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3RPbazdfFbY
[ET59-2-2]2623. ⋆⋆ [고려대학교 2011]
He who possesses the divine powers of the soul is a great being, ___________. You may clothe him with rags or chain him to slavish tasks. But he is still great.
(A) be his place what it may (B) his place may be what it is
(C) may be his place where it is (D) where is his place may be
[ET59-2-2]2623. ['let' 삭제 후의 도치]
정답 - A : 'let'을 다시 살리고 'be'를 다시 아래로 내려보내면 'let his place be what it may'가 된다. 여기서 'it'은 'his place'이고 'may' 다음에는 'be'가 생략된 것이고 'what'은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다.
[해석] 영혼의 성스러운 힘을 소유한 사람은 그의 지위가 무엇이든 간에 위대한 존재이다. 그에게 넝마를 입히거나 쇠사슬로 묶어 노예가 하는 일을 시킬 수 있다. 하지만 그래도 그는 여전히 위대하다.
[핵심 문법] 'let' 삭제 후의 도치
Be it on your (own) head. "자기 책임으로 하라."
이 문장을 보면 'it'이 주어이고 'be'가 동사인데 동사가 주어보다 앞에 나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Let'을 사용하는 명령문으로 만들면 'Let it be on your head.'인데 여기서 'Let'을 삭제하면 'it'과 'be'를 도치시켜서 위의 문장이 만들어진 것이다. 이런 방식의 명령문은 요즘은 쓰이지 않으므로 몇 가지의 관용적으로 쓰이는 표현만을 기억하고 해석할 때는 주어와 동사를 정상 순서로 놓고 이해하면 된다.
I'm sure you're wrong to sink all your capital in this scheme. However, on your own head be it.
"네 모든 자산을 이 계획에 넣는다면 그거 잘못된 걸 거다. 하지만 자신이 책임지고하세요.'
'let it be on your own head'로 이해하면 된다.
Be it so. : 그렇다면 좋다, 그렇게 말한다면 그럴 테지, 그리할지어다
'Let it be so.'로 이해하면 된다.
So be it.
보어인 'so'를 문두에 동사를 가운데 그리고 주어를 맨 뒤에 둔 형태이다.
If it's called manipulative, then so be it. "속임수라고 한다면 그렇게 하라고 하지 뭐."
Lucy, listen to me. You saved her life. If you killed two people to do that, then so be it. You had no choice. It's not that you wanted to. "루시 내말 들어. 당신은 내 삶을 살렸죠. 그러기 위해 두 사람을 죽였다 하더라도 그렇다고 해요. 당신은 선택할 수 없었으니까. 그건 당신이 원했던 것은 아니니까요."
Far be it from me to V : ~하려는 생각 따위는 조금도 없다
'it'은 가주어로 'to V'를 받은 것인데 보어인 'far'까지 문두로 도치된 형태이다. 'Let it be far from me to V'로 이해하면 된다.
You must be the judge. Far be it from me to interfere. "님이 판사시죠. 제가 간섭할 생각은 전혀 없습니다."
Far be it from me to suggest any change in your admirable programme, Mrs Paxon, but don't you think it would be better .. "팍슨 부인 당신의 존중하는 프로그램의 어떤 변화를 제안하고 싶은 마음은 전혀 없지만 ~ 하는 게 더 낫다고 생각되지 않습니까?"
Suffice (it) to say : 'It is enough(= suffices) to say ~' or 'I'll say no more than ~'
: (지금은) ~라고만 말해두자; ~이라고 말하면 충분하다
'it'은 가주어로 'to say ~'를 받는 것이고 도치된 동사인 'suffice'는 'be enough'의 뜻이다. 'Let it suffice to say'로 이해하면 된다.
Suffice it to say that we lost / won. "우린 졌다고 / 이겼다고만 말해 두 자."
Be he who he may, I will not go with him. "그가 누구이든 그와 함께 가지는 않겠다."
'Let him be who he may'로 이해하면 되는데 'let'을 생략하고 'be'를 도치한 후에 주격인 'he'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who'는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로 볼 수 있다.
Be Wilson what he might be, this, at least, was the veriest of affectation, or of folly.
"윌슨이 누구이든 적어도 이건 아주 진짜의 허식 또는 어리석음이다."
Be the matter what it may, I will take care of it. "무슨 일이든 간에 내가 처리하겠다."
'Let the matter be what it may'로 이해하면 된다.
That is as (it) may be. : That (i.e. something already mentioned) may possibly true
이 문장은 직설법의 문장인데 '그것은 어쩌면 사실일지도 모른다.'의 뜻으로 쓰인다.
Be that as it may : That may or may not, be true, but is, in any case, irrelevant.
: 주어인 'that'와 동사인 'be'가 도치된 형태로 '사실이라면 그렇다고 하자'에서 시작해서 '사실일 수도 있지만 어쨌든 그것은 무관한 이야기다'의 뜻으로 쓰이는데 보통은 '어쨌든'으로만 해석한다.
Be that as it may, the nerve poison does its business with man far more quickly than the blood poison.
"그것은 어쨌든 간에 신경 독은 혈액 독보다 훨 더 빠르게 인간에게 작용한다."
Let the chips fall where they may, I shall vote for this plan even if the rest of you are against it. ((자기 탓으로) 결과야 어쨌든; 남이야 뭐라 하든 (상관없다))
"남이 뭐라 하든 나는 이 계획에 찬성한다. 나머지 너희들이 반대를 해도 그렇다."
이 경우는 'Let'을 사용하고 도치되지 않은 것이 관용적으로 쓰이고 경우이다.
Come what may / might : in spite of, disregarding, whatever (else) may happen (while doing something or as the result of doing something)
Come what may, I will not break my word. "무슨 일이 생겨도 나는 내 약속을 깨지 않을 거다."
'let'이 쓰이지 않은 형태인데 'come'을 아래로 내려보내고 'what'에 'ever'를 붙이면 양보 부사절인 'Whatever may come'으로 바꿀 수 있다.
Come what might, he would never leave John. "무슨 일이 있어도 그는 결코 존을 떠나지 않을 거다."
Say what he may / will, no one believes him. "무슨 말을 하더라도 아무도 그를 믿지 않는다."
이런 경우 'what he may'는 'say'의 목적어로 보아야 하므로 'say'의 주어가 나타나 있지 않는데 'Let him say what ~'에서 'Let him'이 생략된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지만 더 쉽게 이해하는 방법은 'say'를 뒤로 보내고 'what'에 'ever'를 붙여서 양보 부사절인 'Whatever he may say'로 바꿔보는 것이다.
Come when you may, I will give it to you. "네가 언제 오더라도 그것을 네게 주겠다."
2인칭 주어인 경우는 '*Let you come ~'으로 쓰지 못하므로 2인칭 명령문인 'Come ~' 자체가 양보의 의미를 갖는다고 보아야 하는데 그냥 관용적인 표현으로 생각하고 'come'을 내려보내고 'when'에 'ever'를 붙여 양보 부사절인 'Whenever you may come'로 이해하면 된다.
Whenever you may come, I will give it to you. "언제 오더라도 나 그걸 네게 줄 거다."
→ Come when you may, I will give it to you.
'come'이 앞으로 선행하면 '-ever'가 없어지는 것을 'Ever Deletion(삭제)'라고 칭하기도 한다.
Try which method you may, you will fail. "어떤 방법을 쓰러라도 너는 실패할 거다."
→ Whichever method you may try, you will fail.
Change your mind as you will, you will not gain no additional support.
"네 마음을 바꾼다 하더라도 더 이상 지원을 받지는 못할 것이다."
try as one may : (be unable to do something) however hard one tries to
Try as he may / will / does / might, he never seems able to do the work satisfactorily.
"그가 애쓴다 하더라도 결코 만족스럽게 그 일을 할 수 있을 것 같지는 않다."
'may' 외에 'might, will, would'가 쓰일 수 있으며 'do'가 쓰이기도 한다.
Try as I might, I just could not get the message across. "아무리 애를 써도 나는 뜻을 전달할 수 없었다."
Try as you may, you can never do it in a week. "당신이 애쓴다 하더라도 일주일 내로는 할 수 없다."
come hell or high water : whatever the opposition or difficulties may be
: 어떤 장애가 일어나더라도, 어떤 일이 있어도 (high water : 만조, 홍수, 최고 수위)
She was right of course. I was fuddled. On the third day I just had to sleep, come hell or high water. (= even if hell or high water comes) "물론 그녀가 옳았다. 나는 취했다. 사흘째 되는 날 어떤 일이 있어도 나는 잠을 자야 했다."
come rain or shine : whatever the weather is like; whatever happens; in any case / event
: 비가 오거나 말거나, 어떤 일이 있어도
Come rain or shine, you'll always find him in the pub every Friday night.
"어떤 일이 있어도 금요일 밤마다 술집에서 그를 찾을 수 있을 거다."
Woe betide him! : 그에게 재앙 있으라. : (그런 짓 하면) 그냥 두지 않을 테다.
Judge Maude said : "Woe betide anyone who should injure Mr. Gardner as a result of this case."
(betide = happen to) 모드 판사는 말했다. '이 사건의 결과로 가드너 씨를 상해하는 사람은 그냥 두지 않을 테다.'
'Woe'가 'betide'의 주어이므로 'Let woe betide him'에서 'Let'이 삭제되고 난 후에 타동사인 'betide'는 도치가 불가능해서 그냥 놔둔 것으로 볼 수 있다.
'편입 문법 3000 Pl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536회] (0) | 2021.06.03 |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535회] (0) | 2021.06.02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533회][3권 시작 부분] (0) | 2021.05.30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532회] [2권 마지막] (0) | 2021.05.28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531회] (0) | 2021.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