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OwzcG9gbaQ0
4093. [국민대학교 2016]
The (A)[musician's] orchestra, playing his original compostions and arragements, (B)[achieving] (C)[a fine unity] of style and made numerous (D)[innovations] in modern jazz.
4093. [정동사와 등위]
정답 - B [achieving] → [achieved] : 문 전체의 주어는 'The musician's orchestra'이고 뒤의 [, ,]를 빼고 보면 정동사가 따라야 한다. 현재 분사는 준동사여서 곤란하다. 뒤의 'made'와 등위 된 정동사인 과거형 'achieved'가 사용되어야 한다.
[해석] 그 음악가의 오케스트라는 그의 창작 곡들과 편곡한 것들을 연주하면서 훌륭한 스타일의 통합을 이루어내면서 현대 재즈의 많은 혁신을 만들어내었다.
4094.** [명지대학교 2016]
Many people in the United States do not regard its linguistic diversity as an asset and seem to prefer that English alone (A)[be] used, at least in public discourse. Their reasons (B)[are many], and there has been a spate of legislation, ballot initiatives, and court rulings on the matter. The "English-only" movement arose in recent decades to push for legislation that (C)[would outlaw] the use of non-English languages and (D)[are] particularly concerned about the use of non-English languages in schools.
4094. [일치 방해부와 등위]
정답 - D [*are] → [is] : 정동사 'would'와 정동사 'are'가 등위 된 것으로 보면 입법화가 우려한다는 뜻으로 의미 연결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동사 'arose'와 'are'가 등위 된 것으로 보아야 하는데 주어인 'The "English-only" movement'가 단수형 동사를 취해야 하므로 'is'를 사용해야 한다.
A : seem to prefer that English alone (A)[be] used, at least in public discourse.
'prefer'도 청유형 동사로 뒤에는 '(should) 원형'이 따라야 한다.
I prefer that she (should) drive. "그녀가 모는 것이 좋겠다."
I prefer that it (should) be left aone. "내버려 두는 게 좋겠다."
B : 'many'는 명사나 양화 한정사(determiners)로 주로 사용되지만 드물게는 형용사로 서술 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The possibilities are many.
[해석] 미국에서 많은 사람들이 미국의 언어 다양성을 그 자산으로 여기지 않고 적어도 공적인 담화에서는 영어만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는 거 같다. 이유는 많으며 문제에 관해서 입법화, 국민 발의와 법원 판결의 홍수가 있었다. "영어만" 사용하자는 운동이 최근 몇 십 년 동안 일어나서 영어 이외의 언어를 사용하는 것을 불법화하려는 법안을 밀고 나가려 했으며 학교에서의 비영어의 사용을 특히 우려했다.
4095. *[성균관대학교 2016]
In science one experiment, (A)[whether] it (B)[succeeds] or fails, is (C)[logically] followed by (D)[other] in a (E)[theoratically] infinite progression.
4095. ['another'와 'others']
정답 - D [other] → [another] : 일단 'one experiment'로 시작되었으므로 다음 실험은 'another'로 받으면 뒤따르는 여러 실험을 지칭할 수 있다. 딱 2 개의 실험이라면 처음은 'one experiment', 다음은 마지막이므로 'the other (experiment)'를 사용한다.
여러 개에서 'one', 'the others'면 다 언급한 것이다. 단독으로 사용되는 'other'는 없다고 보면 된다. 최소한 'an'이나 '-s'가 붙어야 한다. 보통 물질 불가산 명사도 가산 명사화해서 예컨대 'another coffee'나 'other coffees'를 사용한다. 집합적 불가산 명사라면 예컨대 'other furniture'가 사용될 수 있다.
[해석] 과학에서 하나의 실험은 성공하든 실패하든 이론적으로 무한정 진행되는 다른 실험이 논리적으로 따를 수 있다.
4096. **[아주대학교 2016]
Choose the one word or phrase that best completes the sentence.
The higher we soar, [ ] to those who cannot fly.
(A) the small we appear
(B) the high we appear
(C) the smaller we appear
(D) the higher do we appear
(E) the less smaller do we appear
4096. ['the 비교급' + 'the 비교급']
정답 - (C) the smaller we appear : 'x more ~'와 'the more ~'에서 x와 y를 모두 'the'로 전환해서 x와 관련된 'the more~'를 자기 절 앞으로 보내 접속사로 사용하고 y에 해당되는 'the more ~'는 원래 자리에 두거나 대구를 맞추어 앞으로 내보낼 수 있다. 'The higher'가 문두에 놓이고 'the smaller'가 앞에 나온 (C)가 정답이다.
니체의 원본은 'the smaller do we appear'으로 되어있지만 그럴 필요는 없다.
A, B : 'the 비교급이 하나만 나와서 곤란하다.
D : 뜻도 안 맞지만 'do we appear'로 기능사 도치를 할 이유는 없다.
E : 열등 비교면 'the less small'이면 된다. 'the *less smaller'로 일반 비교에 다시 열등 비교를 붙이면 안 된다.
[해석] 우리가 더 높이 솟아오를수록 날 수 없는 사람들에게 우리는 더 작아 보인다.
'편입 문법 3000 Pl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57회] (1) | 2023.01.15 |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56회] (0) | 2023.01.12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53회] (0) | 2023.01.03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52회] (0) | 2022.12.31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51회] (1) | 2022.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