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 https://youtu.be/98JaY4iw6gQ
[CT2-124]1103. ⋆⋆ [성균관대학교 2006-1]
The robots (A)[that] are increasingly (B)[being] used for a wide range of tasks do not look human-like at all. The robots (C)[which] work in car factory production lines look something like cranes. The mobile robots used (D)[on] army bomb-disposal squads look like wheelbarrows (E)[on] tracks.
[CT2-124]1103. [수동태 '행위 주체 표시의 by']
정답 - D : [on] → [by] : '군의 폭탄 처리 분대'는 사람에 준하므로 행위 주체 표시의 '전치사 by'가 쓰여야 한다. 'used'가 있고 로봇은 소속으로 볼 수 없어 소속의 전치사 'on'은 적합하지 않다.
something like ~
1) 다소 ~을 닮은, 약간 ~와 비슷한 It is something like a cigar. "엽궐련과 약간 비슷한 것이다."
2) 거의, 약(about)
3) 대단한, 굉장한 This is something like a dinner. "이건 굉장한 식사다."
[해석] 광범위한 일들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는 로봇들은 전혀 사람 같아 보이지 않는다. 공장의 생산 라인에서 작업하는 로봇들은 기중기와 약간 비슷해 보인다. 군의 폭탄 처리 분대에 의해 사용되는 움직이는 로봇은 트랙 위의 외바퀴 손수레 같아 보인다.
[CT2-125]1104. [경원대학교 2007-1]
다음 글의 흐름으로 보아,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자연스럽지 못한 것을 고르시오.
When you turn twenty (A)[you allow to] register to vote. Some people believe that (B)[voting is a waste of time]. These people say (C)[that you have to stand] in line for a long time, and (D)[that one vote will not make a difference]. Even if one vote will never change an election, it is important that every person's voice should be heard.
[CT2-125]1104. [주절의 능동과 수동]
정답 - A : [you allow to] → [you are allowed to] : 'allow'는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할 수 없다. 'allow 목적어 to 부정사'는 가능하고 이것의 수동형인 'be allowed to 부정사'가 가능할 뿐이다.
C, D : 'say'의 첫 번째 명사절 앞에서 'that'은 생략 가능하다. 그러나 등위 된 경우의 '두 번째 명사절 앞의 that'은 생략할 수 없다. 여기서는 생략하면 {[These people say ~], and [one vote will ~]}로 등위 되어서 곤란하다.
[해석] 20세가 되면 투표 등록을 할 수 있다. 투표는 시간 낭비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 사람들은 오래 줄을 서야 하고 한 표로는 어떤 차이도 만들 수 없다고 말한다. 한 표는 선거를 결코 바꿀 수는 없지만 모든 사람의 목소리를 듣는 것이 중요하다.
[CT2-126]1105. ⋆ [동국대학교 2007-1]
I (A)[like buying] smooth navy blue fabric (B)[from which] our dressmaker will make my school uniform — an anonymous (C)[overdress] we (D)[require] to wear over our regular clothes.
[CT2-126]1105. [관계절의 능동과 수동]
정답 - D : [require] → [are required] : 'require'는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지 못한다. 'require 사람 to V'로 쓰이고 수동형은 'be required to V'를 사용한다. '우리가 입도록 강요되는, 즉 입어야 하는 겉옷'이므로 'we are required to wear'를 써야 한다.
[해석] 진한 감색의 부드러운 천을 사서 양재사가 학교 교복을 만드는 게 좋은데 이 교복은 우리의 평상복 위에 입어야 하는 구분 안 되는 겉옷이다.
[CT2-127]1106. [총신대학교 2003-1]
Professor Lee wanted to find the student ________ had made the suggestion.
(A) whom (B) whose (C) who (D) which
[CT2-127]1106. [선행사에 따른 관계사의 선택]
정답 - C : 선행사가 사람이고 주격 관계사가 쓰여야 한다.
[해석] 리 교수는 그 제안을 했던 학생을 찾기를 원하셨다.
[CT2-128]1107. [광운대학교 2011]
다음 한글 문장을 영어로 가장 잘 옮겨 놓은 것을 고르시오.
아버지가 형사인 그 소년은 자신의 여자 친구가 주최하는 파티에 올 것이다.
(A) The father is a detective, and his son will come for his girlfriend to host the party.
(B) The boy whose father is a detective will come to the party which his girlfriend hosts.
(C) The father's son is a detective who will come to the party which his girlfriend.
(D) The boy's father is a detective, and he will come to host the party for his girlfriend.
(E) The father is a detective, and his girlfriend will come to host the party for his son.
[CT2-128]1107. [소유격 관계사]
정답 - B : 소유격 관계사인 'whose father is a detective'가 'the boy'를 제한 수식하고 있다.
A : 'come (for his girlfriend) to host party'는 ‘여친을 위하여 파티를 열게 되다’로 이상하다.
C : 'which' 이후에 정동사가 없어서 곤란하다.
D : 그 소년의 아버지가 파티를 연다는 뜻이어서 곤란하다.
E : 아버지의 걸 프렌드가 파티를 연다는 뜻이어서 곤란하다.
'편입 문법 3000 Pl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209회] (0) | 2021.01.31 |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208회] (0) | 2021.01.31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206회] (0) | 2021.01.31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205회] (0) | 2021.01.30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204회] (0) | 2021.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