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 문법 3000 Plus2022. 10. 8. 14:17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d8YfuIND7KQ

 

3943. [상명대학교 2018]

My favorite place is (A)[the town] I (B)[grew up in]. It has a (C)[beautiful ancient] castle and lots of historical old buildings. The streets are (D)[narrow winding], and there are (E)[lots of] good shops.

3943. [형용사의 병치]

정답 - D : [narrow winding] → [narrow and winding] : 형용사 2 개를 최소한 'comma'도 없이 연결할 수 없다. 아주 드물게 'narrowly winding'이 사용될 수 있다.

A, B : 뒤에 보류 전치사 남아 있으면 제로 관계사( )가 사용될 수 있다.

[해석] 내가 가장 좋아하는 곳은 내가 자란 마을이다. 그곳은 아름다운 옛 성과 많은 역사적인 옛 건물들이 있다. 거리는 좁고 구불구불하고 많은 좋은 가게들이 있다.

3944. [홍익대학교2018]

This age-old question is (A)[been] asked again everywhere today and (B)[with] increased urgency, (C)[given] the current technological developments (D)[leveling] out our traditional humanist reflexes.

3944. [완진수]

정답 - A : [been] → [being] : 완료, 진행, 수동 조동사로 결합되는 것이므로 '*is been asked'는 'is ~en'과 'be~ asked'로 이중 수동이어서 곤란하다. 'is ~ing'와 'be~ asked'로 진행 수동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C : given : (전치사) ~이 주어진다고 하면, ~라고 가정하면, 생각하면

[해석] 이 오랜 의문은 오늘날 모든 곳에서 거듭 질문되고 있으며 우리의 전통적인 인문주의적인 반사 작용을 평평하게 하는 현재의 기술적인 진전을 생각하면 강도가 증가되고 있다.

3945.* [서울여자대학교 2018]

In the U.K., class is nowadays more about celebrity than breeding, the only connection between the famous and the aristocratic [ ] that both are comparatively rich.

(A) is (B) to be (C) being (D) will be

3945. ['with 생략 구문']

정답 - C : being : 주절 주어는 'class', 정동사는 'is', 뒤에는 접속사 없으므로 '(with) 구문'이 따라야 한다. '(with) ~ bing ~'가 사용되어야 한다.

A, D : 접속사 없이 정동사가(is, will) 갑툭튀로 나오면 안 된다.

[해석] 영국에서는 계층이란 오늘날 피보다는 유명세에 관한 것으로 부자와 귀족의 유일한 연관성은 둘 다가 비교적 부자라는 것이다.

3946.* [가천대학교 2018]

Instead of looking at kids to "prove" that differences in behavior by sex are innate, we can look at the ways we raise kids as an index to [ ] tentatively feminist revolution is embraced even by adults who fully expect their daughters to enter previously male-dominated professions and their sons to change diapers.

(A) as (B) what (C) how (D) though

3946. [간접 의문문 의문 부사]

정답 - C : how : '전치사 to'에 이어지는 간접 의문문에서 '~ tentatively'로 붙어서 앞으로 이동될 수 있는 의문사는 'how'뿐이다.

B : '의문사 what'은 'tentatively'를 앞으로 끌고 나오지 못하고 부사는 홀로 여기에 위치할 수 없다.

A, D : 접속사인 'as'와 'though'는 전치사 다음에 나오지 못한다.

[해석] 성에 따른 행동의 차이는 타고난 것임을 '증명하려고' 아이들을 바라보지 않고 우리는 아이들을 키우는 방식들을 지표로 바라볼 수 있다. 페미니스트 혁명이 딸들이 전에는 남성 지배적인 직업들에 들어가고, 아들들이 기저귀를 가는 것을 전적으로 기대하는 성인들에 의해서도 얼마나 잠정적으로 받아들여지는지에 대한 지표로 볼 수 있다.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1. 1. 1. 09:10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6eX3BS4agoY

[PT11-11]0478. [가톨릭대학교 2011]

Although China as a whole has made significant progress in health and education, many reports suggest that the indigenous peoples of Tibet and Xinjiang ______________.

(A) left behind                                     (B) have left behind

(C) have been left behind                      (D) had left behind

[PT11-11]0478. [완료의 능동과 수동]

정답 - C : 뒤에 목적어가 없으므로 'leave behind'는 수동태로 쓰여야 한다. 현재 완료 수동으로 쓰이고 있다.

leave someone or something behind : to improve or progress much faster than someone or something else : 뒤에 처지게 두고 먼저 발전하다

be left behind : 뒤처지다

A, B : 능동이어서 곤란하다.

D : 능동도 곤란하고 근처에 과거가 없으므로 과거 완료도 곤란하다.

[해석] 중국은 전체적으로는 보건과 교육 분야에서 상당한 발전을 했지만 많은 보고서들은 티베트와 신장의 토착 민족들은 뒤처진 상태임을 시사한다.

 

 

[PT11-12]0479. [명지대학교 2012]

A Hong Kong journalist who _________ in mainland China for nearly 16 months for spying charges will face trial this week.

(A) detains                 (B) is detaining                 (C) has detained                   (D) has been detained

[PT11-12]0479. [현재 완료 수동]

정답 - D : ‘구류되어 있는 것’이므로 수동태여야 한다.

A, B, C : 모두 능동태이다.

[어휘] detain : 구류하다, 유치하다; [남을] 붙들다, 지체하게 하다, 기다리게 하다

[해석] 스파이 혐의로 거의 16 개월 동안 중국 본토에서 구류되어왔던 홍콩의 한 기자는 이번 주에 재판을 받게 될 것이다.

 

 

[PT11-13]0480. [세종대학교 2010]

Family disorganization (A)[has identified] as a major (B)[characteristic] of industrial society and has been associated (D)[with the loss] of (D)[a] Utopian preindustrial past.

[PT11-13]0480. [완료의 능동과 수동]

정답 - A : [has identified] → [has been identified] : 가족의 해체는 확인되는 것이므로 수동이어야 한다.     disorganization : 해체, 분열

B : characteristic : 가산 명사

[해석] 가족의 해체는 산업사회의 주요한 한 특징으로 확인되었으며 산업사회 이전의 유토피아적인 과거가 없어진 것과 연관됐다.

 

 

[PT11-14]0481. [서울여자대학교 2007-1]

Flocks of passenger pigeons were once so large they could block out the sun for hours, but by 1914 the birds _____________ into extinction.

(A) hunted                                     (B) had hunted

(C) had been hunted                        (D) would have been hunted

[PT11-14]0481. [과거 완료 수동]

정답 - C : 'by 1914'가 나오므로 '이미 사냥돼서 멸종된 후였다'라는 과거 완료의 결과적 용법을 사용해야 한다.

A, B : 능동이어서 논외다.

D : 가정법 과거 완료가 쓰일 상황이 아니다.

[해석] 나그네 비둘기 떼는 한때는 규모가 아주 커서 몇 시간 동안 태양을 가릴 정도였지만 1914년에는 이 새들은 사냥으로 멸종된 상태였다.

 

 

[PT11-15]0482. [경북대학교 2005-1]

Charles Lindberg's feat put him in a position from which ___________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aviation.

(A) he could encourage                           (B) he encourages

(C) encouraged                                      (D) encouragement

[PT11-15]0482. [관계절 주어와 정동사]

정답 - A : 'put'이 과거형이므로 시제는 일단 과거형이어야 한다. 'from which'는 동반 이동된 것이고 'which'는 전치사 'from'의 목적격이므로 다른 주어가 있어야 한다. (A)와 (B)만 주어가 있고 과거 시제인 것은 C뿐이고 단일 사건이 아니므로 'could encourage'를 사용할 수 있다. 단일 사건이라면 'was able to ~'를 사용해야 한다.

B : 시제가 현재형이어서 곤란하다.

C : 과거형 'encouraged'의 주어가 없어서 곤란하다.

D : 관계절 내에 동사가 없어서 곤란하다.

[해석] 찰스 린드버그의 위업은 그를 상업 항공의 발달을 장려할 수 있는 위치에 놓이게 했다.

 

 

[PT11-16]0483. [중앙대학교 2004-1]

Translating sacred texts has always been an important means by which _________ to posterity.

(A) are their culturally transmitted values                              (B) transmit their values some cultures

(C) some cultures their values transmit                                (D) some cultures transmit their values

[PT11-16]0483. [관계절의 어순]

정답 - D : 'by which'가 주격 관계사가 아니므로 관계절은 '주어 + 동사 ~'의 어순이어야 한다.

Some cultures(S) transmit(V) their values(O).

[해석] 신성한 원문을 번역하는 것은 일부 문화들이 자신들의 가치관을 후손에게 전달하는 항시적인 중요한 수단이었다.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0. 12. 31. 03:32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58lEkUp00k4

[ET11-2-1]0462. [서경대학교 2009]

Jack's wealth (A)[has estimated] (B)[at between] $600 million and $1 billion, and (C)[his holdings] (D)[range from] the Chrysler Building in New York to the Washington Redskins football team.

[ET11-2-1]0462. [완료의 능동과 수동]

정답 - A : [has estimated] → [has been estimated] : ~로 추정되어지는 것이므로 현재 완료 수동이어야 한다.

B : estimate ~ at ~ : ~라고 추정하다   The total cost was estimated at $600,000.

The Antarctic ice cap is estimated to contain 90% of the world's fresh water.

"북극의 만년설은 지구의 민물의 90%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Breast cancer and ovarian cancer is estimated to be responsible for more than one-fifth of cancer mortality.

"유방 암과 난소 암은 암으로 인한 사망의 1/5 이상을 초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해석] Jack의 재산은 6억 달러에서 10억 달러 사이로 평가됐고 그의 소유는 뉴욕의 크라이슬러 빌딩에서 워싱턴 레드스킨스 축구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핵심 문법] 완료, 진행, 수동 조동사의 결합 방식

완료 / 진행 / 수동 조동사는 겹쳐서 사용될 수 있는데 조동사들의 순서는 반드시 ★★ ‘완 + 진 + 수’의 순서를 지켜야 한다.

본동사로 'use'를 써서 우선 완료 진행의 경우를 살펴보면, 완료는 'have used'이고, 진행은 'be using'인데 그렇다고 'have used be using'으로 쓸 수 없는 것은 본동사를 두 번 쓸 수 없으므로 지극히 당연하다.

이럴 때는 일단 조동사 중에서 맨 뒤에 나온 진행 조동사에 맞추어 본동사는 'using'을 쓰는데 그렇다고 '*have be using'을 쓴다고 완전하지는 않다. 그것은 진행은 표시되었지만 PP 꼴이 없어서 완료가 표시되지 않아서이다. 그래서 PP 꼴의 대표적 어미형인 '-en'을 'be'에 붙여서 'be + -en'의 형태로 만들어 'have been using'을 쓰면 훌륭하다.

분석할 때도 'been'은 가운데를 잘라서 크로스로

 

<have + be / -en + using> 연결해 'have + -en'(완료)와 'be- + using'(진행)으로 본다.

 

진행 수동의 경우를 보면 마찬가지로 본동사는 맨 뒤에 나온 수동 조동사에 맞추어 'used'를 쓰면 되는데 역시 '*be be used'로 사용해서는 안 되는 것은 '-ing'가 없어서 진행이 표시되지 못하기 때문이며 가운데 'be'에다가 '-ing'를 붙여서

 

<be + be / -ing + used>로 사용한다. 분석할 때도 'being'을 가운데를 잘라서 크로스로 연결해

 

'be + -ing'와 'be- + used'로 진행 수동으로 보면 된다.

마지막으로 완료 수동의 경우를 보면 '*have be used'로 쓸 수 없고 일관성을 유지해서

 

<have + be / -en + used>로 쓰고 'have + -en'과 'be + used'로 분석한다.

 

완료 / 진행 / 수동이 모두 사용되는 경우는 드물고 보통 이 중에서 두 가지가 결합돼서 나온다.

 

He has been writing since two o'clock. (완료 진행)

 

 

The house is being built. (진행 수동)

 

 

The car has now been repaired. (현재 완료 수동)

 

 

The car had been repaired. (과거 완료 수동)

 

 

John may have been being scolded by Mary for two years.

 

'서법조동사 + 완료 + 진행 + 수동'으로 쓰인 드문 경우이다.

 

 

[ET11-2-2]0463. [명지대학교 2007-1]

(A)[No] person (B)[has been done] more for this firm than Tom, (C)[who has] worked 40 hours a week (D)[for] the past few years.

[ET11-2-2]0463. [완료 수동]

정답 - B : [has been done] → [has done] : 목적어인 'more'가 따르므로 능동이어야 한다.

[해석] 톰보다 이 회사를 위해 더 많은 일을 한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는 지난 몇 년 동안 일주일에 40 시간씩 일해 왔다.

 

 

[ET11-2-3]0464. ⋆⋆ [숙명여자대학교 2009]

The bow is the most useful all-around weapon ever devised by primitive man. In expert hands, the bow is so efficient a weapon that it is even _________ by the US Army under certain special conditions.

(A) been used                    (B) being used                  (C) having used

(D) using                           (E) been using

[ET11-2-3]0464. [진행 수동]

정답 - B : 현재 진행 수동으로 쓰인 것이 맞다.

[해석] 활은 원시인들이 만든 가장 유용한 만능의 무기다. 전문가의 손에서 활은 아주 효과적인 무기여서 특별한 상황에서는 심지어 미군에 의해서도 사용되고 있다.

 

 

[ET11-3-1]0465. [아주대학교 2005-1]

The (A)[residents] of this neighborhood want (B)[to change] the law that (C)[permitting] parking on the street only (D)[in daylight].

[ET11-3-1]0465. [관계절의 정동사]

정답 - C : [permitting] → [permits] : 'that'은 주격 관계사로 관계절에는 정동사가 필요하다.

[해석] 이 동네 주민들은 오로지 대낮에만 거리에 파킹을 허용하는 법을 바꾸기를 원한다.

 

[핵심 문법] 관계사의 정의

 Crowded holiday resorts are not very pleasant.

② Holiday resorts which are crowded are not very pleasant.

①에서 'Crowded'는 분사 꼴 형용사로서 명사인 'holiday resorts'를 수식하는 기능을 한다.

②에서 마찬가지로 정형절인 'which are crowded'는 명사인 'Holiday resorts'를 수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형용사절(Adjectival clauses)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절은 'which'를 통해서 앞의 명사인 'Holiday resorts'에 relate(관계) 된다는 점에서 'relative clause'(관계절)이라 칭하는 것이 보통이다.

③ He has a dog.

 The dog barks furiously.

 It barks furiously.

⑥ He has a dog which barks furiously.

③과 ④가 의미상으로 연결되는 것은 'a dog'을 'The dog'으로 받아서 썼기 때문이며 만일 ④의 문장이 'A dog'으로 시작된다면 두 문장은 의미상으로 연결되지 않을 것이다.

⑤는 ④의 'The dog'을 대명사 'It'로 대신한 문장인데 이때 ③의 'a dog'과 ⑤의 'It'는 동일한 대상을 지칭하게 되고(Co-reference(공지시)) 'It'에 대해 먼저 나온 'a dog'을 문법적으로 '선행사(Antecedents)'라고 칭하고 이에 조응/상응하여 뒤에 나온 'It'를 '조응사(Anaphora)'라 칭한다.

③과 ⑤는 의미상으로만 연결될 뿐 두 개의 문장이다. 이를 하나의 문장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It'를 'which'로 바꾼 후에 나란히 놓으면 되는데 그렇게 해서 만들어진 문장이 ⑥이다.

⑥에서 동사 'barks'의 주어가 무엇인가를 생각해 보면 'which'가 주어이고 'a dog'은 어디까지나 'has'의 목적어일 뿐이다. 'a dog'은 'which'의 선행사이고 'which'는 'a dog'에 대한 조응사로서 'barks'의 주어이다. 다만 'a dog = which'이므로 의미상으로는 'barks'의 주어가 'a dog'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⑦ This is the boy.

⑧ Mary loved him.

⑨ *This is the boy Mary loved whom.

⑩ This is the boy whom Mary loved.

⑦과 ⑧에서 'the boy'와 'him'이 같은 대상을 지칭하므로 뒤에 나온 조응사인 'him'을 'whom'으로 바꿔서 나란히 놓으면 ⑨가 된다. 그런데 ⑨에서는 'whom'이 맨 뒤에 위치하기 때문에 비문이 된다. 두 개의 정형절이 연결되기 위해서는 하나의 접속사가 필요한데 접속사는 자기 절의 맨 앞에 위치해야 하므로 'whom'을 접속사로 기능하게 하기 위하여 'Mary' 앞으로 이동시켜 놓아야 한다. 그렇게 해서 만들어진 것이 ⑩이다. ⑩에서 'whom'은 정동사인 'loved'의 목적어로 기능하기 때문에 대명사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동시에 연결/접속하는 기능도 하고 있기 때문에 '접속 대명사'라고 칭해도 무방하다. 다만 주절 전체와 연결되기보다는 선행사인 'the boy'와 relate(관계) 된다는 점에서 보통은 '관계 대명사(Relative pronouns)'라 칭한다.

ⓐ He is the man.

 His car was stolen.

ⓒ He is the man whose car was stolen.

ⓐ와 ⓑ를 연결한 것이 ⓒ인데 'whose'는 'his'를 대신한 것이므로 '소유 한정사'를 대신한 것이므로 관계 대명사라고 칭할 수는 없으며 그냥 관계사(Relative)라 칭하기로 한다. 물론 더 정확하게는 소유격 관계사라 칭할 수 있다.

ⓓ He is the poet from whose best-known work I selected that passage.

두 개의 절을 연결하는 부분에 ⓒ의 'whose car'는 물론이고 이처럼 긴 'from whose best-known work'가 올 수도 있는데 이러한 부분을 ‘관계적 표현(Relative expression)’ 또는 ‘관계적 표현부’라 칭한다.

관계절은 절이기 때문에 정동사가 쓰여야 한다는 기본 원칙을 묻는 문제들도 있다. 물론 정동사는 현재형, 과거형, 서법조동사(can, may, must, will, would, could, etc.)를 말하고 준동사는 부정사(원형 부정사), 분사(현재 분사, 과거 분사), 동명사를 말한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