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 문법 3000 Plus2022. 12. 29. 03:35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e_lOEwFy_I

 

4077. [한양대학교 2017]

A distinction between two kinds of intelligence--crystallized and fluid intelligence--(A)[has been widely studied] by researchers studying adult learning. Crystallized intelligence (B)[is heavily dependent] on education and experience. It (C)[is consisted of] the set of skills and knowledge that we each learn as part of growing up in any culture. Fluid intelligence, in contrast, (D)[is though to be] a more basic set of abilities, not so dependent on specific education.

4077. [수동 불가능한 동사 'consist']

정답 - C [is consisted of] → [consists of] : 'consist'는 'con'(함께)과 'sistere'(stand)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것이므로 자동사로 수동태가 될 수 없다.

[해석] 두 가지 종류의 지식, 즉 결정화된 지식과 유동성 지식의 차이는 성인 학습을 연구해온 사람들에 의해 널리 탐구되어 왔다. 결정화된 지식은 교육과 경험에 크게 의존한다. 그건 우리가 각자 어떤 문화 속에서 성장하는 일환으로서 배우게 되는 일단의 기술과 지식으로 구성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유동성 지능은 더 기본적인 일단의 능력으로 생각된다. 특정한 교육에 그렇게 의존하지 않는.

4078. [아주대학교 2017]

He believes that sharks are eating [ ] calories because of the boats and snorkelers.

(A) less and take less

(B) less and taking fewer

(C) fewer and taking fewer

(D) less and taking in fewer

(E) fewer and taking in less

4078. [수와 양의 한정사와 구동사]

정답 - D [less and taking in fewer] : 일반적으로 먹는 것은 양으로 보기에 'eating'의 목적어는 'less'를 주로 사용한다. 'calorie'는 가산 명사로 여기서도 가산 복수형(calories)으로 사용되고 있다. 당연히 앞에는 가산에 사용되는 'fewer'가 사용되어야 한다. '안으로 취하는 것'이 섭취의 뜻이므로 'take in'을 진행형으로 'taking in'을 사용해야 한다.

A, E : 'less'는 'calories'와 연결되지 못한다.

[해석] 그는 상어들이 배와 스노클로 잠수하는 사람들 때문에 덜먹고 따라서 더 적게 칼로리를 섭취하고 있다고 믿는다.

4079. [서울여자대학교 2017]

Exactly [ ] we can replace our soil disappearing through erosion is not known.

(A) unless (B) since (C) how (D) what

4079. [간접 의문문 의문사 'how'와 'what']

정답 - C : [how] : 전체 문의 주어는 정동사 'is'이므로 'we can ~'가 주어가 되기 위해서는 간접 의문문 의문사가 사용되어야 한다. A와 B는 부사절을 이끄는 부사절 접속사이므로 곤란하고 간접 의문문 의문사로 사용되는 'how'나 'what'이 답이 될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what'은 명사이므로 자체 절에서 명사가 들어가 자리가 있어야 하는데 'replace'(동사) + 'our soil ~'(목적어)가 있으므로 들어갈 자리가 없어서 곤란하다. 'how'가 답이 된다.

[해석] 부식을 통해서 사라지는 우리 토양을 우리가 정확하게 어떻게 대체할 수 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4080.* [광운대학교 2017]

다음 중 어법상 적절하지 않은 것은?

(A) Let ABC be a triangle whose sides are of equal length.

(B) The mattress that he slept on had several broken springs.

(C) A preposition is an abomination up with we will not put.

(D) The guy that hired Robert was the manager of the supermarket.

(E) The reports the size of which the government prescribes are boring.

4080.*[구동사의 결합형]

정답 - C [ A preposition is an abomination *up with we will not put.]

→ A preposition is an abomination we will not put up with Ø.

'put up with'는 결합형이 되어야 의미를 알 수 있어서 'up with'를 동반 이동시키지 못한다. 뒤에 보류 시켜야 한다.

[해석] 한 전치사는 우리가 견딜 수 없는 혐오스러운 것이다.

A : 'are of'는 'have'의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whose sides'는 'that'과 싸우면 2 : 1로 무조건 이긴다.

[해석] ABC는 변의 길이가 같은 삼각형이라고 하자.

B : 'The matress that he slept on Ø'에서 'that'가 'which'와 싸워서 이긴 경우이다.

[해석] 그가 잔 매트리스에는 몇 개의 스프링이 깨어져 있었다.

D : 'that'는 주격 관계사로 사용되고 있다.

[해석] 로버트를 고용한 사람은 슈퍼마켓의 매니저였다.

E : 'the size of which the government prescribes'는 'the government prescribes the size of which'에서 'the size of which'가 한꺼번에 앞으로 동반 이동한 것이다. 무조건 'that'가 싸우면 이긴다.

[해석] 정부가 크기를 규정한 보고서들은 지루하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