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E6fDersCNQc
4073. [서울여자대학교 2017]
Because hybrid cars use [ ] than traditional cars, they could help reduce or even eliminate our dependence on foreign oil.
(A) so little fuel
(B) so much less fuel
(C) less fuel so much
(D) so much fuel less
4073. [열등 비교와 비교 강화 수식사]
정답 - B [so much less fuel] : 'than'이 따르므로 앞에 비교급이 있어야 한다. 'less fuel'은 열등 비교지만 비교급이다. 'much'는 비교급의 강화사로 'less'를 강화 수식할 수 있다. 또 'so'는 부사 'much'를 강화 수식할 수 있다.
A : A는 비교급이 없어서 곤란하다.
C, D : 열등 비교지만 기본적으로 'use y fuel'과 'use x fuel'의 비교이므로 D는 'less'가 'fuel' 앞에 없어서 곤란하다. C는 'so much'가 부사로 사용되어야 하는 데 더 적게 사용하면서 '더 많이'란 부사로 동사를 수식할 수 없다.
[해석]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전통적인 차들보다 아주 훨씬 더 적은 연료를 이용하기 때문에 외국산 기름에 대한 우리의 의존을 줄이거나 심지어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4074. [아주대학교 2017]
Architecture in colonial times in North America (A)[was greatly influenced] by European styles. (B)[The English settlers] modeled their private houses and buildings (C)[at English styles]. The Swedes in Delaware (D)[introduced] the log cabin. (E)[The French] influenced architecture in Quebec and Louisiana.
4074. [동사 결합 동사]
정답 - C [at Engish styles] → [after English styles] : 'model A after B'의 동사 결합 구조이므로 전치사는 'after'(본떠서)를 사용해야 한다.
[해석] 식민지 시대의 북아메리카의 건축은 유럽 스타일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영국인 정착민들은 자신들의 집과 건문들을 영국 스타일을 본받아 만들었다. 델라웨어의 스웨덴 사람들은 통나무집을 도입했다. 프랑스인들은 퀘벡과 루이지애나에서 건축에 영향을 미쳤다.
4075. *[한양대학교 2017]
Consumers may choose to purchase fruit, vegetables, meat, and other products from local markets for a range of reasons. They may want to support local producers, rather than the shareholders of large supermarket chains: a local focus that may be regarded as reducing harmful environmental impacts [ ] unnecessary transportation of goods thousands of miles.
(A) to be changed by
(B) from which arises
(C) that are likely to compromise
(D) caused by what could be interpreted as
4075. ['what' 이하 빼고 분석하기]
정답 - D [caused by what could be interpreted as] : 'what could be interpreted as'를
빼고 분석하면 'caused by'로 이해하면 된다. 간단히 보면 '불필요한 운송에서 야기되는'의 뜻으로 잘 연결이 된다.
B : '환경에 대한 유해한 영향들'을 수식하는 관계절이 '불필요한 운송이 거기에서(영향들에서) 야기되는'의 뜻으로 꾸밀 수 없다.
[해석] 소비자들은 아마도 다양한 이유로 지역 시장에서 과일, 야채, 고기와 기타 산물들을 구매하는 쪽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지역 생산자들은 지원해야 할 겁니다. 큰 슈퍼마켓 체인점들의 주주들보다는요. 수천 마일 떨어진 상품들의 불필요한 운송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으로 야기되는 환경에 대한 유해한 영향을 줄이는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는 지역의 주된 포커스다.
[you may / might want to ~]
어쩌면, 혹 ~하는 게 좋겠다 ['might'를 사용하는 것이 더 겸양의 표현이다.]
구속형인 'must'나 'should'의 사용을 피하는 표현이다. '의무(must)'나 '강한 권유(should)'를 피하기 위해서 '약간의 불확실성'을 표시하겠다고 '*may must'나 '*might should'를 연이어서 사용할 수 없다. 그렇다고 예컨대 'may and should'를 사용하면 잘못하면 '허락 + 강한 권유'의 뜻을 나타내게 되어서 곤란하다.
ㅎ 요즘 말로 '안물안궁'[안 물어봤고 안 궁금하다]이라는 말을 듣지 않으려면 말을 조심스럽게 해야 하겠죠.
이럴 때 'may'나 'might' 뒤에 'want to'를 사용해서 '강한 어조'를 완화시키는 표현으로 사용한다. 물론 상대가 원할 수도 있음을 은연중에 나타내기도 한다. 물론 서식 같은 데서도 'You may want to check ~' 같은 표현을 "당신은 어쩌면 ~을 체크하길 원한다."로 그대로 해석해서 이상하게 생각하면 안 된다.
You might want to spend more time studying and less time playing video games.
"공부하는 데 시간을 더 보내게 비디오 게임은 덜 하는 게 좋지 않을까?" ['should spend'를 사용하면 '~해라'의 강한 권유가 된다.]
Uh, babe? You might want to trim that beard.
"어, 자기야? 수염 좀 정리하는 게 좋지 않을까?"
[은연중 상대도 원할 거라는 느낌으로]
You might want to hold your tongue. We're not telling you to hold your tongue; we're suggesting it's something you might want to consider.
"입 좀 다무시는 게 어떠실까요? [약간 익살] 입 다물라고 명령하는 거 아닙니다. 그것도 고려할 만한 거라는 거죠."
A : There is a movie on tonight. "오늘 밤 영화 상영한데."
B : Is it any good? "거 뭐 괜찮은 영화야?"
A : Well you might want to watch it because it's about a footballer. ('might' indicates uncertainty but with a sense that the person will probably want to watch the movie) "뭐, 네가 보는 게 좋을 거 같아서. 미식축구 선수에 관한 것이어서." ('might'를 사용한 것은 불확실성을 가미해서 말하면서 상대방이 어쩌면 그 영화를 보기 원할지도 모른다는 느낌을 넣어서 말한 것이다.)
A : You might want to stop the car here. (offering a choice but with the expectation that the person will indeed want to stop) "자기 어쩜 여기서 차 세워야 할 거 같아. (제안을 하면서도 상대방도 실제로 세우길 원할 거라는 기대감을 갖고)
B : Why? "왜요?"
A : Because the petrol tank is empty. "기름이 다 떨어졌으니까."
And you might want to go down the path to your right when you leave
4076. **[광운대학교 2017]
다음 중 어법상 적절하지 않은 것은?
(A) He is devoid of any humor.
(B) The physicist is world renowned.
(C) She thought he was an utter fool.
(D) John was too startled to move.
(E) The rescue squad discovered an alive man.
4076. [한정 형용사와 서술 형용사]
정답 - E → [The rescue squad discovered a living man.] : 'a-'가 붙어있는 형용사들은 원래 'on'의 뜻이므로 전치사 구가 되어서 전치 수식을 할 수가 없다.
[해석] 구조 팀은 살아있는 사람을 발견했다.
A : 'devoid of'에서 'devoid'는 서술 형용사로 사용되고 있다. 형용사의 보어로 'of'가 사용된다.
[해석] 그는 어떤 유머도 없다.
B : world(-)renowned ← renowned across/around the world : 조어법 상으로 'across/around the'를 삭제하고 앞으로 'world'만 보내면 된다. 'worldly'는 부사로는 '세속적으로, 속되게'의 뜻으로 사용된다. 'worldly wise'는 '세상 일에 밝은'의 뜻으로 사용된다.
[해석] 그 물리학자는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C : 'an utter fool'에서 'utter'는 한정 형용사로만 사용된다.
[해석] 그녀는 그가 완전한 바보라고 생각했다.
D : 'too ~ to ~ 용법'이다.
[해석] 그는 너무 놀라서 움직일 수 없었다.
[핵심 문법] 서술 형용사(Predicative adjectives) 와 한정 형용사(Attributive adjectives)
I am happy.
'happy'는 여기서 주격 보어로 주어에 대해 서술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서술 형용사로 쓰인 것이다.
That made me happy.
'happy'는 여기서 목적격 보어로 목적어에 대해 서술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서술 형용사이다.
I saw three happy kids.
'happy'는 여기서 명사 앞에서 명사의 성질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한정 형용사로 쓰인 것이다. 원래 'Attributive'는 명사에 성질을 부여한다는 점에서(An adjective that describes an attribute of the noun phrase of which it is a part) '속성 표시 형용사'라 칭해야 하고 한정사(determiners)는 명사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므로 '한정 형용사'는 틀린 용어지만 오랫동안 사용된 명칭이므로 그냥 사용하기로 하는데 그 의미는 그저 명사 앞에 쓰인다는 것으로만 이해하기로 한다.
대부분의 형용사는 서술 용법과 한정 용법이 모두 가능하지만 한 쪽으로만 쓰이는 형용사도 있다.
(1) 서술 형용사 : asleep, alone, alive, afraid, ablaze, abreast, afire, aghast, aglow, alert, ashamed, alike, awake, aloof, abroad, astray, asunder, aware, unaware, fond, float, drunk, fond, worth, sorry, glad, content, unable, liable, subject, worth, etc.
The baby is asleep.
'asleep[Old English, on slǣpe]'은 원래 전치사 'on'에 명사인 'sleep'이 붙은 형태로 전치사 구 출신이기 때문에 앞에서 명사를 수식하는 한정 용법으로 쓰지 못하고 서술 형용사로만 쓰인다. 'a- + 명사'의 형태인 거의 대부분의 형용사들이 다 서술 형용사로 쓰인다.
The baby fell asleep / *sleeping.
'fall'이 2형식 동사이므로 서술 형용사인 'asleep'을 사용해야 한다.
I am alone.
The fish is still alive / *live.
They caught a tiger alive / *live.
목적어인 'a tiger'에 대한 유사 보어로 서술 형용사인 'alive'를 사용하는 것이 맞다.
A : What are you going to do about the deer astray in the playground?
B : We are going to catch it ________.
(A) life (B) live (C) alive (D) living
정답 - C
The child is afraid. *an afraid child
The ship is still float.
The firm has gone broke. (서술 형용사로 'broke'를 사용한다. cf. a broken firm)
He was dead drunk. (고주망태가 된) (cf. a drunken sailor)
I need something alive, like a plant.
후치 수식은 'that is'가 생략된 것으로 보면 서술 용법에 해당된다.
The half-asleep child started crying.
The wide-awake baby is watching the mobile.
The very ashamed student admitted cheating on the test.
서술 형용사도 다른 부사의 수식이 있는 경우 한정 용법으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2) 한정 형용사 : mere, chief, main, lone(단 하나의, 유일한; 혼자의), solo(단독의), living, live, like, principal, wooden, spare, inner, outer, utter, utmost, elder, drunken, sleeping, lovely, sheer, etc.
Can you eat a live / *alive fish?
He is a mere child.
He is a sleeping / *asleep baby.
And that's the main reason that I'm here. *The reason is main.
My elder sister is a doctor.
It was sheer madness.
She thought he was an utter fool.
'편입 문법 3000 Pl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52회] (0) | 2022.12.31 |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51회] (1) | 2022.12.29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48회] (0) | 2022.12.22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47회] (0) | 2022.12.19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46회] (0) | 2022.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