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급과 관사'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22.05.25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756회]
  2. 2021.04.07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408회]
편입 문법 3000 Plus2022. 5. 25. 15:35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Iq-EC_1V1AI

3705.​ [가천대학교 2019]

Before Said, Orientalism referred largely to European art (A)[featuring] Oriental subjects. Said recognized, however, that (B)[such] popular depictions of the East presented a (C)[twisting] reality--one skewed by the imposition of a Western worldview. So he took the label of Orientalism, which (D)[had hitherto been viewed] as innocuous, and imbued it with this sense of Eurocentric prejudice. 

3705.​ [능동과 수동의 전치 수식]

정답 - C : [twisting] → [twisted] : '비틀어진 실제'의 뜻이어야 하므로 과거 분사인 'twisted'를 써야 한다.      

'a (   ) - twisting reality'가 되면 '뭔가를 왜곡하는 실제'가 되는데 '실제는 능동으로 왜곡하는' 존재가 아니다. 

'a world-twisting river'라면 '세상을 왜곡하는 강'(세상을 비틀어 보이게 하는 강)이 될 수 있다.

[해석]   에드워드 사이드 이전에는 오리엔탈리즘은 대개 동양의 주제들을 다루는 유럽 예술을 지칭했다. 하지만 사이드는 동양에 대한 그런 인기 있는 묘사들은 뒤틀린 실제, 서구의 세계관을 부과하여 왜곡된 실제를 보여준다는 것을 인식했다. 그래서 그는 지금까지 무해한 것으로 여겨져 왔었던 오리엔탈리즘이란 라벨을 가져와 거기에 유럽 중심의 편견이란 의미를 덧붙였다.

 

3706.​ [가톨릭대학교 2019]

The Kyoto Protocol is an ambitious effort to reduce CO₂emissions [         ] responsible for global warming.

(A) believe           (B) believed           (C) believing           (D) to believe

3706.​ [S-S 상승과 후치 수식]

정답 -  B : [believed]  : it is believed that the emission is responsible for ~ → S-S 상승 the emissions are believed to be responsible ~ 

→ the emissions are believed (to be) responsible for ~

CO₂emissions that are believed (to be) responsible for ~ 

→ 관계절 축소 CO₂emissions (that are) believed (to be) responsible for ~

B : 원형 부정사는 수식 용법이 없다. 

C : 'emissions'가 'believing'의 주체일 수 없다.

D : 부정사가 형용사적 용법으로 앞의 명사를 꾸밀 수가 있다. 'emissions [to believe Ø (to be) responsible]'의 구조여야 하는데 'to believe'의 의미상의 주어도 없이, 'can'이나 'must'의 의미도 없이 능동으로 사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emissions [believed (to be) responsible'을 사용한다. 'by 행위자'는 자연스럽게 생략될 수 있다.

[해석]   도쿄 의정서는 지구 온난화의 원인으로 믿어지는 이산화탄소 방출량을 감소하려는 야심찬 시도이다.

 

3707.​ [경기대학교 2019]

When we meet someone new, (A)[whether] at work or in a social situation, we begin (B)[making] judgments instantaneously, (C)[based on] dress, mannerisms, body language, demeanor, and literally (D)[dozen] of other small details.

3707.​ ['a dozen'과 'dozens of']

정답 - D : [dozen] → [dozens of] : 막연히 몇 십'이면 'dozens of'를 사용한다.

A : 접속사인 'whether'는 보통 대조되는 두 개의 대상에서 선택을 나타낸다.

They now have two weeks to decide whether or not to buy. "그들은 이제 살지 말지를 2 주에 결정해야 한다."

She was uncertain whether to stay or leave. "그녀는 머물지 떠날지 확신을 못 했다."

Babies, whether breast-fed or bottle-fed,  should receive additional vitamin D.

"아기들은 모유를 먹든 수유를 받든 추가적으로 비타민 D를 취해야 한다."

Anyone, whether liberal or conservative, would agree with me.

"누구든 진보든 보수든 나와 의견이 같을 거다."

He passed the test, whether by skill or luck. "그는 시험에 붙었다. 실력이든 운으로든."

[해석]   우리는 새로 누군가를 만날 때 일이든 사교로든 즉각적으로 판단을 내리기 시작한다. 옷, 매너, 보디랭귀지, 품행, 글자 그대로 몇 십 가지 작은 세부 사항을 기준으로.

 

3708.​ *** [광운대학교 2019]

다음 중 어법 상 적절하지 않은 것은?

(A) No sooner did I sleep, I started to snore.

(B) There is not the least snow on the road.

(C) A whale is no more a fish than a dog is.

(D) Mt. Everest is tallest among all mountains.

(E) No less than half the students failed the exam.

3708.​ [최상급과 관사, 양쪽 부정, 'no sooner ~than']

정답 - A : → [No sooner had I slept than I started to snore.] : 기본적으로 앞에 비교급인 'sooner'가 있으므로 뒤에 'than'이 있어야 한다. 잠든 것이 이전이기 때문에 대과거인 'had pp'를 사용하고서는 더 이전도 아니라고(no sooner)라고 함으로써 두 개의 사건을 바싹 붙게 해서 '~하자마자 ~했다.'의 뜻이 되게 한다.

[해석]  나는 잠들기가 무섭게 코를 골기 시작했다.

B : [해석] 도로에는 눈이 조금도 없었다.

C : 양쪽 부정: 눈곱만큼 긍정인 것은 부정이다. 고래가 어류인 것은 개가 어류인 것과 마찬가지로 눈곱만큼 사실이다. 고래나 개나 어류가 아니다. 고래가 어류면 개도 어류다. He is no more your friend than I'm your mother.

[해석]  고래는 어류지. 개가 어류래서 그렇지.

E : 비절비교 'no less than half' : 적지 않은, 곧 많은 쪽에서의 'equal'이므로 '무려, 씩이나'의 뜻이 된다. 'less'는 보통의 경우 '*less students'를 사용할 수 없지만 비절비교에서는 떨어져 있어서 'no fewer than half the students'보다 'no less than half the students'를 더 많이 사용한다.

[해석]   무려 학생들 반이 시험에 떨어졌다.

D : 최상급이 서술 보어로 쓰일 때 정관사는 흔히 생략한다. =  Mt. Everest is (the) tallest among all mountains.

[해석]  에베레스트산은 모든 산 중에서 가장 높다.

 

[핵심 문법] ~하자마자 ~하다

He saw the policeman, and ( ) he ran away. "그는 경찰관을 보았고 그리고 (   ) 그는 도망쳤다."

두 개의 사건을 'and를' 이용해 순서대로 나열한 것인데 이론적으로는 '그리고(and) 얼마나 있다가 도망친' 것인지 알 수 없다.

Before he ran away, he had seen the policeman. "그는 도망치기 전에 경찰관을 보았다."

He had seen the policeman before he ran away.

경찰을 본 사건이 도망친 사건보다 이전 사건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하지만 이론적으로는 '얼마만큼 이전인지'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다.

He saw the policeman when he ran away. "그는 도망쳤을 때 경찰관을 보았다."

'도망을 칠 때 보았다'라는 뜻으로 도망친 사건이 먼저 발생할 수도 있다.

He had seen the policeman when he ran away. "그는 도망쳤을 때 이전에 경찰관을 보았다."

'도망을 칠 때는 이미 경찰을 본 상태였다'라는 뜻인데 역시 얼마나 전에 보았는지가 불분명하다.

As soon as he saw the policeman, he ran away. "그는 경찰관을 보자마자 도망쳤다."

비교인 'as soon as'를 사용함으로써 두 사건이 거의 동시 적임을 표시하고 있다이 경우 양쪽 다 과거형을 쓴다.

He had hardly seen the policeman before he ran away. "그는 도망치기 전에 거의 경찰관을 보기도 전이었다." (직역)

He had scarcely seen the policeman before he ran away. "그는 경찰관을 보자마자 도망쳤다." (의역)

대과거(had seen)를 사용해서 일단 본 사건이 '이전은 이전'이라고 표현한 후에 'hardly'나 'scarcely'를 사용해서 다시 '거의 이전도 아니다'라고 말함으로써 두 사건이 거의 동시 사건임을 표시한다.

He had hardly seen the policeman when he ran away. "그가 도망쳤을 때 거의 경찰관을 보지도 못 했다." (직역)

He had scarcely seen the policeman when he ran away. "그는 경찰관을 거의 보자마자 도망쳤다." (의역)

도망칠 때는 이미 그전에 경찰을 본 상태라고 해놓고 거의 이전도 아니라고 말함으로써 두 사건이 거의 동시 사건임을 나타낸다그래서 결론적으로 'had hardly scarcely PP before when 과거'는 '~하자마자 ~했다'의 뜻으로 의역하게 된다.

She had hardly arrived when she started talking about leaving again.

"그녀는 도착하자마자 다시 가는 것을 얘기하기 시작했다."

He had no sooner seen the policeman than he ran away. "그는 경찰관을 보자마자 도망쳤다." (의역)

같은 뜻으로 비교인 'no sooner ~ than'을 쓸 수도 있다. '이전인데 더 빠른 것도 아니다'라고 함으로서 두 사건을 붙어있게 한다.

No sooner had I walked in the door than the phone rang. "내가 문으로 들어가자마자 전화가 울렸다." (의역)

부정 어구인 'no sooner'가 강조되어 앞으로 나가면 주어-기능사 도치가 발생한다.

Our teacher had hardly left the class room when we began shouting.

"우리 선생님이 교실을 떠나자마자 우린 소리치기 시작했다." (의역)

Hardly had our teacher left the class room when we began shouting.

"우리 선생님이 교실을 떠난 건 우리가 소리치기 이전이긴 하지만 거의 이전도 아니었다." (직역) 

부정 어구인 'hardly'가 강조되어 앞으로 선행되면 주어-기능사 도치가 발생된다.

Mr. Johnson had scarcely seen me before he asked me to give him a ride.

"존슨 씨는 나를 보자마자 태워줄 걸 요청했다."

Scarcely had Mr. Johnson seen me before he asked me to give him a ride.

"존슨 씨는 나를 본 것이 이전이 아닐 정도로 내게 태워줄 걸 요청했다." (직역)

The bell had scarcely rung when John commenced to speak. "벨이 울리자마자 존은 연설을 시작했다." (의역)

Scarcely had the bell rung when John commenced to speak.

"벨이 울린 건 이전이 아닐 정도로 바로 연설을 시작했다." (직역)

He had no sooner run into the house than he fell down on the floor.

"그는 집에 들어서자마자 바닥에 드러누웠다." (의역)

No sooner had he run into the house than he fell down on the floor.

One problem inherent with all monographs is that no sooner is a book published than new research appears.

"모든 전공 논문에 내재된 한가지 문제는 새 책이 간행되자마자 새로운 연구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일정한 과거의 사건을 언급하는 것이 아니고 일반적인 얘기일 때는 양쪽을 모두 현재형으로 쓴다.

Human instinct is such that no sooner do a strange man and woman meet in privacy than a sensation of mutual attraction permeates the atmosphere between them. "인간의 본능은 하도 대단해서 낯선 남녀는 은밀하게 만나자마자 서로에의 애정이 둘 사이의 공간에 충만하게 된다."

 

[관사와 최상급]

John is *a cleverest student in the class.

John is the cleverest student in the class.

최상급에 'a'를 붙이면 '가장 영리한 학생이 최소한 또 한 명이 있다는 뜻이므로 곤란하다. 가장 영리한 학생은 유일성을 나타내므로 '유일성 표시의 정관사 the'를 사용한다. (ㅎ 지구상에서 태양은 유일하므로 'the sun', 우주에서 별은 아주 많으므로 'a sun'을 사용한다.) 

John is *a / one of the cleverest students.

가장 영리한 학생이 여럿이면 'one of the ~'를 사용한다.

Sara is the youngest child.

Sara is *youngest child.

명사에 붙은 한정 용법이면 정관사를 탈락시킬 수 없다.

Sara is their youngest child. (= they have)

소유의 개념이 추가되어서 'the'는 탈락되고 소유 한정사 'their'가 사용되고 있다.

The youngest daughter / My youngest daughter / *That youngest daughter is a dentist.

최상급은 ' 정도의 최상급'으로 유일한 존재임이 결정되기 때문에 최상급의 범위를 나타내는 소유 한정사는 붙일 수 있지만 거리의 개념으로 대상을 지칭하는 '지시 한정사인 that'을 사용할 수 없다.

Sara is (the) youngest (of all).

Sara is (the) most efficient (of all).

서술 용법인 경우에는 흔히 '정관사 the'는 생략된다.

[본문]  

(D) Mt. Everest is tallest among all mountains. = (D) Mt. Everest is (the) tallest among all mountains.

This is the deepest lake in Korea.

This is *deepest lake in Korea.

한정 용법이므로 정관사를 생략할 수 없다.

Which is the highest mountain?

Which mountain is the highest one?

처음 나오거나 '대형태 one'이 사용된 경우 'the'를 생략할 수 없다.

Which mountain is (the) highest? Who climbed (the) highest? 

반복되는 명사가 생략된 경우에는 정관사가 생략되기도 한다.

This lake is the deepest (*lake) in Korea.

앞에 'lake'가 있으므로 반복되는 'lake'는 필히 생략해야 한다.

The lake is deepest at this point.  "호수는 이 지점에서 가장 깊다."

The lake is *the deepest *(lake) at this point. "*호수는 이 지점에서 가장 깊은 호수다."

자체를 비교할 때는 'the'를 쓰면 안 된다. '이 지점에서 가장 깊은 호수'는 맞지 않는 표현이다.

The view is best in autumn.

Spring is best in May.

역시 자체의 비교로 'the'를 사용하지 않는다.

강화사와 최상급의 차이나 부사의 최상급은 여기서는 다루지 않기로 한다.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1. 4. 7. 21:07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31AztD52CGw

[ET50-1-1]2052. [삼육대학교 2004-1]

문법적으로 틀린 문장을 고르시오.

(A) Peking is most densely populated city in the world.

(B) The man who fixed my car accidentally broke the fan.

(C) It is always difficult to make hard decisions.

(D) He has driven to work every day since he bought that new car.

[ET50-1-1]2052. [최상급의 정관사]

정답 - A : [most] → [the most] : 명사로 끝나는 경우 최상급에는 정관사를 붙여야 한다.

[해석북경은 세계에서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도시이다.

B [해석내 차를 수리한 사람은 실수로 팬을 부러뜨렸다.

C [해석어려운 결정들을 내리는 것은 항상 어렵다.

D [해석저 새 차를 산 이래로 매일 차를 몰고 출근했다.

 

[핵심 문법최상급과 관사

John is *a cleverest student in the class. → John is the cleverest student in the class.

반에서 가장 영리한 학생은 한 명인데 '*a cleverest student'를 쓰면 영어에서는 최소한 또 한 명의 '*a cleverest student'가 있다는 것을 전제하므로 가장 영리한 학생이 둘 이상이 되어 곤란하다가장 영리한 학생은 보통의 경우 유일한 존재이므로 '유일성의 the'를 사용해야 한다.

John is *a one of the cleverest students.

가장 영리한 학생이 여러 명인 경우에는 'one of the 최상급 복수 명사'로 써야 한다.

Sara is the youngest child in the family.

Sara is *youngest child in the family.

최상급 형용사가 명사 앞에서 한정 용법으로 쓰일 때는 'the'를 생략할 수 없다.

Sara is a youngest child.

부정관사를 사용하면 속성 표시로 '막내'란 뜻이 된다.

Sara is their youngest child.

소유의 개념이 부가되면 (a child of theirs / one of their children / they have) 정관사를 탈락시키고 소유 한정사를 쓰면 된다.

The taller boy is John. → That taller boy is John.

비교급에서는 지시의 개념이 부가되면 지시 한정사를 쓸 수 있다.

The youngest daughter is a dentist. → My youngest daughter is a dentist.

*That youngest daughter is a dentist.

최상급은 정도의 최상급으로 유일한 존재로 대상이 정해지므로 거리의 개념으로 대상을 지정하는 지시 한정사를 쓸 수 없다.

*A That plant needs more frequent watering than anything else in the garden.

"저 식물은 정원의 어떤 것보다도 더 자주 물을 주어야 한다."

'A plant'를 쓰면 의미상으로 최상급인 'another plant'가 존재한다는 뜻이므로 논리적으로 모순이다의미상의 최상급에서는 지시 한정사인 'that'이 쓰일 수 있다.

He was *best the best man for the job. "그는 그 일에 최적임자였다."

He was best man (groomsman : 들러리) at the wedding. "그는 그 결혼식에서 신랑 들러리였다."

'최적임자'의 뜻일 때는 'the'를 생략할 수 없으나 '신랑 들러리'의 뜻일 때는 가능하다.

Sara is (the) youngest (of all).

Sara is (the) most efficient (of all).

형용사가 서술 용법으로 쓰였을 때는 'the'의 사용은 선택적이다.

Sara is the most efficient publisher in the office. "사라는 사무실에서 최고의 출판인이다."

Sara is our most efficient publisher. "사라는 우리의 최고의 출판인이다."

'our'는 'in the office'를 대체하는 표현으로 최상급의 표현이다.

Sara is a most efficient publisher. "사라는 아주 유능한 출판인이다."

한정 용법으로 최상급 앞에 'a'를 쓸 수 없으므로 최상급의 표현이 아니다. 'most'는 강화사로서 'extremely'의 뜻으로 쓰이고 있다.

Sara is *most efficient publisher.

최상급이라면 한정 용법이므로 'the'를 생략할 수 없어서 곤란하고 강화사라면 단수 가산 명사인 'publisher'의 앞에 'a'가 있어야 한다.

They are most efficient publishers. "그들은 아주 유능한 출판인들이다."

여기서 'most'는 강화사이고 복수 명사인 'publishers'가 오므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

Sara is most efficient.

1) 최상급 = Sara is the most efficient (of all)

2) 강화사 = Sara is extremely efficient.

서술 용법일 때 최상급에서 'the'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생략하면 강화사로도 해석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하지만 실제 상황에서는 정황 상 어느 쪽인지 알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

Rome and Florence are indeed beautiful, but Venice is the most romantic.

"로마와 플로렌스는 정말로 아름답지만 베니스는 가장 낭만적이다."

여기서 'the'를 생략하면 'most romantic = extremely romantic'의 뜻이 될 수도 있어 'but 이전 부분'과 뜻이 맞지 않으므로 분명하게 'the'를 쓰는 것이 좋다.

She is a most efficient publisher. (= extremely efficient)

They helped us with deepest sympathy. "그들은 매우 깊이 동정하여 우리의 힘이 되어 주었다."

명사 앞에서는 '-est'가 붙은 형태로도 강화사로 기능하기도 한다이때 불가산 명사로 여겨지면 무관사로 쓴다.

Isn't she the most beautiful woman? (= an extremely beautiful woman?) "정말 아름다운 여자지, 그치?"

Lucille wears the oddest clothes, my dear. "자기야, 루실은 정말 이상야릇한 옷을 입는다."

비교의 대상이 언급되지 않은 채 명사 앞에서는 'the + most'나 'the + 최상급'이 '최상급 의미'가 아닌 '강화사'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I work fastest when I'm under pressure. "나는 압박을 받으면 가장 빨리 일한다."

His dog runs fastest of all. "그의 개는 모든 개 중에서 가장 빠르게 달린다.

부사의 최상급은 'the'를 쓰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Tim tries the hardest of all the boys in his class. "팀은 자기 반의 다른 모든 남자 애들 중에서 가장 열심히 한다."

This troubles me the most. "이는 나를 가장 괴롭힌다."

Of the three boys, John behaves the most politely. "세 소년들 중에서 존이 가장 예의바르게 행동한다."

그러나 이처럼 간혹 'the'를 부사 앞에 쓴 경우도 있다.

Where I come from, most teachers / *the most teachers have to teach at two schools in order to earn enough. 

"내 고향에서는 대부분의 선생님들은 충분히 돈을 벌기 위해서 두 학교에서 강의해야 한다."

Which city has the most tourists?  "어느 도시가 가장 많은 관광객이 있냐?"

대부분(= nearly all)의 뜻으로 쓰이는 'most'는 양화사로서 'the'가 붙지 않는다.

Most universities / *Most of universities provide a wide range of courses. 

"대부분의 대학들은 폭넓은 수업을 제공한다."

Most of the universities / *Most the universities provide a wide range of courses. 

"그 대학들 대부분은 폭넓은 수업을 제공한다."

He spends most of his time / *most his time travelling. "그는 자기 시간의 대부분을 여행한다."

양화사 'most'는 뒤에 부정형 명사가 오면 한정사로 쓰고 정형 명사구가 오면 대명사로 써야 한다.

Most of them / *Most them are made in Korea. → They are *most mostly made in Korea.

"그것들 대부분은 한국산이다."

Most of the students here are German. → The students are *most mostly German.

"그 학생들 대부분은 독일인이다."

'most'는 하향시킬 때 'all, both, each'와 달리 'most'로 쓰면 안 되고 부사인 'mostly'를 써야 한다. (양화사 하향)

He won (the) most prizes. "그는 가장 많은 상들을 수상했다."

'가장 많은 수'의 뜻일 때 간혹 'the'를 안 쓰는 경우가 있기는 있다.

She is the best dancer / *a best dancer in the world. "그녀는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댄서다."

최상급으로 유일한 존재이므로 정관사를 써야 한다.

She is one of the best dancers in the world. "그녀는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댄서 중의 하나이다."

최상급이 집단으로(the best dancers) 존재할 수도 있는데 '그중에 한 명'이란 뜻으로는 'one of the best dancers'로 쓸 수 있다.

She is *one the best dancers in the world.

부정형인 'one'과 정형인 'the'를 연이어 써서는 안 된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