of control over the lighting for your indoor shots. You (B)[don't need to] spend a lot on expensive studio lights though, as a simple desk lamp or bright window will still allow you to get great results for your images. (C)[When used] artificial light, considering the position of your light source can have a big effect (D)[on how] your subject looks in your photographs.

4013. [동일 주어 원칙]

정답 - C : [When used] → [When you are using] : 주절의 주어는 'considering the position of your light source'로 동명사인데 동일 주어 원칙에 따르면 'used'의 주어도 동명사가 되어서 엉망이 된다. 'When using'을 사용해도 안 된다. 여전히 동명사가 'using'의 주어가 되어서 곤란하다. '시간 접속사 when + 주격의 주어 you + 정동사'를 다 사용해야 한다.

[해석] 스스로의 빛 환경을 만드는 것은 당신이 실내 촬영을 위한 빛을 충분히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비싼 스튜디오 빛에 많은 것을 소비할 필요는 없다. 그저 단순한 데스크 램프나 밝은 창만으로도 여러분은 이미지의 훌륭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인공조명을 사용할 때는 광원의 위치를 고려하는 것이 사진에서 다루는 주제가 어떻게 보이는지에 관해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4014.[명지대학교 2017]

Mashenka went into her room, and then, for the first time in her life, it was her lot (A)[to experience] in all (B)[its] acuteness the feeling that is so familiar to persons (C)[in dependent position], who eat the bread of the rich and powerful and cannot (D)[speak] their minds.

4014.[가산 명사형 문제]

정답 - C : [in dependent position] → [in depedent positions] : 'position'은 가산 명사로 최소한 'a'가 있거나 복수형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복수형인 'persons'를 후치 수식하는 것이므로 'in dependent positions'가 적합하다.

B : 'in all its acuteness'에서 'its'는 뒤에 나오는 'the feeling'을 받고 있다.

[해석] 마셴카는 자신의 방으로 들어가 그리고 평생 처음으로 자신의 운명임을 알게 되었다. 의존하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에게 아주 익숙한 그 감정을 예리하게 경험하게 되었다. 이들은 부유하고 강력한 사람들의 빵을 먹으면서 자신들의 심중의 말을 털어놓고 말할 수 없기 때문이다.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1. 1. 7. 07:31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09Ny2v2JFu0

[ET16-2-1]0606. [성균관대학교 2007-1]

(A)[Reading] quickly, the book (B)[was] soon (C)[finished] and (D)[returned] to the library (E)[without] delay.

[ET16-2-1]0606. [현수 분사]

정답 - A : [Reading] → [Read] : 주절의 주어는 'the book'인데 분사 구문의 숨어있는 주어도 주절의 주어와 동일하므로 역시 'the book'이다. 책이 읽는 것이 아니고 읽히는 것이므로 과거 분사를 써야 한다. 'Reading'을 보고 주어가 없으므로 쭉 내려가면서 그 주어를 찾아야 하는데 주어 자리에 있는 'the book'으로 연결이 안 되고 현수막처럼 공중에 매달리듯 떠있다고 해서 이를 '현수 분사'라 칭한다.

[해석] 빨리 읽었더니 금방 다 읽었고 지체 없이 도서관에 반납했다.

 

[핵심 문법] 동일 주어 원칙(조건)과 현수 구문

When I saw it the second time, I found the movie much more interesting than I first thought.

 Seeing it the second time, I found the movie much more interesting than I first thought.

"두 번째로 보았을 때 나는 그 영화가 처음 생각했을 때보다 훨씬 더 재미있었다."

As it is written in easy English, this book is suitable for me. (it = this book)

 Written in easy English, this book is suitable for me. "쉬운 영어로 쓰여있기 때문에 이 책은 나에게 적합하다."

When I entered the room, I found a dead man lying on the sofa.

 On entering the room, I found a dead man lying on the sofa.

"방에 들어갔을 때 나는 한 죽은 남자가 소파에 누워있는 것을 발견했다."

He ran madly so that he could win the race.

→ He ran madly to win the race. "그는 경주를 이기기 위하여 미친 듯이 달렸다."

이처럼 부사절의 주어와 주절의 주어가 동일할 때만 부사절을 분사 구문이나 부정사 (구문)이나 동명사로 전환할 수 있다는 조건을 ‘동일 주어 조건’(the same subject condition)이라 칭한다.

Turning left, you can see the building. "왼쪽으로 돌면 건물을 볼 수 있다."

분사는 의미상의 주어가 없이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럴 때 분사의 숨어있는 주어(its underlying subject)를 찾아야 하는데 주절의 주어가 분사의 주어와 동일하다고 보는 것을 ‘동일 주어 원칙’(the same subject principle)이라 칭한다. 'Turning left'는 능동이므로 ‘능동적으로 좌회전을 할 수 있는 사람’인 주절의 주어인 'you'와 잘 연결되어(related) 진다. 이를 분사 구문이 주절의 주어와 잘 부착되어(attached) 진다고도 말할 수 있다.

*Lying on the grass, stars whispered friendly to me. "*잔디에 누어서 별들이 내게 친절하게 속삭였다."

'Lying'의 주어가 없으므로 내려가면서 주절의 주어와 연결을 시켜야 하는데 별들(stars)은 잔디에 누울 수 없으므로 ‘연결되지 않는’(unrelated)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부착되지 않는’(unattached) 문제점으로도 볼 수 있다. 마치 주절의 주어 자리를 비행기의 착륙 지점이라고 상상한다면 ‘잔디에 누울 수 없는’ 'stars'가 마치 ‘울퉁불퉁한 착륙지’여서 아니면 ‘바다’여서 착륙하지 못하고 '공중에 매달려 있는'(dangling, hanging, pendant) 문제점이 발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치 ‘현수막’이 공중에 매달려 흔들리는 것에 비유하여 이를 ‘현수 구문’(dangling construction)이라 보통 칭한다.

*Walking down the street, the house was seen. (공중에 매달린 현수 분사)

"*거리를 걸어 내려가다가 집은 목격되었다."

 Walking down the street, I saw the house. (잘 연결되는 분사) "거리를 걸어 내려가다가 난 집을 보게 되었다."

*Wearing a light sweater, the cold wind drove her indoors. (현수 분사)

"*가벼운 스웨터를 입고 있어서 찬 바람이 그녀를 집안으로 들어가게 했다."

→ As she was wearing a light sweater, she was driven indoors by the cold wind.

 Wearing a light sweater, she was driven indoors by the cold wind. (잘 연결된 분사)

"가벼운 스웨터를 입고 있어서 그녀는 찬바람에 밀려 집으로 들어갔다."

*Being diligent, the teacher praised the boy. (현수 분사)  "*근면해서 선생님은 그 소년을 칭찬했다."

→ As he was diligent, the boy was praised by the teacher.

 Being diligent, the boy was praised by the teacher. (잘 연결된 분사)

"근면해서 그 소년은 선생님에게 칭찬을 받았다."

*Opening the cupboard, a skeleton fell out. (현수 분사) "*벽장을 열었을 때 해골이 떨어져 나왔다."

→ When I opened the cupboard, a skeleton fell out. "내가 벽장을 열었을 때 해골이 떨어져 나왔다."

*Lying on the grass, stars whispered friendly to me. (현수 분사) "*잔디에 누워서 별들이 내게 친하게 속삭였다."

→ When I lay on the grass, stars whispered friendly to me.

"내가 잔디에 누워 있었을 때 별들이 내게 친하게 속삭였다."

*Shivering with cold, Anne’s hat barely covered her ears. (현수 분사)

"*추위에 떨면서 앤의 모자는 가까스로 그녀의 귀들을 가렸다."

 Shivering with cold, Anne barely covered her ears with her hat. (잘 연결된 분사)

"추위에 떨면서 앤은 가까스로 그녀의 귀를 모자로 가렸다."

*Applying those principles to the present situation, it is clear that the company must reimburse its employee.

"*현재의 상황에 그러한 원칙을 적용한다면 그것은 분명했다. 회사가 직원들에게 보상을 해주어야만 하는 것은."

→ If we apply those principles to the present situation, it is clear that the ~.

"우리가 현재 상황에 그러한 원칙을 적용하면 분명하다 ~."

*Looking out of the window of our hotel room, there were lots of mountains.

 Looking out of the window of our hotel room, we saw lots of mountains.

"우리가 호텔 방 밖을 쳐다보니 많은 산들이 보였다."

주절의 '가주어 it'이나 '존재문의 there'는 현수 분사가 되게 한다.

Unknown to his closest advisors, he had secretly negotiated with an enemy emissary.

“그는 가장 가까운 고문들도 모르게 비밀리에 적의 밀사와 협상을 했다.”

 It is unknown to his closest advisors that he had secretly negotiated with an enemy emissary.

현수 분사처럼 보이지만 종속절을 주절로 전환한 경우로 허용된다. [주절의 삽입 처리 : 'It is'를 탈락 시키고 'that'도 탈락시키고 'comma'를 사용해서 삽입 처리한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