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 문법 3000 Plus2021. 12. 19. 06:29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mwciyCGbMmc

[ET75-2-1]3227.(= [ET8-1-3]0207.)  [홍익대학교 2008-1]

Stupid ________ it sounds, I had very little sense of where it began or ended.

(A) so        (B) maybe        (C) as if        (D) as

[ET75-2-1]3227. [보어 선행된 양보 부사절]

정답 - D : 보어가 선행되면서 접속사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은 'as'뿐이다.

[해석멍청하게 들릴지는 모르겠지만 그게 어디서 시작돼서 어디서 끝나는지 거의 모르겠다.

 

[핵심 문법보어 선행된 양보 부사절 

(1) ~ as S + V

'as'는 접속사로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되는데 여기서는 이유와 양보의 의미만을 살펴보기로 한다접속사가 앞에 나오는 'as (접속사) + S + V'의 정상적인 순서일 때 as는 '이유의 접속사'로 쓰이고 절대로 '양보 접속사'로 쓰이지 못한다술어부의 일부분(대부분 보어)이 접속사 앞으로 나와 있으면 이때 접속사는 90% 이상 '양보 접속사'로 쓰인다물론 10% 정도는 여전히 '이유의 접속사'로 쓰인다이때 이 두 가지를 구분하는 것은 문맥에 의존하는 수밖에 없다.

As he is poor, Tom can not buy the car. "톰은 가난해서 그 차를 살 수 없다."

'접속사 As'가 맨 앞에 쓰인 정상적인 순서이므로 '이유의 접속사'이다.

Poor as he is, Tom can buy the car. "톰은 가난하지만 그 차를 살 수 있다."

'Poor'가 앞으로 나온 비정상적인 순서이므로 'as'는 대체로 '양보 접속사'이다.

Poor as he is, Tom can't buy the car. "가난하기 때문에 톰은 그 차를 살 수 없다."

비정상적인 순서지만 문맥상 'as'는 '이유의 접속사'이다.

Hero as he was, he turned pale. "비록 영웅이지만 파랗게 질렸다."

→ Though he was a hero, he turned pale.

이렇게 보어가 선행된 것을 보게 되면 정상적인 순서로 바꿔서 'as'를 'though'로 바꾸면 된다.

이때 주의할 것은 명사가 앞으로 나갈 때 부정관사의 탈락이 발생하므로 정상적인 순서일 때는 'a(n)'를 되살려야 한다.

As he is a coward, I don't like him. "그는 겁쟁이이기 때문에 나는 그를 좋아하지 않는다."

정상적인 순서로 'As'는 '이유의 접속사'이고 당연히 'a'가 쓰이고 있다.

Coward *A coward as he is, I like him.  "그는 겁쟁이이지만 나는 그를 좋아한다."

→ Though he is *coward a coward, I like him.

'though'를 사용해서 정상적인 순서로 만들면 'a'를 살려내야 한다.

Important as sugar is, we can't live upon it. "당은 중요하지만 그걸로 먹고 살 수는 없다."

Big as you are, you're still the baby of the family to me, you know.

"덩치는 크지만 넌 아직 나에겐 집안의 애기다. 알겠어."

보어가 선행되고 'as'가 양보 접속사로 쓰인 경우들이다.

Careless as she was, she could never pass the exam.

"그녀는 주의력이 부족해서 그 시험에 도저히 합격할 수 없었다."

Young as he was, it is not strange that he should have acted so foolishly.

"나이가 어렸으므로 그가 그런 어리석은 짓을 한 것도 무리가 아니다."

In any event, immersed as I was in the super-charged intellectual climate at Harvard, I had no time to indulge in moods. "여하튼 나는 하버드에서 고압 충전된 지적 분위기에 빠져 있어서 분위기에 탐닉할 시간이 없었다."

보어가 선행되고도 'as'가 이유의 접속사로 사용된 경우들이다.

Much as I'd like to go, I can not. "몹시 가고 싶지만 갈 수 없다."

→ Though I'd like to go very much, I can not.

부사인 'very much'는 선행될 때 'very'가 탈락된다.

Much as I'd like to help, there isn't a lot I can do. "열라 돕고 싶지만 내가 할 수 있는 게 많지 않다."

I'm sorry, Tonio. Much as I dislike the project, I can't do anything about it now.

"미안, 토니요. 그 프로젝트는 아주 싫지만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게 없어."

Much as the two buildings look alike,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m.

"두 건물은 아주 흡사해 보이지만 상당한 차이가 있다."

You may use my car, such as it is. "변변치 못하지만 제 차를 사용하셔도 됩니다."

→ You may use my car though it is not good.

여기서 선행된 보어인 'such'는 '그저 그런 것'의 뜻이며 'as'는 양보 접속사이다. (such as it is : used for showing that you do not have a good opinion of the thing you have mentioned)

The countries are still allies, but the special relationship, such as it was, ended long ago.

"그 나라들은 여전히 동맹이지만 변변치 않지만 특별한 관계도 오래전에 끝났다."

We're trying to sell the furniture, such as it is. "가구 팔려고 해요. 변변치도 않지만요."

 

[ET75-2-2]3228. [미출]

____________ as his experiences were, they empowered him to pursue a successful career as a writer of science fiction.

(A) Peculiar        (B) Peculiarly          (C) To be peculiar      (D) Being peculiar

[ET75-2-2]3228. [보어 선행된 이유의 부사절]

정답 - A : 'were'의 보어가 존재해야 하므로 형용사 'Peculiar'가 필요하다보통 경우와 달리 보어인 'Peculiar'가 선행된 후에 'as'가 이유의 접속사로 쓰이고 있다.

empower : ~할 수 있게 하다능력을 주다(= enable); 권력권한을 주다(= authorize)

[해석그의 경험은 색다른 것이어서 그는 과학 공상 소설 작가로서 성공할 수 있었다.

 

[ET75-2-3]3229. [미출]

But Clark, (A)[clever] as he was, and (B)[a good commander] that he seemed to be, hadn't learned (C)[how to run] a unit in the modern military world, where (D)[half the time] was spent (E)[managing] money.

[ET75-2-3]3229. [보어 선행된 양보 부사절]

정답 - B : [a good commander] → [good commander] : 보어가 선행되면서 'that'이 양보 접속사로 쓰이는 경우에 선행되는 보어는 부정관사가 탈락되어야 한다.

 

[핵심 문법보어 선행된 양보 부사절 

(2) ~ though S + V

Poor though her family was, they would never ask for help. 

"그녀의 집안은 가난했지만 도움을 요청하려 하지 않았다."

→ Though her family was poor, they would never ask for help.

'though'의 경우에도 간혹 보어가 선행되는 경우가 있는데 문어체에서 사용된다.

Genius though she was, she was still a teenage girl. "천재였지만 그녀는 여전히 십 대였다."

→ Though she was a genius, she was still a teenage girl.

'though'의 경우에도 보어가 선행될 때 부정관사는 탈락된다.

Beautiful though the necklace was, we thought it was over-priced so we didn't buy it.

"목걸이는 예뻤지만 가격이 지나치게 비싸다고 생각해서 구매하지 않았다."

And the questions which the critic seeks to answer, intricate though they are, do not seem to be extraordinarily difficult.  "비평가가 답하려 하는 질문들은 복잡하기 하지만 유별나게 어려운 것은 아닌 것 같다."

Little though I felt like it, I struggled out of bed and made my way downstairs.

"전혀 그러고 싶지는 않았지만 침대를 기어 나와 아래층으로 내려갔다."

Fail though I did, I would not abandon my goal. "실패했지만 내 목표를 포기하지는 않으려 했다."

→ Though I failed, I would not abandon my goal. (failed = did fail)

아주 드물게 동사가 선행된 경우이다.

(3) ~ that S + V

Naked that I was, I braved the storm. "나는 발가벗은 상태였지만 폭풍에 용감히 맞섰다."

→ Though I was naked, I braved the storm.

'that'은 보통 때는 양보의 접속사로 쓰이지 못하지만 보어가 선행된 경우 양보의 접속사로 쓰일 수 있다.

Jim, fool that he was, completely ruined the dinner. "짐은 바보여서 식사를 완전히 잡쳐 놓았다."

보어가 선행되면서 부정관사는 탈락된 것인데 'that'은 드물게 이유의 접속사로 쓰이고 있다.

(4) (as) ~ as S + V

As strange as it may seem, I never really wanted to be rich. 

"아주 이상하게 들리겠지만 정말로 부자가 되길 원했던 적은 결코 없었다."

← Though it is as strange as it may seem, I never really wanted to be rich.

여기서 'it'은 주절 전체를 받는다. 'it may seem x strange; it is y strange; x = y = as'의 구조로 파악되므로 '이상하게 들릴 수 있는 만큼 그만큼 이상하다'라는 것은 '아주 이상하다'라는 뜻이다주절 전체와 동일한 'it'을 삭제하면 'is'도 삭제되고 상황 상 알 수 있는 접속사 'Though'도 생략해서 만들어진 분사구문이다이런 경우 'as 형용사 as S V'는 '아주 하지만'으로 해석한다.

Though it may seem very strange, I never really wanted to be rich.

Strange as it may seem, I never really wanted to be rich.

간혹 앞의 'as'가 이처럼 생략되기도 한다.

As strange as it may sound, he became best friends with a stray dog.

"아주 이상하게 들리겠지만 그는 떠돌이 개와 친구가 되었다."

Though as strange as it may sound, Brazil is a country where race can also be judged by economic status.

"아주 이상하게 들리겠지만 브라질은 인종이 경제적인 지위로 판단될 수 있는 나라다."

드물게 앞의 양보 접속사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Unlikely as it sounds may / might sound, what I'm telling you is true.

"불가능한 얘기로 들리겠지만 내가 말하는 건 사실이야."

'may' 대신 'might'를 사용하기도 하고 그냥 현재형을 쓰기도 한다.

As unlikely as it may sound, this sorrow is the gateway to lasting happiness.

"불가능하게 들리겠지만 이 눈물은 영원한 행복으로 가는 관문이야."

A wedding isn't just about the couple though as contradictory as that may sound. To me it is about making a promise and celebrating with the people you love. "결혼식은 아주 모순적으로 들리겠지만 중요한 건 당사자가 아니다. 내겐 그건 약속을 하고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축하하는 것이다."

Well, hard as it may be to believe, it absolutely is true!  "뭐, 믿기 아주 어렵겠지만 절대적인 사실이야."

As hard as it may be to accept, divorce is an opportunity. "받아들이기 아주 어렵지만 이혼은 기회여."

I think, though as hard as it may be, parents need to let their children, once married, make their own decisions.

"내 생각에 아주 어려운 거지만 부모는 일단 자식이 결혼하고 나면 스스로 결정하게 허용해야 한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