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uBvRQZKJGDc
3604. [아주대학교 2020]
Conservatives viewed equality (A)[as another pernicious abstraction] that (B)[was contradicted] all historical experience. For conservatives, society was naturally hierarchical, and (C)[they believed that] some men by virtue of their intelligence, education, wealth, and birth (D)[were best qualified to] rule and instruct (E)[the less able].
3604. [수동태 뒤의 명사]
B : [was contradicted] → [contradicted] : 수동태 뒤에 명사가 따르는 경우는 본시 능동문에서 목적어가 두 개인 경우만 가능하다. 'contradict'는 거의 타동사로 사용된다. 4형식으로도 사용되지 않는다 ['contra'(against) + 'dicere'(speak)][ㅎ 사전]로 '반박해서 말하든지 서로 맞지 않는다'의 뜻이다. ]
He did not like to agree with him in everything and felt a wish to contradict.
"그는 모든 것에서 (다른) 그의 견해에 동의하고 싶지 않았고 반박하고 싶었다."
상황상 알 수 있는 경우에 목적어가 생략되고 이처럼 드물게 자동사로 사용되기도 한다.
E : 'the ~ 형용사'로 사용되고 있다.
[해석] 보수주의자들은 평등이라는 것을 모든 역사의 경험과 어긋나는 또 하나의 해로운 관념으로 보았다. 보수주의자들에게 사회는 자연스레 위계가 있어서 이들은 지능, 교육, 부, 태생에 의해서 능력이 딸리는 사람들을 지배하고 지시할 자격이 충분하다고 믿었다.
3605. [단국대학교 2020]
Until Louis Pasteur discovered germ, the origin of many diseases [ ] scientists.
(A) confounded (B) were confounding (C) was confounded (D) were confounded
3605. [감정 동사와 감정 분사]
정답 - A : confounded : 감정과 관련된 동사로 'confound'는 '함께'(con- : together) + 'fundere : pour'(쏟아붓다)가 합쳐져서 당황, 혼동의 뜻이 된다. 'confuse'도 거의 같은 어원이다.
참고로 분사가 형용사로 서술하거나 수식할 경우라면 현재 분사는 감정을 준다는 뜻이고 과거 분사는 감정을 받는다는 뜻이다.
[해석] 루이 파스퇴르가 병원균을 발견하게 될 때까지는 많은 질병들의 원인은 과학자들을 당혹스럽게 했다.
B, D : 주어가 'origin'으로 단수이므로 'were'는 틀린 표현이다.
C : 수동태 뒤에 명사가 따를 수 없다. 'confounded'가 'scientists'를 수식한다면 '당혹감을 받은', 즉 '당황한 과학자들'이 되겠지만 이게 'origin'이 될 수는 없다.
3606. [한국외국어대학교 2020]
(A)[Success] stories are a frequently investigated (B)[genres] of culturally (C)[shared] narratives in areas (D)[such as] literature, journalism and sport.
3606. ['a'와 한참 떨어진 복수형 + 조어법]
정답 - B : → [genre] : 'a'와 한참 떨어져 있지만 단수인 'genre'를 사용해야 한다.
genre [ʒάːnrə; F.ʒαːr] : (프랑스어) 종류, 유형; (예술 작품의) 장르; 풍속화법
A : success stories ← stories about success : 성공에 대한 이야기
successful stories ← stories full of success : 성공적인 이야기 [이야기 자체가]
[해석] 성공에 관한 이야기들은 문학, 저널리즘 그리고 스포츠 같은 분야에서 문화적으로 공유되는 담화들의 자주 탐구되는 장르다.
3607. ** [이화여자대학교 2020]
Choose the faulty expression from among the five underlined choices.
We also nee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existing technology--(A)[many of the current technology are] underutilized. The cost of operating IT (B)[can be reduced by, for example, applying the concept] of virtualization to end user computing devices, (C)[allowing applications] to be hosted on centralized servers, making it easier and cheaper for IT to provide new mobile computing services and (D)[increase the utilization of licenses]. The key to dramatically increasing innovation capacity (E)[is to shift IT] from low to higher value-added activities so that they can enable the IT capabilities of the rest of the enterprise.
3607. [양쪽형 명사의 일치와 'last and'가 사용되지 않은 예 들기]
정답 - (A) [many of the current technology are] → [many of the current technologies are] : 일부러 'many'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복수 중에서 많은 것들이므로 'technologies'를 사용해야 한다. 'technology'를 불가산으로 사용하려면 긍정문이므로 'much'는 곤란하고 'a lot of'를 사용할 수는 있겠다. (물론 'is'를 사용하고)
'technology'는 양쪽형 명사로 불가산 명사로 많이 사용된다. 기본적으로 'knowledge' 전체로 보면 불가산이지만 개체화시켜 'art, method'로 보면 단수나 복수로 사용되기도 한다.
Technology is changing fast.
They should be allowed to wait for cheaper technologies to be developed.
Many people are unwilling to embrace new technologies.
People have no faith in new technology.
It is a highly developed technology but requires a water source.
D : 'to {[provide ~] and [increase ~]}'로 병치되고 있다.
C : by {, for example, [applying ~], [allowing applications ~], [making it ~]} : 예들기의 경우 'A와 B와 C까지만 예를 들고 더 예를 들지 않는다'라는 의미로 'last and'를 사용하지 않고 있다.
from low to higher value-added activities = from low (valued activities) to higher value-added activities : 역행 생략
E : 'The key to ~ing'지만 'is'의 보어로는 'to 부정사'가 따른다.
[해석] 우리는 또한 현존하는 과학기술의 이용도를 높여야 한다. 현재의 과학기술 중 많은 것들이 덜 이용되고 있다. IT를 작동시키는 비용은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가상 현실의 개념을 최종 유저의 컴퓨터 사용 장치에 적용하거나, 앱을 중앙 서버에 놓도록 허용하거나 IT가 새로운 모바일 컴 서비스를 제공하고 라이선스 이용을 증가시키는 것을 더 쉽게 하는 식으로 말이다. 혁신 능력을 극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의 관건은 IT를 낮은 부가 가치의 활동에서 더 높은 부가 가치의 활동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나머지 일들의 IT 활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