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 문법 3000 Plus2021. 3. 3. 08:52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uvGGOcbz-pM

[ET37-1-2]1500. ⋆⋆ [이화여자대학교 2009]

Sugar (A)[prices] (B)[already declined] when (C)[artificial] (D)[sweeteners] first appeared.

[ET37-1-2]1500. ['already'와 행위 동사의 과거 완료]

정답 - B : [already declined] → [had already declined] : 행위 동사인 'decline'은 기준 시점이 과거이고 'already'가 있으므로 과거 완료와 쓰여야 한다.

already : before now : used for saying that something has happened before now or before another point in time.

[해석인공 감미료가 처음 등장했을 때 설탕 가격은 이미 떨어진 상태였었다.

 

[핵심 문법] 'already'와 'yet'

have seen the report already. "나는 이미 그 보도를 보았다."

This machine is already out of date. "이 기계는 이미 낡은 것이다."

'already'는 '이미'의 뜻으로 현재 완료나 현재 시제와 흔히 쓰인다.

He had already left when I arrived. (이미 떠나고 없으므로 얼굴도 보지 못한다.)

He left when I arrived. (도착과 동시 또는 직후이므로 얼굴은 본다.)

He *left already when I arrived. ('동시 또는 직후'는 '이미'와 결합할 수 없다.)

행위 동사인 경우 'already'는 과거가 아니라 '과거 완료'와 쓰여야 한다.

He was already dead when I got there. "내가 거기 도착했을 때 그는 이미 죽은 상태였었다."

상태 동사인 경우 'already'는 과거와 쓰일 수 있다.

Has she come home yet? "이미 집에 왔나요?"

Has she come home already? "벌써 왔나요?" (놀라는 말투)

의문문에서 'yet'는 몰라서 묻는 것인데 반하여 의문문에서 'already'는 알게 된 사실에 대해 놀라움을 표시하거나 알았지만 미심쩍어서 다시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The new shop has not been opened yet / *already. "새 가게는 아직 오픈한 상태가 아니다."

The war is not over yet / *already. "전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어."

At two o'clock they had not yet / *already decided how to spend the afternoon.

"2시에는 그들은 아직 오후를 어떻게 보낼지를 결정하지 않았다."

부정문에서 'yet'는 '아직(까지), 지금까지그때까지'의 뜻으로 쓰이는데 'already'를 사용할 수 없다.

already : (미·비격식) (초조함을 나타내어) 지금 곧, 빨리

 

Let's start already. "빨리 출발하자."

Listen, listen, listen. Let me out of here already. "저기, 저기, 저기요. 빨리 저 내보내 줘요."

 

종업원을 부를 때 우리는 "저기, 저기, 저기요."라 말할 수 있는데 이때 'listen'을 사용하고 'already' '빨리'의 뜻으로 사용한다.

'Such a pity you have to retire already, sir,' Mrs Smith said. 'The doctor's only just arrived.' "선생님이렇게 빨리 물러나시다니 애석하네요."라고 스미스 부인이 말했다. "박사님은 겨우 방금 도착했는데요."

 

[ET37-1-3]1501. [조선대학교 2005-1]

Mr. Jones and Mr. Brown (A)[will] certainly (B)[be able to afford] plane tickets (C)[to] Russia because (D)[they'll earn] a lot of money by the time December rolls around.

[ET37-1-3]1501. [미래 완료의 기준 시점]

정답 - D : [they'll earn] → [they will have earned] : 기준 시점인 'by the time ~'이 있으므로 미래 완료를 사용해야 한다.

[해석] 존스 씨와 브라운 씨는 러시아행 비행기 표를 살 여유가 있게 될 것이 확실한데 이는 12월이 되면 이미 충분한 돈을 번 상태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핵심 문법기준 시점과 발생 시점

John had arrived by six o'clock yesterday evening.

'by 이하'는 기준 시점으로 그때는 이미 (그 이전에 발생 시점도착해 있었다.’는 뜻이다.

John had already left at ten o'clock.

1) at ten o'clock : 기준시점, John's leaving : 발생 시점   "10시에는 이미 떠나고 없었다."

2) at ten o'clock : 'John's leaving'의 발생 시점기준 시점 문맥에 따라 결정된다. 

"이미 10시에 떠나고 없었다."

The clock struck twelve; John had already left at ten o'clock.

12시 기준 시점, 10시 발생 시점   "시계가 12시를 쳤고 이미 John은 10시에 떠나고 없었다.

I'll have finished this manuscript by the end of next month.

다음 달 말 기준 시점발생 시점 문맥에 따라 결정된다.   

"다음 달 말에는 이미 이 원고를 끝낸 상태일 것이다."

I will have left at six o'clock.

1) If you don't get here till seven o'clock, you won't see me, because I will have left at six o'clock

"7시에나 오게 된다면 날 만나지 못할 거야이미 6시에 떠나고 (7시에는없을 테니까."

기준 시점: 7발생 시점 : 6

2) If you don't get here till six o'clock, you won't see me, because I will already have left at six o'clock

"6시에나 오게 된다면 날 만나지 못할 거야. 6시에는 이미 떠나고 없을 테니까."

기준 시점 : 6발생 시점 문맥상 (6시 이전)

Posted by 연우리