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 문법 3000 Plus2022. 12. 22. 12:35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A5SQov-QTmY

 

4065. [아주대학교 2017]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part of our global culture, and (A)[their] impact on our everyday lives (B)[is] growing. Searching for news (C)[about] AI presents a deluge of information. Why not (D)[use] a little AI of our own (E)[to better handle] the task?

4065. ['intelligence'는 보통 불가산 명사 소유 한정사는 'its']

정답 - A [their] → [its] : 'intelligence'는 불가산 명사로 소유한정사는 'its'를 사용한다.

[해석] 인공지능(AI)은 우리의 세계 문화의 일부로 우리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그 영향은 증대되고 있다. AI에 관해서 뉴스를 검색해 보면 엄청난 정보의 홍수를 제공한다. 일을 더 쉽게 처리하기 위해서 우리 자신의 작은 AI를 사용해 보는 것은 어떠한가?

4066. [한국외국어대학교 2017]

Choose the one that is grammatically INCORRECT.

(A) I will leave a message to whoever may need to locate me.

(B) Whomever you may ask, you can't get a satisfactory answer.

(C) However much education you may have, you can always learn more.

(D) Whoever that may be interested is welcome to make an offer.

4066.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 'whoever'와 'whomever']

정답 - D [Whoever *that may be interested ~] → [Whoever may be interested ~]

: 'Whoever'는 여기서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로 'may'의 주어이면서 동시에 'is'의 주어로 사용되어야 한다. 'any person who'와 같은 뜻으로 뒤에 'that'이 따르면 안 된다.

[해석] 관심이 있는 사람은 누구든 제안을 해주기를 바란다.

A : 'whoever'는 'to'의 목적어로 동시에 'may'의 주어로 사용되고 있다.

[해석] 제 소재를 알 필요가 있는 사람 누구에게도 저는 메시지를 남길 겁니다.

B : 'Whomever'는 양보 접속사로 'ask'의 목적어로 사용되고 있다.

[해석] 누구에게 질문을 하더라도 만족스러운 대답을 듣지는 못할 겁니다.

C : 'However'가 'much'를 'much'가 'education'을 수식합니다. 한 덩어리로 앞에 나와 있지만 'have'의 목적어로 기능합니다.

[해석] 아무리 많은 교육을 받더라도 항상 더 배울 수 있습니다.

4067. [한양대학교 2017]

Technology has made (A)[it] necessary to switch to new forms of labor and modes of productivity. Along with privatization and deregulation (B)[instigated] neoliberal policies, this shifting work landscape has ushered people into more private and isolated spaces. The logic of a free market as well as mechanisms of power (C)[has] become the backbone of corporate decisions. Through the individualization of labor and the proliferation of precarious employment, exploitation and inequality become (D)[even greater].

4067. [후치 수식의 능동과 수동]

정답 - B [instigated] → [instigating] : 'Along with'(전치사) 뒤에 'privatization and deregulation'이 전치사의 목적어로 나오고 'this shifting work landscape'가 정동사 'has' 주격의 주어로 사용되고 있다. 사이에 있는 'instigated neoliberal policies'는 앞에 있는 'privatization and deregulation'을 후치 수식해야 하는데 자체에 목적어가 따르고 있으므로 현재 분사인 'instigating'이 사용되어야 한다.

instigate [ínstəgèit] : 선동하다, 부추기다 : (L in- : towards + stigare : prick, incite) [향해서 막대기로 찌르는 데서]

C : 'The logic'이 주어이므로 정동사는 'has'를 사용하는 것이 맞다.

D : 'even'은 비교급 앞에서의 강화 수식사이다.

[해석] 기술은 새로운 형태의 노동과 새로운 방식의 생산으로 전환을 필요하게 한다. 신자유 경제적인 정책들을 부추기는 민영화와 규제 철폐와 더불어 이러한 노동의 지형 변화는 사람들을 더 사적이고 고립된 공간으로 이끌은 바 있다. 권력의 메커니즘은 물론이고 자유 시장의 논리는 기업체의 결정들의 중추가 되어 있다. 노동의 개별화와 불안정 고용의 팽창을 통해서 착취와 불평등이 더욱더 커지게 된다.

4068. [홍익대학교 2017]

In Amish communities there is a practice (A)[called] rumspringa: at seventeen, their children (until then (B)[subjected] to strict family disciple) are set free, allowed, even encouraged, (C)[going] out and learn and experience the ways (D)[of] the "English" world around them.

4068. [삽입적 병치와 'be allowed to 부정사']

정답 - C [going] → [to go] : 'to {[go out]} and {learn and experience the ~}'로 병치되어야 한다. 'be allowed to 부정사'로 사용되어야 한다. ', [even encouraged]'는 삽입적 병치로 양쪽에 콤마로 분리되어 있다. 없는 것으로 이해하고 풀어도 된다.

[해석] 아미시파 교단에서는 '럼스프린가'라 불리는 관습이 있다. 17 살에 아이들은 (그때까지는 엄격한 가정 교육을 받다가) 해방되어서 나가서 자신들 주변의 '영국' 세상의 방식들을 배우고 경험하는 게 허용된다. 심지어 권해지기도 한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