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 문법 3000 Plus2021. 10. 3. 12:14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xlp2bxzbzss

[PT68-8]2896.  [계명대학교 2005-1]

"Have we missed the start of the film?" "I'm afraid __________."

(A) that       (B) it        (C) so       (D) not

[PT68-8]2896. [대형태 so]

정답 - C : 대형태인 'so'는 ‘that 을 대신할 수 있다.

D : ‘영화의 시작을 놓치지 않은 것은 안타까운 일이 아니므로 ‘I'm afraid not’을 쓰지 않는다.

[해석] "우리는 영화의 시작을 놓쳤습니까?"   "어쩌죠그런 것 같습니다."

 

[PT68-9]2897. ⋆⋆ [세종대학교 2010]

I don't know ______________, but since Aunt Susie was already married to Uncle Walter, it must have been around 1900.

(A) what was this year            (B) when this year was

(C) what year this was            (D) when was this year

[PT68-9]2897. [간접 의문문과 반복 회피]

정답 - C : 'what year was this?'가 간접 의문문으로 들어가면 의문사를 앞에 두고 나머지는 평서문의 순서가 돼서 'what year this was'가 된다.

[해석이 해가 어느 해인지는 모르겠지만 Susie 아주머니가 Walter 아저씨와 이미 결혼한 상황이므로 1900년경이 틀림없다.

 

[핵심 문법반복 회피

What day is it?

What day is *the day?

의문문에서 '시간의 it '대신 'day'가 반복되는 'the day'를 쓰지 못한다.

What time is it?

What time is *the time?

의문문에서 '시간의 it' 대신 'time'이 반복되는 'the time'을 쓰지 못한다.

What year is it now?

What year is *the year?

의문문에서 '시간의 it '대신 'year'가 반복되는 'the year'를 쓰지 못한다.

This was 1970.

*This year was 1970.

This was around 1977.

This must have been around 1977.

*This year was around 1977.

뒤에 연도가 나오면 중복적으로 'This year'를 쓰지 않는다.

What year was this?

*What year was this year?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에서 중복적으로 'this year'를 쓰지 않는다.

B, D : when은 사건이 일어나는 때를 물어볼 때 사용한다.

when : at what time : used for asking at what time something happens

A : What was this year like?

It was a happy year.

This is a happy year.

그해의 속성을 묻는 표현으로 'like'을 붙여서나 쓴다.

How was this year (for you)?

It was better than last year.

 

[PT68-10]2898. [세종대학교 2010]

"Hi, Mr. Kim! Has everyone gone for the Easter break?" "Some kids ________________."

(A) are gone yet                (B) are gone ever

(C) here are already            (D) are still here

[PT68-10]2898. [still과 no longer]

정답 - D : 상태의 지속을 나타낼 때 'still'을 사용하고 상태가 지속되지 않을 때 'no longer'를 사용한다

All the kids were here. → Some kids are still here.

A : 'yet'는 긍정문에서 아직의 뜻이다. She's chattering yet. ‘아직도

B : 'ever'는 이 문장에서는 적합지 않다→ Some kids are gone forever.

C : → Some kids are already here. "몇몇 애들은 이미 이곳에 있다."

[해석]  "안녕미스터 김모두가 부활절 방학을 떠났습니까?"

"몇몇 아이들은 아직도 여기 있습니다."

 

[PT68-11]2899. [경기대학교 2003-1]

Until recently, any concern with (A)[perpetuating] the Canadian identity was considered (B)[fairly absurd] since the admired attitude was internationalism and the (C)[real only] mark of acceptance in every field of endeavor (D)[came from] the United states.

[PT68-11]2899. [only의 위치]

정답 - C : [real only] → [only real] : 'only'는 형용사 보다 앞에 놓여야 한다.

[해석] 최근까지도 캐나다의 주체성을 영속화하고자 하는 관심은 상당히 어리석은 것으로 간주되었는데 이는 바람직한 태도는 국제화이고 어떤 분야에서의 노력이든 인정받게 되는 유일한 진짜 표시는 미국에서 오는 것이었기 때문이었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