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 문법 3000 Plus2021. 1. 23. 07:03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DYnXFDjLQFs

[PT27-4]0934.  [영남대학교 2005-2]

Girls mature faster than boys, _________ that at kindergarten age a girl may be nearly a year advanced over a boy of the same age.

(A) much           (B) such          (C) so            (D) given

[PT27-4]0934. [분사 출신의 전치사]

정답 - D : 'given'은 분사 출신의 전치사로 'considering'과 같은 뜻이고 현수 분사와 무관하다.

C : 문맥상 결과적 용법으로는 뜻이 통하지 않는다.

[해석] 유치원 시절 여자애가 같은 나이의 남자애보다 실제로 거의 일 년을 앞서 갈 수 있다는 가능성을 고려하면 여자애들이 남자애들보다 빨리 성숙한다고 할 수 있다.

 

[PT27-5]0935. ⋆⋆ [중앙대학교 2006-1]

(A)[Like Auden], the language of James Merrill is chatty, arch and (B)[controversial] (C)[given to] complex syntactic flights (D)[as well as] to prosaic free-verse strolls.

[PT27-5]0935. [대등 비교 + 'be given to']

정답 - A : [Like Auden]  [Like that of Auden] : '~와 마찬가지로'의 의미로 비교할 때도 'Auden' 'the language of James Merrill'은 대등한 존재가 아니어서 비교될 수 없다. 'the language of Auden'에서 반복을 피하여 'that of Auden'을 써야 대등하게 비교될 수 있다.

C : 여기서 'given'은 'considering'의 뜻으로 쓰이지 않고 있다.

be given to ~ : ~에 빠져드는, ~하기를 좋아하는 : to be inclined or likely to do something or behave a certain way

Don't worry, she's always been given to overreacting. 

"걱정하지마, 그녀는 항상 과잉 반응 하기를 좋아해왔거든."

'given {[to complex syntactic flights} as well as [to prosaic free-verse strolls]}'의 구조로 쓰이고 있다.

chatty, arch, and controversial : 수다스럽고, 장난기가 있고, 논쟁적인

complex syntactic flights : 복잡한 통사론적 비약이 있는 표현

prosaic free-verse strolls : 산문체 자유시의 이리저리 유랑하는듯한 표현

[해석] 오든의 언어와 마찬가지로 제임스 메릴의 언어도 수다스럽고 장난기가 있고 논쟁적이다. 즉 산문체 자유시의 이리저리 유랑하는듯한 표현은 물론이고 복잡한 통사론적 비약을 하는 표현을 하기를 좋아한다.

 

[PT27-6]0936.  [세종대학교 2006-1]

(A)[Following] successful trials, Count Ferdinand Zeppelin (B)[was commissioned] to build 100 airships for the German military, (C)[which] used (D)[it] for bombing flights during World War I.

[PT27-6]0936. [대명사의 일치 + 분사 출신의 전치사]

정답 - D : [it]  [them] : 'airships'를 받는 것이므로 대명사는 복수형을 써야 한다.

A : 'Zeppelin'을 'Following'의 주어로 보면 현수 분사로 틀린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following'은 이미 전치사로 쓰이기 때문에 'after'와 같은 뜻이고 전치사구로 현수 분사와 무관하다.

[해석] 성공적인 시험비행을 여러 번 한 후에 페르디난트 체펠린 백작은 독일 군대로부터 100 대의 비행선 건조를 의뢰받았는데 독일군은 이 비행선들을 일차 세계대전에서 폭격 비행을 위해 사용했다.

 

[PT27-7]0937.  [고려대학교 2004-1]

A seahorse, (A)[depend] on the species, can deliver (B)[between] 15 and 1,000 babies at a (C)[time] and can deliver in the morning and (D)[get] pregnant again in the afternoon.

[PT27-7]0937. [분사 출신의 전치사]

정답 - A : [depend on]  [depending on] : 'depending on' 'according to'와 비슷한 뜻으로 쓰인다. 분사 출신이지만 거의 전치사처럼 쓰인다.

[해석] 해마는 종에 따라서 한 번에 15내지 1,000 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아침에 낳고 오후에 다시 임신할 수 있다.

 

[PT27-8]0938. [계명대학교 2003-1]

(A)[According] many critics, (B)[Mark Twain's novel] Huckleberry Finn is (C)[one of the greatest] American novels (D)[ever written].

[PT27-8]0938. [분사 출신의 전치사]

정답 - A : [According]  [According to] : 분사 출신의 복합 전치사로 'according to'를 사용한다.

[해석] 많은 비평가들에 따르면 마크 트웨인의 소설인 허클베리 핀은 지금까지 쓰인 가장 위대한 미국 소설들 중의 하나라고 한다.

 

[PT27-9]0939. [세종대학교 2009]

This section explains how (A)[find] a word in the dictionary, (B)[hear] how a word sounds, practise your pronunciation and use wild cards (C)[to help] you (D)[find] a word.

[PT27-9]0939. [의문사 + to 부정사]

정답 - A : [find]  [to find] : 'how you should find ~'에서 'you should'를 삭제하면 'to find'를 써야 한다. 'how {to [find a word ~], [hear how ~], [practise ~] and [use wild ~ a word]}'로 병치되어 있다.

D : help 목적어 + (to) V

[해석] 이 부분은 사전에서 단어를 찾고 단어의 발음을 듣고 스스로 발음을 연습하고 단어를 찾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만능패를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PT27-10]0940. [경희대학교 2008-1]

Women have been debating for a generation ______ work and home life, but somehow each new chapter starts a new fight.

(A) how best to balance                     (B) how best in balancing

(C) best how to balancing                   (D) best how to be balanced

[PT27-10]0940. [의문사 + to 부정사]

정답 - A : 'debating (for a generation)'의 목적어로 간접 의문문이 와야 한다. 원래는 'how they should balance work and home life best'를 쓸 수 있다. 'they should'를 삭제하면 'how to balance work and home life best'가 되는데 'best'를 강조해서 앞으로 보내면 'how best to balance work and home life'가 된다.

[해석] 여성들은 한 세대 동안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을 어떻게 균형을 잡아야 하는가에 대해 논쟁을 해왔지만 아무튼 새로운 시기마다 새로운 싸움은 시작되는 거죠.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