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 제약 연습 문제'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21.04.21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473회]
  2. 2021.04.21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472회]
편입 문법 3000 Plus2021. 4. 21. 19:41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zzQAbn-pq9g

[PT57-19]2282.  [단국대학교 2003-2]

The Italian-American groups have (A)[made plain] that (B)[they oppose] its removal, while (C)[Indian groups] reject any official (D)[tribute] to Columbus.

[PT57-19]2282. [중간 제약 필수 가 목적어]

정답 - A : [made plain] → [made it plain] : 'make it plain that '에서 'that '을 대신하는 '가 목적어 it'은 반드시 써야 한다.

[해석이탈리아계 미국인들은 자신들이 그것을 없애는 것을 반대한다는 것을 명백히 한 반면에 인디언 부족들은 콜럼버스에 대해 어떤 공식적인 찬사도 거부하고 있다.

 

[PT57-20]2283. ⋆⋆ [서울여자대학교 2010]

(A)[By making illegal] for most college-age students to drink, the law has inadvertently (B)[made it more likely] that students (C)[would engage in] clandestine binge drinking, (D)[which is difficult] to supervise.

[PT57-20]2283. [중간 제약 필수 가 목적어]

정답 - A : [By making illegal] → [By making it illegal]

A : 뒤에 진 목적어인 'for most college-age students to drink'가 있으므로 목적격 보어 앞에는 필히 가 목적어를 사용해야 한다.

B : 뒤에 진 목적어인 'that 절'이 있으므로 필히 가 목적어를 사용해야 한다.

clandestine binge drinking : 은밀히 흥청망청 술 마시는 파티

[해석그 법은 대부분의 학생들이 술을 마시는 것을 불법으로 만들어서 무심코 학생들이 은밀히 흥청망청 술 마시는 파티에 참가할 개연성을 더 크게 했는데 이 파티는 감독하기가 어렵다.

 

[ET58-1-1]2284. [세종대학교 2004-1]

__________ of the play Mourning Becomes Electra introduces the cast of characters and hints at the plot.

(A) Act one         (B) The act first         (C) First act        (D) Act first

[ET58-1-1]2284. [서수사와 기수사]

정답 - A : Act one = The first act

[해석연극 상복이 어울리는 엘렉트라의 제1 막은 등장인물의 배역을 소개하고 줄거리를 넌지시 비춘다.

 

[핵심 문법] 'number', 'letter'와 'age'의 동격

line number 12 = line 12 = the 12th line = the twelfth line (12 )

page number 5 = page 5 = pave five = the 5th page = the fifth page

act number one = act one = the first act

chapter number five = chapter five = the fifth chapter

room (number) 12 = the 12th room ; room (number) 10A (10A 호실)

Ward (letter) C (C 병동 or C); equation (number) 4 = the 4th equation (4번 방정식)

'number'나 'letter'가 숨어있는 경우 관사를 쓰지 않는다.

You are in (room) number 103. Please follow me.

'room'이 생략되기도 한다.

age five = *age number five = *the fifth age = *the 5th age

In many countries, children have to start school at *the fifth age age five.

나이는 (합으로서의숫자일 뿐 차례를 나타내지 못한다. 'age' 자체가 'number'로 중복적으로 '*age number five'로 쓰지도 않는다.

the age of five

She will only inherit when she reaches the age of 18. "그녀는 18 세가 되었을 때만 유산을 받는다."

'of ~ 동격'을 이용한 것이다.

Reaching *the age four the age of four, Mozart was given harpsichord lessons.

"4 살이 되었을 때 모차르트는 합시코드 레슨을 받았다."

At the age of 10, I went to live with my aunt. "10 살에 나는 고모(이모) 집에 가서 살았다."

five years of age

'five cups of coffee'나 'five hours of sleep'처럼 단위사(조수사)를 이용한 표현이다.

He started work there at 14 years of age. "그는 14 살의 나이에 거기서 일하기 시작했다."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1. 4. 21. 19:40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kYNAXJNAo2U

[PT57-14]2277. [한국외국어대학교 2005-1]

Select the one that is not acceptable to standard written English.

(A) Jim tried to be a gentleman.

(B) Jim wanted to finish his thesis.

(C) Jim stopped to read the message.

(D) Jim promised to study hard.

(E) Jim believed to win the game.

[PT57-14]2277. [재귀 대명사 필수형]

정답 - E : [Jim believed to win the game.] → [Jim believed himself to win the game.]

'believe'는 목적어로 부정사를 취할 수 없다. 'He believed that he would win the game.'에서 'he'를 'believed'의 목적어로 상승시키면 'himself to win the game'이 사용되게 된다다른 동사와 달리 여기서 'himself'를 생략할 수 없다. 'Jim was believed to win the game.'로 사용할 수도 있기는 하다.

They believed that Jim would win the game. → (수동화→ It was believed that Jim would win the game. 

→ (S-S 상승→ Jim was believed to win the game.

They believed that Jim would win the game. → (S-O 상승 )→ They believed Jim to win the game. 

→ (수동화→ Jim was believed to win the game.

하지만 A, B, C, D의 형태로 보아 출제자의 의도는 수동형을 묻기보다는 '재귀 목적어 필수형'을 묻는 문제로 보아야 한다.

A [해석] 짐은 신사가 되고자 노력했다.

B [해석] 짐은 자신의 논문을 끝내기를 원했다.

C [해석] 짐은 메시지를 읽기 위해 하던 일을 중단했다.

D [해석] 짐은 열심히 공부하겠다고 약속했다.

 

[PT57-15]2278. ⋆⋆ [고려대학교 2010]

As a young man Einstein asked himself ________ to ride on a beam of light. It took him many years of thought experiments, however the answer helped him develop the special theory of relativity.

(A) what would it like                           (B) what it would be like

(C) what it would like                           (D) what would it like to be

[PT57-15]2278. [중간 제약 필수 가주어]

정답 - B : 뒤에 외치된 부정사가 따르므로 앞에는 필히 가주어가 있어야 한다의문사 'what'이 있으므로 전치사인 'like'이 따라야 한다.

[해석젊은 시절 아인슈타인은 스스로에게 광선을 타는 것은 무엇과 같을까 하고 질문했다이에 대한 해답이 그가 특수 상대성 이론을 전개하는 데 어떤 식으로 도움을 주었든 간에아인슈타인은 여러 해 동안 사고실험을 해야 했다.

 

[PT57-16]2279. ⋆⋆ [경원대학교 2005-2]

빈 괄호 속에 넣을 가장 적절한 단어 혹은 표현은?

He was a prosperous merchant, and did not have the slightest idea of what _________ to be poor.

(A) it was             (B) was like            (C) was             (D) seems

[PT57-16]2279. [중간 제약 필수 가주어]

정답 - A : 'the slightest idea of' 다음의 간접 의문문에서 'what to be poor was'는 부정사가 중간에 끼어서 안 된다. 'what it was to be poor'로 써서 부정사를 맨 오른쪽에 위치하게 해야 한다.

B : 'what it was like to be poor'여야 한다.

D : 'what seems to be poor'는 사람이 주어가 아니어서 곤란하다최소한 'who seems to be poor'여야 한다.

[해석그는 성공한 상인이었고 가난하다는 것이 무엇인지를 조금도 알지 못했다.

 

[PT57-17]2280. [단국대학교 2012]

A philosopher argues that virtue can (A)[be acquired] only in a community (B)[where] the young are consciously (C)[initiated into] the reigning social values, including (D)[what means] to be a good person.

[PT57-17]2280. [중간 제약 필수 가주어]

정답 - D : [what means] → [what it means] :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은 중간에 위치할 수 없어서 (*what to be a good person means) 반드시 가주어를 쓴 후에 뒤로 내려 보내야 한다.

[어휘]  initiate someone into ~ : 누구에게 ~의 초보를 가르치다 

reigning : 군림하는(재의)

[해석한 철학자는 선한 사람이 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포함해서 현재의 사회적인 가치들을 의식적으로 젊은이들에게 가르치는 사회에서만 미덕이 습득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PT57-18]2281. ⋆⋆ [한국외국어대학교 2011]

I could truly sympathize with ________ to try to carry on a Western-style conversation.

(A) how hard they found                     (B) how hardly they found

(C) how hard they found it                   (D) how hardly they found it

[PT57-18]2281. [중간 제약 필수 가 목적어]

정답 - C : 간접 감탄문이므로 일반문으로 바꾸면 'they found it very hard [to try to ~]'이다목적격 보어는 부사가 아니라 형용사인 'hard'를 써야 하고 뒤에 진 목적어인 부정사가 따르므로 필히 가 목적어를 사용해야 한다.

[해석] 그들이 서구 스타일의 대화를 계속하려고 애쓰는 것을 정말 어렵다고 생각하는 것을 나는 정말로 공감할 수 있었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