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 문법 3000 Plus2021. 12. 16. 18:40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ASadaEhNPrM

[ET75-1-1]3224. ⋆⋆ [미출]

The military aircraft (A)[were sent] out to attack the (B)[weapons] factories of the enemy and (C)[could catch] them (D)[with their] pants down.

[ET75-1-1]3224. [과거의 구체적 상황의 could]

정답 - C : [could catch] → [succeeded in catching] : 구체적인 상황에서 '~할 수 있었다.'는 'could'를 사용할 수 없다. 'succeeded in ~ing'나 'managed to V'를 사용해야 한다.

A : 'aircraft'는 단/복수 동형인데 지금은 복수형으로 쓰이고 있다.

B : 흔히 다양한 무기들의 생산을 강조해서 복수형으로 'weapons factories'를 사용한다.

D : 'with 구문'이다.

catch ~ with one's pants down : 기습하다허를 찌르다

[해석적의 무기 공장들을 공격하기 위하여 군 비행기들이 출격했고 기습에 성공했다.

 

[핵심 문법] 'could'와 'was able to'

He could was able to swim five miles when he was a boy.

By the time she was four, she could was able to swim the whole length of the pool.

과거 당시의 타고난 능력이나 습득된 능력에 대한 일반적인 얘기를 할 때는 'could'를 사용할 수 있다.

I ran fast and *could catch the bus. "빨리 달려서 버스를 탈 수 있었다."

I ran fast and caught the bus. "빨리 달려서 버스를 탔다."

'could'는 '과거 당시의 능력'을 나타낼 수는 있지만 '능력이 있어서 실제로 할 수 있었다.'는 뜻으로 쓰지는 않는다현재와 달리 과거는 보통 사실 관계가 알려진 경우이기 때문에 어떤 행위가 실현되고 나면 '능력'은 이미 중요한 정보가 되지 못한다과거 시제로 단순히 사실을 알려주는 것이 좋다굳이 '능력'까지 나타내고 싶으면 'was able to'나 'managed to'를 사용한다간혹 'succeeded in ~ing'를 사용하기도 한다.

I ran fast and was able to catch the bus. "빨리 달려서 버스를 탈 수 있었다."

*could was able to pass my driving test. "운전시험에 합격할 수 있었다."

I *could was able to managed to finish the job yesterday.

In the end they *could rescue succeeded in rescuing the cat on the roof.

By reading quickly, I *could managed to finish the book before the library closed.

I ran fast but couldn't catch the bus. "빨리 달렸지만 버스를 탈 수 없었다."

We looked everywhere for the cassette, but we couldn't find it.

'could'와 달리 'couldn't'는 '할 수 없었다.'의 뜻으로 쓸 수 있다과거에 대한 사실 관계가 알려진 경우라 하더라도 사건이 실현되지 않은 경우는 단순히 비실현을 과거 시제로(didn't find) 표현하는 것보다는 가능성까지 포함해서 부정을 하는 것이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표현이 된다.

All he could think of was this child. "그가 생각할 수 있었던 것이라곤 이 아이뿐이었다."

There was little they could think of. "그들이 생각할 수 있었던 것은 거의 없었다."

'could'는 'not'이 없어도 비단정(비단언영역에서는 마찬가지로 쓸 수 있다.

Could they rescue the cat on the roof?

No, they couldn't. It was difficult.

Yes, they *could managed to.

의문문이나 부정 응답은 비단정 영역이지만 긍정 응답은 단정 영역이므로 'could'를 사용할 수 없다.

could get up and go to the kitchen whenever I wanted to.

"원할 때는 언제나 일어나서 부엌에 갈 수 있었다."

My father could usually get what he wanted. "아버지는 보통 원하셨던 것을 얻을 수 있으셨다."

'could'는 실제로 할 수 있었다.’의 뜻이더라도 습관적인 반복되는 행위 면 사용될 수 있다.

could almost reach the lake. "나는 거의 그 호수에 다다를 수 있었다."

could just reach the lake. "나는 가까스로 그 호수에 다다를 수 있었다."

'could'는 'almost(거의)'와 'just(가까스로)'와 함께는 쓰일 수 있다.

 

[ET75-1-2]3225. [한양대학교 2005-1]

Look at all the water on the ground. It ___________ really hard last night.

(A) must have rained                (B) should rain

(C) must be raining                  (D) should have rained

[ET75-1-2]3225. [must have PP]

정답 - A : 'last night'와 연결되는 틀림없다는 추측이므로 'must have PP'를 써야 한다.

[해석땅 위가 온통 물인 것을 보아라어젯밤에 정말 거세게 비가 내렸음이 틀림없다.

 

[핵심 문법조동사와 시제 대체(Tense Replacement) 

① It is possible that he is a thief. "그는 도둑놈일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It is possible that'을 서법 조동사 'may'로 바꾸어 넣으면

→ He may be a thief. 가 된다.

 It is possible that he was a thief (last year). "그는 도둑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도 'It is possible that'을 서법 조동사 'may'로 바꿀 때

→ 'He may *was a thief (last year).'로 쓰면 좋겠지만 알다시피 조동사 'may' 다음에는 과거형인 'was'를 쓸 수는 없다그렇다고 해서 과 똑같이 'He *may be a thief (last year).'로 쓸 수도 없다. 'last year'가 없어도 과 구분되지 않아서 안 된다영어에서는 과거를 써야 하는데 쓸 수 없는 상황이 되면 (여기서는 may *was) 과거를 'have + PP'로 대신 쓴다.

→ He may have been (= *was) a thief (last year). "(작년에도둑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것을 과거 시제를 완료로 대신한다는 점에서 '시제 대체(Tense Replacement)'라고 한다.

 It is possible that he has been a thief since then.

"그는 그때 이후로 계속 도둑 이어 왔을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It is possible that'을 서법 조동사 'may'로 바꾸면

→ He may have been a thief since then. 이 된다.

'may' 다음에 'have been'이 왔을 때 그 자체로는 완료에서 완료로 온 것인지 과거에서 시제 대체로 온 것인지가 구분되지 않는다아무런 시간 부사 어구도 나오지 않거나 과거를 나타내는 어구가 나오면 과거에서 시제 대체로 온 것이고 완료와 관련된 부사 어구가 (여기서는 'since then') 있으면 완료에서 완료로 온 것으로 보면 된다.

④ He may have left yesterday. "그는 어제 떠났을 가능성이 있다."

'yesterday'가 있으므로 'have left'는 과거에서 시제 대체로 온 것이므로 'may'를 바깥으로 끄집어내면 'have left'는 과거인 'left'로 쓰여야 한다.

→ It is possible that he left / *has left yesterday.

⑤ He may have left already. "그는 이미 떠났을 가능성이 있다."

'already'가 있으므로 'have left'는 완료에서 완료로 온 것이므로 'has left'가 쓰여야 한다.

→ It is possible that he has left already.

(1) may have PP

과거에 대한 얘기이므로 가정법이 아닌 한 구속형은 불가하다그것은 지금 이야기하면서 예컨대 '너 어제 밥 먹어도 좋다.'라는 식으로 허락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인식형이므로 'may'는 'It is possible that'으로 'paraphrase' 된다.

It may have been true. "사실이었을는지도 모른다."

→ It is possible that it was true.

He may have said so. "그렇게 말했을 가능성이 있다."

→ It is possible that he said so.

Your mother may have called when you were out.

→ It is possible that your mother called when you were out.

(2) can have PP

긍정 평서문으로는 쓰지 못한다.

He *can may have said so.

Can he have done so ? "그가 그렇게 했었을 가능성이 있단 말입니까?"

→ Is it possible that he did so ?

(3) must have PP

보통은 과거에 대한 틀림없다는 추측이 된다.

It must have been Tom. "톰이었음이 틀림없다."

'must'를 밖으로 끄집어내면 'I'm sure that'이 된다.

→ I'm sure that it was Tom.

That woman must have stolen it.  "그 여자가 그것을 훔쳤음이 틀림없다."

→ I'm sure that woman stole it.

You must have seen him.

→ ① I assume (now) you have seen him.

→ ② I assume (now) you saw him.

→ ③ I assume (now) you had seen him.

조동사 다음의 'have + PP'는 현재 완료 또는 과거 이외에도 심지어 과거 완료일 수도 있다조동사를 쓰는 한 과거 완료에서 온 것임을 구별하는 방법이 없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