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 문법 3000 Plus2021. 12. 17. 17:33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Rfwj6URid14

[ET75-1-3]3226. ⋆⋆ [조선대학교 2005-1]

Man : Did the Sullivans return from their vacation?

Woman : They _______________ . I think I saw a light on in their house.

Man : Thanks. I'll call them to come over.

(A) couldn't have                     (B) might have been

(C) couldn't have been               (D) might have

[ET75-1-3]3226. ['가정법이 아닌 might have PP']

정답 - D : 불이 켜진 것을 보았으니까 돌아왔을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어야 한다.

They might have (returned from their vacation). : 이 경우는 'might'만 쓰면 'They might (return from their vacation).'이 되어서 원형 이하 반복되는 것을 표시한다두 번째 조동사인 'might have'까지 써야 과거분사 이후 반복되는 것이 생략되어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might have PP'가 가정법이 아니라 'may have PP'와 같은 뜻으로(It is possible that they have returned ~) 쓰인 경우이다.

[해석남자 : Sullivan씨 부부는 휴가에서 돌아왔나요여자 아마도 돌아왔을 거예요집에 불이 켜진 걸 봤으니까요남자 고마워요전화해서 건너오라고 할 겁니다.

[핵심 문법조동사와 시제 대체(Tense Replacement) 

(4) 가정법이 아닌 might could have PP

He might have got a train already. "이미 열차를 탔는지도 모른다."

→ It is possible that he has already got a train.

'might have + PP'는 대부분은 가정법으로 쓰이지만 간혹 'may'를 쓴 것보다는 조금 약한 가능성을 갖고 추측하는 용법으로도 쓰인다.

For all I knew, he might have done it. "내가 아는 한 그가 했었을 가능성도 있었다."

아주 드물게 'might'가 '과거 당시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 For all I knew, it was possible that he had done it.

The answer could have been right.  "그 대답은 혹 옳았는지도 모른다."

→ It is possible that the answer was right.

'could have PP'는 거의 가정법으로 쓰이지만 아주 드물게 과거에 대한 추측으로 쓰인다.

You might have brushed the dirt off your shoes at the entrance.

"마땅히 현관에서 구두의 흙을 떨어버리고 왔어야 되는 거 아냐."

You might have told me. (reproach)

You might have phoned to say you were bringing friends with you. I can't produce dinner for six people at a moment's notice.

'might'가 비난조로 'might have PP'가 '마땅히 ~했었어야 했다'로 가정법으로 쓰인 경우들이다.

(5) should ought to have PP

과거의 발생되지 않은 일에 대해서 의무를 부과하여 '~했었어야 했는데'라고 말하는 표현이다.

You should have seen it.  "너는 그것을 보았어야 했는데."

That man should really have had his license revoked.

You ought to have seen it.  "너는 그것을 보았어야 했는데."

'ought to have + PP'도 같은 뜻으로 쓰인다.

should have left London before 9, but I didn't / *and I did.

had to leave London before 9 and I did.

'should have PP'는 '하지 않았다'라는 뜻이므로 뒤에 'and I did'가 올 수 없다.

It should have been a great surprise to him, for he turned pale.

"그것이 그에게 큰 놀라움이었음이 틀림없다얼굴이 창백해졌던 것으로 보아서."

드물게 'should ought to have + PP'는 'must have + PP'와 비슷하게 '~이었음이 틀림없다'라는 인식형으로도 쓰인다.

He should ought to have arrived yesterday.

① 인식형 = I think he probably arrived yesterday.

② 구속형 = He failed in his duty to arrive yesterday.

대부분은 처럼 구속형으로 사용되지만 드물게 처럼 인식형으로도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혼동의 여지가 있다.

(6) 미래 완료가 아닌 will have PP

You will have heard of it.  "그것에 대해 아마 들으셨을 겁니다."

여기서 'will'은 '합당하다는 인식'의 'will'로 정황 상 들어본 적이 있는 것이 합당한 판단이라는 뜻을 표현한 것이고 여기서는 미래 완료는 아니다.

They'll have been on holiday all last week. "그들은 아마도 지난주 내내 휴가 중이었을 겁니다."

She will have posted the letter yesterday.  "그녀는 어제 편지를 부쳤을 겁니다."

→ It is probable that she posted the letter yesterday.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