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동사2022. 5. 9. 01:38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 https://youtu.be/u3ZoXC1TkSA

#1. McGovern got on the radio and called one of the agents inside the house.

  "Put Marino (A)[   ]," she said.

  After a brief wait, Marino's voice came over the air.

  "Go ahead," he said.

  "Party's taking off. You going along?"

  "I'll stick to the ground," his answer came back. "Gonna help out here first."

  "Got it. We appreciate it."

  "Tell them to fly safe," Marino said.

 

#2.  When he talks about his success, I can tell that he's just putting it (B)[  ].

#3.  I'm afraid that the sudden rainfall has put the kibosh (C)[  ] our garden party.

# (A)와 (B)와 (C)에 공통으로 들어갈 단어는?

[#1. 해석] 맥거번은 무선기를 켜서 집안에 있는 요원들 중의 한 명을 불렀다.

    "마리노 대줘요."라고 그녀는 말했다.

    잠시 후에 마리노의 목소리가 공기 너머로 건너왔다.

    "말씀하세요."라고 그는 말했다.

    "일행은 간다고 하네요. 같이 가실 겁니까?"

    "전 지상에 더 있을 거예요."라는 답변이 돌아왔다. "먼저 여길 도울 겁니다."

    "알았어요. 우린 고맙죠."

    "안전 비행하라고 말해줘요."라고 마리노는 말했다.

[#2. 해석] 자신의 성공에 대해 말할 때 나는 그가 그냥 허풍을 떨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해석] 어쩌죠. 갑작스럽게 내린 비가 우리의 가든파티를 끝장낸 것 같아요.

[답] (A)와 (B)와 (C) : on

 

​[어휘 또는 표현]

kibosh [káibaʃ] : 끝; 허튼소리; 잠꼬대 [어원 불명]    put the kibosh on ~ : ~을 찍소리 못하게 하다; 아주 결딴내다; 끝장을 내다 ['kill'(끝장)과 연상시킨다.]

[해설]

[put it on]

① 바가지 씌우다 ← 돈을 더하여 청구하는 데서 :  to charge too much:

I refuse to shop at that store any more, they are well known for putting it on.

② 과장하다 ← 말을 더하는 데서 : to overstate something :

[5형식 위치형]

Putting the child on his back, he continued the long walk home. "아이를 등에 업고 집으로의 먼 걸음을 이어갔다."

'등에 놓고', '등에 붙이고'에서 '등에 업고'로 해석할 수 있다.

If I put another inch on my waist, I shan't be able to wear this dress.

"허리가 1 인치 더 늘면 이 드레스는 입을 수 없을 거다."

[허리에 1 인치 더 붙이는 데서]

The restaurant puts an additional charge on the bill to cover increased costs.

"이 레스토랑은 인상된 비용을 보전하기 위해서 계산서에 추가적인 비용을 더하였다."

[추가적인 비용을 계산서에 덧붙인 것'에서]

Who are you putting on the special report? (Who = Whom) "특별 보고서는 누구에게 맡길 겁니까?"

[특별 보고서에 누구를 배치하는 것에서]

Make sure you don't put the wrong construction on his remark. (to decide the meaning of something)

"그의 말에 확실히 잘못된 해석을 붙이지 말아라."

construction²: (법률·텍스트·행위 등의) 해석, 해설, 설명 cf, 'construe'의 명사형

[구동사 'put on']

If I put on θ another inch, I shan't be able to wear this dress. (to gain (weight or size))

"1 인치 더 늘면 이 드레스는 입을 수 없을 거야."

'my waist'가 생략되고 'on'은 부사로 쓰인 경우이다. 'put another inch on θ'에서 무거운 'another inch'가 부사인 'on' 아래로 내려간 경우이다.

How can I have put on θ a pound since yesterday? I've eaten nothing!

"하루 만에 1 파운드가 찔 수 있지? 그 새 아무것도 먹지 않았는데!"

'my body (or my weight)'에 1 파운드를 올려붙인 것에서.

How much (weight) did you put on θ over Christmas? "크리스마스에 얼마나 찐 거야?"

'몸에 얼마나 붙인 것'에서

He put his coat on θ hurriedly and ran out of the house. "그는 서둘러 코트를 걸치고 집에서 뛰어나갔다."

우리말로도 상황이 뻔하므로 '겉옷 위에 걸치고'라 하지 않고 '위에 걸치고'라 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Wait a minute, Mum, I'll put Joe on θ . "엄마, 잠깐만요. 조 바꿔줄게요."

'on' 다음에 생략된 것은 'the phone'이다.

[본문]

  McGovern got on the radio and called one of the agents inside the house.

  "Put Marino (A)[on]," she said.

'on' 다음에는 'the radio'가 생략되어 있는 셈이다.

Phone me as soon as you leave the office and I'll put the dinner on θ , so that it's ready when you get home.

"사무실을 떠날 때 바로 전화해줘요. 그러면 저녁 하기 시작할게요. 당신이 집에 왔을 때 준비되도록." (to start cooking)

'the stove'가 생략되고 on은 부사로 쓰이고 있다. '저녁 올려놓을 게요'에서.

I'm putting you on θ next; are you ready?  "다음번에 올립니다. 준비됐지요?"

여기서는 'the stage' 또는 'sports field'가 생략된 것이다.

The school always puts on θ a concert and a show of the children's paintings in the week before Christmas.

"이 학교는 크리스마스 주간에는 항상 콘서트를 올리거나 아이들의 그림 전시회를 연다." (to cause something to take place)

'올리는 것'은 '여는 것'과 비슷한 뜻이다.

The train put on θ speed as soon as it reached the long stretch of track. (to increase (speed))

'(스피드에) 'speed'를 올려놓는 것'은 스피드를 올리는 것이다.

British rail will put on θ an additional train to carry the expected crowd of football supporters. (to add existing services) "영국 철도 회사는 예상되는 축구 서포터스 무리들을 나르기 위해 추가적으로 기차를 증편했다."

'(기존 배차 편에) 기차를 더 올려놓는 것'은 '증편하는 것'이다.

In spring we put the clocks on one hour, to take advantage of the summer daylight. (to move the hands of (a clock or watch) to a later time)

"한 시간 앞당긴다."

여기서 'on'은 'ahead'나 'forward' 뜻의 부사이다. '앞으로 위치시키는 것'은 '앞당기다'라는 뜻이다.

He put on θ a pretense of bravery, but we all knew that it was false. (pretend; deceive by means of (something))

"그는 용감한 척했지만 우리 모두는 그것이 거짓임을 알았다."

pretend : ~척하다; 가장하다; 흉내 내다; 속이다 : (L pre : before + tendere : to stretch) [앞으로 뻗어 내세운 데서]

'on'은 'onward'(앞으로는, 전방으로)의 뜻의 부사다.

Don't listen to her, she's just putting on an act. "그 여자 말 듣지 마세요. 그냥 연극을 하는 거예요."

act : 연극(조의 행동), 꾸밈, 시늉

My neighbour is always putting on θ airs, pretending she knows important people and is invited to rich parties, and so on. (put on airs : to pretend to be very grand : 거드름 피우다, 잘난 체하다)

얼굴과 어깨 등등에 공기가 들어가 불룩, 불룩 솟은 것을 상상하면 'airs'가 잘 이해된다.

I don't believe you, you're just putting me on θ. (to deceive (someone) into believing something for fun)

"안 믿어. 너 괜히 비행기 태우는 거지."

'장난으로 비행기 태우는 것'이 '속임수'에 해당되는 것을 상상하면 이해가 쉽다.

[라틴 동사 'tendere']

extend [iksténd] : (손발을) 뻗다; 연장하다; (뜻을) 확대하다 : (L ex : out + tendere : to stretch)

pretend : ~척하다; 가장하다; 흉내 내다; 속이다 : (L. pre : before + tendere : to stretch) [앞으로 뻗어 내세운 데서

contend [kənténd] : 다투다, 싸우다; 논쟁하다; 강력히 주장하다 : (L com + tendere : to stretch) [서로 주먹을 뻗는 데서]

contentious[kənténʃəs] : 논쟁[싸움]을 좋아하는;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 (L tendere : to stretch)

distend [disténd]: (사방으로) 확장시키다[하다]; 팽창시키다[하다]; 부풀(게 하)다 : (L dis(completely) + tendere : to stretch) [완전히 펼쳐지는 데서]

distention [disténʃən] : 확장하기, 확장됨, 팽창[확장] 작용

attentive [əténtiv] : 주의 깊은; 친절한; 정중한; 경청하는 : (L ad + tendere : to stretch) [눈과 귀를 뻗는 데서]

intent [intént] on ~ : ~에 열심인; 열중하고 있는; 집중된 : (L in + tendere : to stretch) [몸을 뻗어서 집중한 상태에서]

ostensible [asténsəbl] : 표면상의, 겉보기만의 : (L os, obs, ob : in front of + tendere : to stretch) [앞에 펼쳐 있는 데서]

pretentious [priténʃəs] : 자만하는; 젠체하는, 건방진 : (L before + tendere : to stretch) [앞으로 내미는 데서]

portentous [pɔːrténtəs] : 전조의; 중대한; 불길한; 경이적인, 놀랄만한; 엄청난, 거만한, 과장된 : (L por : forward + tendere : to stretch) ['por'가 미래를 뜻하면 전조의 뜻이 되고 눈이 앞으로 나올 정도로 중대하거나, 불길하거나, 경이적이고 얼굴이 앞으로 나오면 '거만한'의 뜻이 된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