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 문법 3000 Plus2022. 11. 15. 06:30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vayEYRGOUpI

 

4007.* [가천대학교 2017]

(A)[Unbeknown] to my parents, I took several college courses in creative writing and was (B)[excelling]. After reading one of my short stories, my first creative writing teacher decided that I was (C)[to be] a writer. I decided (D)[following] my passion instead of obeying my family's decree.

4007.['decide to V'와 'decide on ~ing']

정답 - D : [following] → [to follow] : 방향성을 결정한 'decide' 뒤에는 부정사가 따른다. 다만 'decide on 동명사'는 용법이 조금 다르다. 'decide to V'가 가장 강력한 결정이고 분명한 결정이다. 'decide on 동명사'는 결정을 언급하기는 하지만 실제로 어떻게 되었는지는 불분명할 수 있다.

A : We have decided to purchase our company's competitor in Florida.

"우린 프롤리다의 우리 회사의 경쟁사를 매입하기로 결정한 상태야."

B : Great! When's the transaction going to be closed?

"잘 됐어! 언제 거래가 마무리되는 거야?"

A¹ : We have decided on purchasing our company's competitor in Florida.

"우린 프롤리다의 경쟁사를 매입하는 쪽으로 결정했어."

B¹ : Yeah? So you're actually going to buy it?"

"그럴 거야? 그래서 실제로 사들이는 거야?"

A : unbeknown : un : not + be : 강화사 + known

(A)[Unbeknown] to my parents, I took several college courses~

'It was unbeknown to my parents (that) I took several college courses ~

'It was'를 삭제해서 종속절을 주절화 시킨다.

C : I was (C)[to be] a writer : 'be to 용법'은 방향성 운명처럼 정해져 있을 수 있다.

[해석] 부모님들이 모르게 저는 대학에서 창작 과목들을 수강했고 뛰어난 성적을 거뒀습니다. 제 단편들 중의 한 편을 읽은 후에 제 첫 창작 교수는 제가 작가가 될 운명이라고 결정하셨습니다. 저는 가족의 뜻을 따르지 않고 제 열정을 따르기로 했습니다.

4008.* [경기대학교 2017]

Doctors are known for using (A)[complicating] words that make (B)[them] sound either extremely intelligent or really (C)[out of] touch with (D)[what] most people can understand.

4008.['complicating'과 'complicated'와 'complicate']

정답 - A : [complicating] → [complicated] : 'complicate'는 형용사로 '복잡한, 뒤얽힌'(complex, intricate)의 뜻으로 드물게 사용되고 'difficult to analyze, understand, explain, etc'의 뜻으로 'complicated'가 흔히 사용된다. 'complicating'은 'having the effect of making more complicated'으로 'a complicating factor' 등의 표현으로 드물게 사용된다. 'pregnancy complicating diaetes'(← diabetes complicating pregnancy)에서처럼 무엇을 복잡하게 하는지를 나타내는 표현이 있다. 이 문장에서는 의사들을 똑똑하게 들리게 하는 것이므로 단어 자체가 어렵고 복잡한 것들이어야 한다.

out of touch with ~ : 접촉하지 않는; 동떨어진; 인식하지 못하는

[해석] 의사들은 자신들의 말이 아주 똑똑하게 들리게 하거나 또는 정말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는 것과는 동떨어진 것으로 들리게 하는 복잡한 단어들을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4009.[상명대학교 2017]

In India, (A)[members] of high-ranked castes are (B)[fearful] (C)[of] ritual pollution, (D)[for] they will not eat (E)[with] people of low-castes.

4009.['근거 제시의 접속사 for'와 'so']

정답 - D : [for] ← [so] : 내용상 'for'이하는 근거 제시가 아니다. 결과가 뒤에 따르므로 'so'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해석] 인도에서 고위 카스트의 구성원들은 예식이 오염되는 것을 두려워해서 낮은 카스트의 사람들과 함께 식사하려 하지 않는다.

4010.**[서강대학교 2017]

Life differs from the other processes, and from all processes that (A)[go on] in lifeless things, in that its energy is liberated in such a way (B)[as to] tend to the preservation and increase of the thing (C)[which] it goes on -- that is, (D)[of] the living being.

4010. [관계사 동반 이동 필수형]

정답 - C : [which] → [in which] : 'it goes on'에서 'on'은 부사로 '계속'의 의미이다. 보류 전치사가 아님에 주의하자. '명사 which'는 따라서 돌아갈 자리가 없다. 'in which'가 동반 이동해서 사용되는 것이어야 한다.

B : in such a way (B)[as to] tend : 'such'와 'as'가 상관되어 이어진다. 방법의 한 예로 부정사가 따르는 표현이다. 'way'를 사용하지 않으면 'so as to tend'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해석] 생명은 다른 과정들과 다르며, 무생물에서 진행되는 모든 과정들과도 다르다. 그 안에서 생명이 진행되는 것을, 즉 살아있는 것을 보존하고 증대시키는 방식으로 그 에너지가 방출된다는 점에서 그렇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