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uFyMq7P7u-w
3769. *[세종대학교 2019]
I don't think (A)[going for] a walk is a good idea. It's quite cold, and, (B)[besides], it's (C)[getting late] and we don't like to be (D)[outward] in the dark.
3769. [부사의 방향과 위치 'outside'와 'outward']
정답 - D : [outward] → [outside] : 'outward'는 방향을 나타내는 단어로 'from inside to outside'을 나타냅니다. 방향을 나타내는 동사와 함께 이를테면 'move outward'나 'look outward'로 사용됩니다. 반면에 'outside'는 보통 위치를 나타냅니다. 'put it outside'(밖에 놓아라)나 'It was very cold outside.'(밖은 매우 추웠다.)로 위치를 나타냅니다. 'go outside'(나가 놀아라.)는 방향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그러나 본 문제처럼 'be'가 사용될 때는 방향이 아니고 위치를 나타내는 'outside'가 사용됩니다.
[해석] 산보 가는 거는 좋은 생각 아닌 거 같아. 아주 춥고 게다가 점점 늦은 시간이고 어두운 밖에 있고 싶지 않아요.
3770. [경기대학교 2019]
After working hard (A)[at] the office all day, I appreciate (B)[to come] home to my loving children, who (C)[recognize] my efforts on (D)[their] behalf.
3770. [부정사와 동명사의 선택]
정답 - B : [to come] → [coming] : 'appreciate'는 'price'를 높여 소중히 하는 것이므로 미래에 대한 얘기가 아니므로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한다.
[해석] 하루 종일 사무실에서 일하고 난 후에 집으로, 사랑하는 아이들이 있는 곳으로 가는 게 감사하다. 아이들은 내가 자신들을 위해서 애쓰고 있는 것을 안다.
[PT3-5]0073. [홍익대학교 2008-1]
I would appreciate ___________ me know what has happened there as soon as possible.
(A) at you letting (B) for you to let (C) you let (D) your letting
[PT3-5]0073. [부정사와 동명사의 선택]
정답 - D : 'appreciate'는 '고마워하다'의 뜻으로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한다.
[해석] 그곳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가능한 한 빨리 알게 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3771. [경기대학교 2019]
The manager went there (A)[on last night] at (B)[the behest of] the shareholders who hoped (C)[to resolve] the issue (D)[before the next] shareholders' annual meeting.
3771. [전치사 탈락형]
정답 - A : [on last night] → [last night] : 'next, last, every, this, that, coming'이 앞에 있을 때 시간 표시 전치사 'on'은 탈락시킨다.
[해석] 매니저는 다음 연례 주주 총회 전에 문제를 해결하기를 희망했던 주주들의 요청에 따라 어젯밤 거기에 갔었다.
3772. **[강남대학교 2019]
Security on the Korean Peninsula would be shaken [ ] the South-North talks on mutual disarmament in the DMZ collapse.
(A) would (B) should (C) could (D) unless
3772. [가정법 표시사와 도치]
정답 - C : [should] : 주절에 'would'가 사용되고 있으므로 조건절도 가정법이어야 한다. 도치된 가정법 표시사를 아래로 내려보내고 'if'를 살리면 'if the ~ talks ~ should collapse'로 좀 더 실현 불가능한 가정법인 'should 가정법 조건절'이 있는 셈이다.
A : 본시 가정법 조건절에는 가정법 표시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would'가 도치되어 조건절을 표시할 수가 없다. 물론 의지 미래인 경우 'If you would(의지 미래) help us, we could finish early.'로 사용될 수가 있고 겸손한 표현으로 'I would be grateful if you will / would let me know soon.'처럼 'would'가 사용되기는 한다.
C : 드물게 'if 절 내에 'could'가 사용되기는 한다. 'If I could / might see my native land, I would die a happy man.
그러나 'could'가 도치되면서 'if'를 대신하는 표현은 극히 예외적으로만 사용된다. 'but'나 'only'가 있을 경우에만 드물게 도치해서 조건절을 표시할 수 있다.
Could / Might I but / only see my native land, I would die a happy man.
D : 'unless ~ collapse'는 가정법이 아니다. 과거 꼴이 없으면 가정법이 아니다.
'편입 문법 3000 Pl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774회] (0) | 2022.07.04 |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773회] (0) | 2022.07.02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771회] (0) | 2022.06.27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770회] (0) | 2022.06.26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769회] (0) | 2022.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