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 문법 3000 Plus2022. 11. 3. 17:45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Njs_elW0qY8

 

3987. [가천대학교 2017]

(A)[What] is at stake here is not the intensity of feeling but our discomfort about its spectacular display. Emotion may be strongly (B)[feeling], but it must be rendered (C)[invisible], private, personal; emotion must not be allowed (D)[to have] a decisive impact upon social interactions.

3987. [능동과 수동]

정답 - B : [feeling] → [felt] : 감정(emotion)은 스스로 느낄 수 없고 사람이 느끼는 것이므로 수동이어야 한다.

[해석] 여기서 위태로운 것은 감정의 강도가 아니라 그것이 화려하게 보이는 것에 대한 우리의 불편함이다. 감정은 강하게 느낄 수 있지만 보이지 않게, 사적인, 개인적인 것이 되어야 한다. 감정은 사회 교류를 할 때 분명한 영향을 끼치게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

3988. [경기대학교 2017]

When private property (A)[came into] existence, and when private property (B)[could inherit] by one of their sons, fathers began (C)[to look] for the son (D)[to whom] they could leave their property.

3988. [능동과 수동]

정답 - B : [could inherit] → [could be inherited] : 재산은 능동으로 물려주는 행동을 하지 못하므로 수동이 되어야 한다.

[해석] 사유 재산이 생겨났을 때 그리고 사유 재산이 아들 중의 한 명에 의해 상속될 수 있었을 때 아버지들은 자신들의 재산을 물려줄 수 있는 아들을 찾기 시작했다.

3989.** [상명대학교 2017]

It believes it is time (A)[to reconsider] our (B)[long-holding] belief that animals (C)[should be kept] out of hospitals and (D)[away from] (E)[sick people].

3989. [명사 앞의 조어법]

정답 - B : [long-holding] → [long-held] : '*the belief we long hold'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표현이다. '현재 시제의 전에도, 지금도, 앞으로도의 개념'과 오래(= for long)라는 기간이 맞지 않기 때문이다. 이게 성립된다면 'we'는 'our'로 'the'를 대신하고 'long-holding'을 'belief' 앞으로 옮겨 놓을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쓰이지 않는 표현이다. 'the belief we have long held'가 흔히 사용되는 표현이다. 현재 완료와 기간(long)이 잘 연결되어서이다. 하지만 'have long held'는 능동과 완료가 섞여서 전치 수식으로 전환할 수 없다. 'the belief that has long been held by us'는 완료와 수동이 기간(long)과 잘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다. 'has been'이 생략되면 물론 'that'도 없어지고 'by us'는 'our'로 'the'를 없애고 'long held'를 전치 수식으로 옮기면 'our long(-)held belief'가 흔히 사용된다. 어려우므로 표현법으로 'long-held'를 기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석] 동물은 병원에서 내놓아서 환자들부터 떨어지게 해야 한다는 우리의 오래된 믿음을 다시 생각할 때라고 그 단체는 믿는다.

3990*** [서강대학교 2017]

As speakers, we usually do not think about what we are saying sound by sound, or even syllable by syllable, (A)[ ] communication breaks down.

(A) lest (B) unless (C) provided (D) as

3990. ['unless 직설법'과 '추정형 lest']

정답 - B. unless : 'unless'는 'if not'의 뜻으로 사용되며 뒤에 가정법이 따르지 않는다고 배워왔다.

A : 'lest' 다음에는 '원형'이나 'should 원형'을 사용한다고 외운다.

[해석] 화자로서 우리는 소리와 소리로 또는 음절과 음절로 우리가 말하는 것에 대해서 보통 생각하지 않는다. 의사소통이 끊어지지 않는 한 말이다.

['unless 용법']

~이 아닌 한, ~이 아니면, ~하지 않는다면, ~을 제외하고. ~이외에는 : if not, except that, except if

You can't get a job unless you have experience.

"당신은 경험이 있지 않는 한 일자리를 구할 수 없어요."

= You can only get a job if you have experience.

'unless'에서 'un-'은 제 중등 시절 배움과는 달리 'not'의 뜻이 전혀 아닙니다. 'on'의 뜻입니다. 발음이 약해지면서 'un-'이 사용된 것에 불과합니다. 'on less (than)'이나 'upon less'로 보면 됩니다. 더 풀어 말하면 'on a less footing or condition'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보다 적은 발판(이나 상황)이면'의 뜻으로 '최소한도의 조건'을 뜻합니다. 'unless'는 비단언 영역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not'이 없으니까요.

Unless you change your mind, I won't be able to help you.

= If you don't change your mind, I won't be able to help you.

"당신이 마음을 바꾸는 것보다도 더 적은 변화면 당신을 도울 수 없어요."

최대한 원래의 뜻에 맞춰서 해석해 보았다.

Unless the management improve their offer, there'll be a strike.

"경영진이 제안을 개선하는 거 이하면 파업이다."

(A)[unless] communication breaks down

'의사소통이 끊어지는 것 이하면' → '의사소통이 끊어지지 않는 한'

She'd be better company if she didn't complain / *unless she complained so much. "그렇게 많이 불평하지 않으면 그녀는 좋은 친구(일행)가 될 텐데."

If you hadn't studied hard, / *Unless you had studied hard, you'd have failed the exam. "열심히 공부하지 않았더라면 너는 시험에 떨어졌을 거다."

'unless 가정법'은 맞는 표현이 아니고 'if ~ not'을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If it hadn't been for Zeke's daring rescue, / *Unless it had been for Zeke's rescue, we wouldn't be here.

"지크가 용감하게 구조하지 않았더라면 우리는 지금 여기에 없을 것이다."

?Unless my watch had been ten minutes slow, I could have caught the train.

"내 시계가 10 분이 늦지 않았더라면 기차를 탈 수 있었을 것이다."

'unless'에 가정법 과거 완료가 사용된 경우인데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Nothing, unless a miracle, can save him. "기적이 아니곤 도저히 그를 구할 수 없다."

'unless'가 전치사로 'except'의 뜻으로 사용된 경우이다.

Normal people tend to forget this process unless and until they are reminded of it.

[unless and until = until] "보통 사람들은 이 과정을 잊는 경향이 있다. 상기시켜 줄 때까지는.(= 상기시켜 주지 않는 한)"

['Putative should'(추정, 가정, 상상의 should)]

'putative'는 라틴어 'putare'(to suppose, think, reckon)에서 온 단어로 '상상 속의, 추정 상의'란 뜻을 갖는다. 'computer'나 'reputation'과 같은 어원이다. 평판은 '반복된 생각'에서 나오는 뜻이고 컴퓨터도 '함께하는 계산'에서 나오는 뜻이다.

I hope that he is here. "그가 여기 있기를 바란다."

It's unthinkable that he is here. "그가 여기 있다는 것은 생각할 수 없다."

It's unthinkable that he should be here.

"그가 여기 있다는 것은 생각조차 할 수 없다."

It's inconceivable that he should be here.

"그가 여기 있다는 것은 상상조차 안 된다."

'I hope' 다음의 종속절에서 '직설법 현재'가 쓰여도 종속절의 세계는 '희망에 따른 상황'이지 '사실의 상황'은 아니다. 'unthinkable' 다음의 'he is here'도 '직설법 현재'가 쓰이고 있지만 '생각 속의 상황'이지 '사실의 상황'은 아니다. 'inconceivable' 다음에 나오는 종속절도 '상상 속의 상황'이지 '사실의 상황'은 아니다. 이처럼 '사실의 상황'이 아니고 '생각, 추정, 상상 속의 상황'일 때 이를 표시하기 위해 'should'를 사용하는 데 이를 'Putative should'라고 하고 이를 '가정의 should'라고 옮기기도 하지만 이때 '가정'은 '가짜임을 인정한다'라는 뜻은 아니고 '사실의 상황이 아니'라는 뜻으로 이해해야 한다.

['putative should'와 'lest']

I daren't tell you what he did, for fear (that) he be / should be angry with me.

"그가 내게 화를 낼까 봐 그가 한 일을 감히 말할 수 없었다."

'for fear (that)'에 따르는 상황은 두려움의 추정 상황이어서 'putative should'나 '원형'을 사용한다.

Be careful lest you fall from the tree. "나무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조심하라."

Be careful lest you should fall from the tree.

'lest'는 원래 'thy læs the'의 뜻으로 'whereby less that'의 뜻이다. 'leste'였던 단어가 바뀐 것이지만 'thy'는 'whereby'로 보면 되는데 'lest'에는 'that'이 숨어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마치 '의하여 덜(les) ~하도록(that)'으로 이해하면 된다. '덜 ~하게 만든 상황 속'에서 말하는 것이므로 '추정의 should'나 '원형'을 'lest' 다음에 사용한다. 당연히 'lest'에는 'that'이 들어가 있으므로 뒤에 'that'를 사용하지 않는다.

And lest any of us forget / should forget, God created gentiles everywhere who constantly remind us. [lest : ~하지 않도록]

'lest'나 'for fear' 다음에도 'putative' 대신 'might'나 'would'가 쓰일 때도 있다.

I avoided mentioning the subject lest he be / should be offended.

"그가 기분 나빠할까 봐 나는 그 주제를 언급하기를 피했다."

She wanted no mechanical foul-ups, lest a performance by Danny require / should require a retake because of technical failure.

'lest = for fear that'은 여기서 '~할까 봐 두려워'의 뜻으로 쓰이고 있다.

I fear lest he die. "그가 죽을까 봐 / 죽지나 않을까 걱정이다."

I fear lest he should die.

There was danger lest the secret leak out. "비밀이 누설될 위험성이 있었다."

There was danger lest the secret should leak out.

이 경우들은 'lest'는 'that'을 쓴 경우나 뜻은 같다.

['감정의 should']

I'm surprised that he feels lonely.

I'm surprised that he should feel lonely.

'놀람'의 감정은 '원인'이 있어서 그 결과로 느끼는 감정인데 '원인'은 사실에 해당되는 것이므로 'that 절'에는 '직설법 현재'를 쓰는 것이 보통이다. 다만 'that 절'에도 감정의 색채를 나타내기 위하여 'should'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를 '가정의 should' 중에서도 특히 '감정의(emotional) should'라고 칭한다.

[가정의 should]

Are you willing that he should be permitted to resign?

Are you willing that he be permitted to resign?

"그의 사임을 기꺼이 허락하실 겁니까?"

Are you willing that he ?is permitted to resign?

I am anxious / eager that the affair be / should be settled down.

"그 문제가 해결되기를 바라고 / 열망하고 있다."

'willing', 'anxious', 'eager'에 뒤따르는 'that 절'에는 사실의 상황이 아니라는 점에서 '가정의 should'를 쓰거나 '가정법 현재(원형)'를 사용하며 '직설법 현재'는 의문시된다.

['청유형 should']

People are demanding that she should leave the company.

People are demanding that she leave the company.

People are demanding that she leaves the company. <esp BrE>

It is essential that the ban should be lifted tomorrow.

It is essential that the ban be lifted tomorrow.

It is essential that the ban (?)is lifted tomorrow. <esp BrE>

It is vital that we should be present.

It is vital that we be present.

It is vital that we are present. <esp BrE>

It is important that you should give me all the information.

It is important that you give me all the information.

They yielded to her request that they pay / should pay attention to the result of their experiment. “실험 결과에 주의해야 한다는 그녀의 요구에 따랐다.”

'명령'이나 '요구' 또는 '제안'등을 나타내는 동사나 형용사 또는 명사 뒤에 따르는 'that 절' 속에서도 이 상황이 사실의 상황이 아니므로 '가정의 should'를 사용하거나 '가정법 현재(원형)'를 사용한다. 저는 이것을 '청유형'이라는 명칭을 사용합니다. 미국식 영어에서는 '가정법 현재'를 주로 사용하고 영국식 영어에서는 '가정의 should'를 주로 사용하지만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다만 영국식 영어에서는 '직설법'의 형태가 쓰이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는 모든 사람이 옳은 용법이라고 여기지도 않으며 영국 영어에서의 이런 용법을 비판하는 학자들도 있으므로 이후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