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4WLsZfVt4I4
# For centuries, a titanic tug-of-war has been going on among users of English. The struggle is between the (A)[ ] (those who say tug-of-war is the proper name of the game) and (B)[ ] (those who say tug-o'-war better describes the way the name is spoken by most people). The first group, called Language Snobs, insists that the language of the past is correct and should be followed, and the second group, or Language Slobs, wallows in (C)[ ] and holds that any language used today is destined to the brave new word of the future. English teachers are generally in the prescriptivist hunch and see themselves as clinging to the ramparts in heroic defense of the rules of clarity and precision in the native tongue, while lexicograhers are usually in the descriptivist crowd, portraying themselves as scientific recorders of the reality of the living, growing language.
[「I Stand Corrected」 William Safire]
#1. 빈칸 (A)에 적합한 단어를 본문에서 찾아 바꿔 넣으시오.
#2. 빈칸 (B)에 적합한 단어를 본문에서 찾아 바꿔 넣으시오.
#3. 다음 중에서 빈칸 (C)에 들어가기에 적합한 것은?
A. solecism B. syncretism C. oxymoron
D. polymath E. polyglot
[해석] 수 세기에 동안 영어 사용자들 사이에서 거대한 쟁탈전이 진행되어 왔다. 이 싸움은 ('tug-of-war'가 맞는 표현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인) 규범 문법학자들과 (tug-o'-war'가 대부분의 사람들이 말하는 방식을 더 잘 묘사하고 있다고 말하는 사람들인) 기술 문법 학자들 사이의 싸움이다. 속물이라 불리는 첫 집단은 과거의 언어가 맞으며 따라야 한다고 주장한다. 거지 파라고 불리는 두 번째 집단은 문법 위반에 허덕이며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어떤 언어든 미래의 멋진 신어가 될 운명이라고 주장한다. 영어 선생들은 일반적으로 규범 문법 학자의 생각으로 자신들이 모국어의 명료하고 정밀한 규칙들을 영웅적으로 지키는 방벽에 매달여 있다고 상상한다. 반면에 사전 편찬자들은 보통 기술 문법 주의에 속해서 살아 성장하는 언어의 실제를 과학적으로 묘사한다.
[「내가 틀렸네」 윌리엄 새파이어, 서문에서]
[정답] 1. (A) : prescriptivists 2. (B) : descriptivists 3. (C) : A. solecism
[어휘 또는 표현]
tug-of-war : 줄다리기; 세력[주도권] 싸움, 쟁탈전
tug of love : 친권자 싸움
snob : 학자인 체하는 사람; 속물
slob : 게으름쟁이, 거지
the brave new world : 멋진 신세계
the brave new word : 멋진 신어
wallow [wάlou] : 뒹굴다; [사치·쾌락 등에] 빠지다 : (L volvere : to roll) [ㅎ 'wall'(벽) 밑에서 뒹구르다
rampart [rǽmpaːrt] : 성벽, 누벽, 방벽 : (L ante- : before + L parare : prepare → F remparer : fortify → F rempart) [미리 준비하고 싸우는 곳에서]
moron [mɔ́ːran] : 바보, 얼간이; 우둔한 사람
oxymoron [ὰksimɔ́ːran] : 모순 어법
oxygen [άksidʒen] : 산소
'oxy-'는 '신맛이 나는 / 날카롭고 예리한'의 뜻인데 여기에 'moron'(바보)이 붙으면 '날카로운 바보'가 되는데 이는 상호 모순적인 표현이어서 'oxymoron'은 '모순 어법'이라 칭하게 된다. 'crowded solitude'(군중 속의 고독)과 마찬가지로 'purposely thoughtlessly'와 'inactive active'도 모순 어법에 해당된다.
polymath [pάlimӕθ] : 박식가 : (Gk polu- : much + Gk manthanein : to leran
polyglot [pάliglὰt] : 여러 언어에 통하는 사람 : (Gk polys : much + glotta : language)
I stand corrected. "내가 틀렸네."
'내가 시정되어야 할 상황[입장]이네'는 '내가 틀렸네.'로 의역할 수 있다.
[해설]
prescriptivist [priskríptəvist] : 규범주의자; 규범 문법학자
descriptivist : 기술 문법 주의자
syncretism [síŋkrətìzm] : (철학·종교상의) 통합주의; [문법] (기능이 다른 어형의) 융합 : (Gk sunkretismos : sun- : together + kres 'Cretan') ['syn' + cre(통합) 으로 기억하자.]
solecism [sάlisìzm] : 문법[어법] 위반, 파격; (일반적으로) 잘못, 부적당 : (Gk soloikos : speaking incorrectly → L soloecismus : grammatical mistake) ['Solo(i)'는 그리스의 그릇된 것으로 여겨지던 방언에서, 'sol'이 'whole'의 뜻으로 사용되는 것과는 무관합니다. 어법이 발바닥(sole)이네로 기억해도 된다.]
solicit [səlísit] : 애원하다, 간청하다, 졸라대다; 탄원하여 얻으려 하다; [창녀 등이] [손님을] 유인하다 : (sollus : whole + citus, ciēre : to move) [온몸을 움직이는 데서] [이미지 : 문 앞에 NO SOLICITING]
solicitous : [온몸을 일으켜] 열심인; [온몸으로] 걱정하는
'어휘' 카테고리의 다른 글
Shmeam Shmrump 팀 트럼프는 개뿔, Trumpelstiltskin : 난쟁이 트럼프 (1) | 2023.04.24 |
---|---|
buff 와 aficionado (0) | 2023.04.22 |
cavort 구르고 뛰어 놀다 (1) | 2023.04.17 |
flair 2 (0) | 2023.04.15 |
flair 와 fallow (1) | 2023.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