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 문법 3000 Plus2023. 1. 17. 13:34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https://youtu.be/LLa7lqEfbaU

 

4105. [상명대학교 2016]

I woke up (A)[the next morning], thinking about those words--(B)[immensely] proud to realize that not only (C)[have] I written (D)[so much] at one time, but I'd written words that I never (E)[knew were] in the world.

4105. ['not only'의 선행으로 인한 주어와 기능사의 도치와 '(but) also']

정답 - C [have] → [had] : 'not only'의 선행으로 인한 주어와 기능사의 도치가 발생하고 있는데 깨어난 후에 그 이전에 쓴 것은 'had PP'여야 하므로 도치도 'had'가 사용되어야 한다. 뒤에 'but' 다음에 'also'가 생략되고 'had written'이 사용되고 있다.

E : words that I never (E)[knew were] in the world

'I never knew'는 삽입 처리된 것이고 이때 주격 관계사인 'that'도 생략 가능하다.

[해석] 그 다음날 아침에 깨어나서 그 단어들에 대해 생각하면서 엄청 자랑스러웠다. 내가 한 번에 그렇게 많이 썼으면 세상에 있었던 거도 결코 몰랐던 단어들을 사용한 것을 깨닫고서 자랑스러웠다.

4106. [가톨릭대학교 2016]

The opinionated egists tend to have long and narrow whiskers, [ ] the refined and scholarly gentlemen are usually close-clipped.

(A) while for (B) while as for

(C) while that of (D) while those of

4106. [반복 회피의 'that'과 'those' + 양보 접속사 while]

정답 - D [while those of] : 'while'은 양보 접속사, 정동사 'are'의 주어는 복수형인 'those'다. C는 단수형인 'that'여서 곤란하다.

A : 'while'은 접속사인데 전치사 'for'의 목적어는 '~ gentlemen'이어서 정동사 'are'의 주어가 없어서 곤란하다.

B : 'as for ~'는 '~에 관해서는'의 뜻인데 그래도 'for' 뒤에는 목적격이 따르므로 역시 정동사 'are'의 주어가 없어서 곤란하다.

[해석] 독선적인 이기주의자는 길고 좁은 구레나룻을 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고상하고 학문적인 신사들의 구레나룻은 보통 짧게 깎은 모습이다.

4107. [서울여자대학교 2016]

The travels of Marco Polo in the twelfth century would not have been so well known [ ] for the book he wrote while in jail.

(A) had it not been (B) it had not been

(C) were it not (D) it were not

4107. [가정법 과거 완료의 조건절과 조건 표시의 기능사 도치]

정답 - (A) had it not been : = if it had not been : 귀결절이 가정법 과거 완료이므로 조건절은 거의 가정법 과거 완료가 사용된다. 'if it had not been'에서 기능사인 'had'를 앞으로 도치시키면 'if'는 탈락된다.

[해석] 12 세기의 마르코 폴로의 여행은 그렇게 잘 알려지지 않았었을 것이었다. 그가 감옥에서 쓴 책이 없었더라면.

4108. [광운대학교 2016]

다음 중 어법 상 잘못된 예문은?

(A) Macroeconomics is more difficult than sociology.

(B) Part of the students was absent from school.

(C) A lot of people have come to see her.

(D) Most of the semester was spent in the lab.

(E) Bread and butter is her main diet.

4108. [개념상의 일치]

정답 - B : Parts of the students [*was → were] absent from school.

학생들의 파트는 일반적으로 복수이므로 'were'를 사용해야 한다.

[해석] 그 학생들 일부는 결석을 했다.

A : 학문명은 '-s'로 끝나도 단수 취급한다.

[해석] 거시 경제학은 사회학보다 난해하다.

C : 'lot'은 수와 양 모두에 'a lot of'나 'lots of'로 사용되면 단수와 복수는 뒤의 명사에 따른다.

[해석] 많은 사람들이 그녀를 보러 왔다.

D : 'most'는 역시 '뒤의 of'에 따르는 명사에 따라 수가 결정된다.

[해석] 그 학기의 대부분은 실험실에서 보내졌다.

E : '버터 바른 빵'은 한 덩어리므로 단수로 취급한다.

[해석] 버터 바른 빵은 그녀의 주 식단이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